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생을 위한 학교종교교육의 패러다임 연구 : 공생의 눈으로 종교적 이야기 다시 읽기 (A Research on a Paradigm of Religious Education in School Curriculum: Rereading of Religious Stories from the Eyes of Co-living(Symbiosi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20.09
26P 미리보기
공생을 위한 학교종교교육의 패러다임 연구 : 공생의 눈으로 종교적 이야기 다시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71호 / 553 ~ 578페이지
    · 저자명 : 이은경

    초록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정치적 문제를 인권의 시각에서 바라보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인권의 시각에서 종교를 탐문하고, 종교교육을 검토한 선행연구 역시 거의 이루어진 적이 없다. 인권에 대한 관심이 비교적 최근에 더 활발해진 탓도 있지만, 인권의 잣대로 신에 관한 영역인 종교와 신의 통치를 받는다고 하는 종교공동체를 살피는 일이 다소 불편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동안 보편적 ‘인권’ 개념이 ‘천부인권’이라는 기독교 사상에서부터 유래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두말할 필요 없이 그동안 기독교는 ‘인권’의 대표 주자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인권적 가치와 지향성을 가장 거스르는 집단 중 하나가 종교공동체, 그중에서도 개신교이다.
    ‘적자생존’과 ‘무한경쟁’ 그리고 ‘승자독식’의 사회구조를 정당화하는 사회 안에서 더불어 살아간다는 생각보다는 ‘나 먼저 혹은 나만이라도 살아남아야 한다’는 생각이 강박적으로 작동할 때, ‘종교’는 이러한 강박관념을 강화하기도 한다. 그러나 반대로 대안적 공생의 삶, 다시 말해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삶’의 모델을 제시하는 것 역시 ‘종교’일 것이다.
    또한 포스트휴먼 시대에 접어든 오늘날에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생물의 공생뿐 아니라, 인간과 기계의 공생, 그리고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제까지 이러한 문제를 종교교육의 영역에서 다룬 선행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종교교육이 성과 속을 분리하면서 인권에 대한 논의를 꺼렸던 것처럼, 오늘날 시대에는 글로벌 이슈에 대한 대처에도 주저하고 있다. 그래서 ‘인권’은 모든 종교가 지향하는 의미 지평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에서 인권의 가치를 담보한 종교교육은 한 번도 제대로 시행된 적이 없다. 그러므로 인권의 관점에서 종교교육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시급하다.
    이런 인식하에 본 논문은 먼저 학교종교교육의 영역에서 인권과 생태 문제가 어떻게 얼마나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와 함께 사회 구성원으로서 져야 할 ‘사회적 책임’과 타자와의 ‘더불어 삶’(共生)을 가능케 하는 세밀한 ‘인권감수성’을 함양하고,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과의 공생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종교교육의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그동안 적자생존, 승자독식, 각자도생 등의 신학적 근거로 사용되었던 기독교의 대표적 이야기인 ‘창조’, ‘부’와 ‘노동’을 공생의 눈으로 다시 읽으면서 ‘하나님의 형상’에서 비롯된 하나님과 나의 관계가 나와 이웃의 관계로 연장되고, 이것을 통해 ‘공생공동체’를 만들어갈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Due to the fact that it has not been long since the viewpoint of human rights has been introduced into socio-political issue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human rights into religious studies or religious education has not been much fruitful or successful. One of the reasons is that our concern on human rights has arose recently, and the other reason is due to the modern separation of the sacred and the secular, in which it is not comfortable for religious people that the secular notion of human rights becomes a criterion to evaluate religious, especially Christian, communities governed by God only. Also, there is another side of this situation. Christianity has its own pride in God-given rights, which has been developed into the modern concept of universal human rights. Indeed, Christianity has played the key role of a pioneer in improving human rights in human civilizations. Ironically, Christian communities, especially Protestant churches, today are regarded as the most aggressive groups against human rights and humanistic values.
    On the one hand, religion can justify our obsessive drive of survival when selfish instinct of survival and reproduction takes priority over the idea of living together in a society, in which the ideas of the survival for the fittest, infinite competition, and winner-take-all effect prevail. On the other hand, religion can be an only hope for alternative living of symbiosis, a way of living well with others, to a form of life driven by selfish genes.
    Our world today has wrestled with a problem of living together with humans, the nonhuman, and also machines as well as those of climate change and ecological crisis. At the center of these problems lies the ignorance of human rights in religious education or Christian education. Just as religious education has been reluctant to deal with human rights in its own area due to the modern division of the sacred and the secular, it also hesitates to deal with the global issues in the coming age. One needs to be remind that religion, especially Christianity, is the one that gave birth to the concept of human rights and thus that the latter is not anti-religious or anti-Christian. In this context, there is an urgent need to consider religious education in the eyes of human rights and vice versa.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s how the issues of human rights and ecological crisis have been dealt with in the school curriculum of religious education. Based upon the diagnosis of the problematics in religious education with regards to the issues, this paper will propose a need for a new paradigm of religious education, in which one can nurture our empathetic capacity for human rights, which enables us to take social responsibility and to live well with others including the nonhumans and extending over machines. Human life, as a matter of fact, is always already a form of living and entangled with others, and human rights does not only mean individual rights to live but also social responsibility to build up the foundation of co-life. Rereading in the eyes of living-together the Christian stories of creation, wealth and labour that have been quoted as the theological justification for the survival for the fittest, the winner-take-all effect and the social feeling that no one backs you up, this paper will try to reinterpret the image of God, the trinitarian God, in which our relationship with God is extended over our relationship with neighbors and further over the nonhumans and machines. In this way, as this paper argues, one can nurture a symbiotic community in terms of religious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