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나님의 눈썹은 무슨 색일까? ― 비트겐슈타인 철학과 종교 언어의 문제 (“What Color Is God’s Eyebrow?”: Wittgensteinian Philosophy and the Problem of Religious Languag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22.09
37P 미리보기
하나님의 눈썹은 무슨 색일까? ― 비트겐슈타인 철학과 종교 언어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68호 / 121 ~ 157페이지
    · 저자명 : 김효석

    초록

    본 논문은 “하나님의 눈썹은 무슨 색일까?”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종교 언어의 문제 및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살펴본다. 종교 언어, 특히 하나님에 대한 진술이 철학적 ‧ 신학적으로 문제가 되는 이유는 유한한 인 간의 언어로 무한한 하나님을 말해야 하기 때문이다. 논리실증주의자들은 종교 언어가 검증 또는 반증될 수 없기 때문에 의미를 가질 수 없다며 종교 언어를 공격하였다. 비트겐슈타인은 그의 전기 사상에서 종교 언어는 무의미한 언어로서, 종교와 같이 말할 수 없는 것에 관해서 는 침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사상은 겉보기에는 논리실증주의와 큰 차이가 없어 보이나, 실제 비트겐슈타인의 의도는 종교를 평가절하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중요성을 보이려고 한 것이었다. 전기의 그림 이론과 달리 언어의 다양성과 의미의 맥락 의존성을 강조하는 비트겐슈타인의 후기 철학은 종교 언어도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사용의 맥락을 면밀히 살펴보아야 함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종교철학에 관한 강의” 에서 그는 종교 언어가 사용되는 맥락에 주목할 때 우리는 종교 언어가 자체적인 합리성을 가지는 언어로, 과학의 가설적, 확률적 언어와는 다른 절대성의 언어, 신자들의 삶을 규제하고 조정하는 그림 언어임을 알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이 한국 신학계에서의 종교 언어에 대한 더 활발한 논의를 위해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blem of religious language and Wittgenstein’s philosophy, focusing on the question, “What color is God’s eyebrow?” The problem of religious language, God-talk in particular, arises from the difficulty in using the finite human language to say something about the infinite God. The logical positivists insist that religious language is meaningless, since it can be neither verified nor falsified. Wittgenstein, in his early philosophy, also argues that religious language is meaningless and that what we cannot speak about, like religion, we must pass over in silence. Although his early thought looks similar to that of the logical positivists at first glance, his intention is not to downgrade the importance of religion but rather to show its significance. Unlike the picture theory in his early thought, his later philosophy, which stresses the diverse use of language and the contextuality of meaning, shows us that religious language can be meaningful. He also invites us to pay careful attention to the context of the use of religious language, in order to grasp its meaning. According to Wittgenstein’s “Lectures on Religious Belief,” when we pay heed to the context of its use, we find that religious language has its own rationality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science; that, unlike scientific language, it is neither hypothetical nor probable but absolute; that it is pictorial language which regulates a believer’s whole life. I hope that this article can be a step toward a richer discussion of the problem of religious language in Korean th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