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학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소설 『눈』의 문학 공간 답사 콘텐츠를 중심으로- (Research on Invigoration Scheme for Literature Education - Based on the Literature space and Investigation contents from the novel Snow-)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4.10
29P 미리보기
문학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소설 『눈』의 문학 공간 답사 콘텐츠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슬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이슬람학회논총 / 24권 / 3호 / 211 ~ 239페이지
    · 저자명 : 이난아

    초록

    문학은 현실을 반영하고 표현하는 동시에 인간정신을 탐구하는 산물이면서여타의 다양한 콘텐츠로 확장되는 역동적인 예술장르이기도 하다. 하지만 문학의 이러한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문학 연구는 작품 자체에 대한해석과 분석에 치우쳐 있는 경향이 없지 않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문학교육역시 변화하는 시대상황에 부합되는 학습 자료의 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못해 학습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데 있어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등장인물이나 텍스트 분석에 집중한 결과 작품에 대한 균형 있는 해석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지 못하고 있는 사실 또한 간과할 수없을 것이다.
    이러한 문학교육 풍토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현재 중․고등학교 문학교육에서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다. 예컨대 다양한 창작교육 도입, 독서클럽활동,협동학습, 인터넷상의 사이버 수업 등을 활용한 학습 방법들이 시행되고 있지만, 이러한 교육의 시도 역사가 짧은 만큼 그 실효성 여부는 좀 더 시간을 가지고 논의해야 할 사항이다.
    대학의 교육현장도 별반 사정이 다르지 않다. 현재 여러 대학의 문학교육은 주로 문헌 자료에 의지하여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런 학습방법은 자칫 문학의 역동성을 간과하여 작품에 내포된 현장성을 간과하고 문학작품의 이해를 단순한 자료 분석 수준에 머물게 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변화하는 시대상황에 부합되는 학습 자료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학생들의동감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작품에 대한 이해력도 현저히약화되는 실정이다.1)문학이나 학문적 풍토에서 지금까지 한정 짓고 있었던 문학적 관습을 확장시키려면 고정화되고 관습화된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 문학의 역동성과 현장성을 강조하여 문학을 ‘개인적인 독서체험에서 집단적인 활동체험으로변화’시키고, '문학작품을 문화 산업'에 적용시키려는 일련의 작업도 이러한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2) 그 이유는 문학작품 자체에 대한 분석에만 초점을맞추었던 종래의 수동적인 문학교육과 관습에 새로운 논의와 수정이 요구되고 있고, 이러한 변화의 과정을 외면하거나 거부하기 보다는 적극적인 개입과적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나의 문학 작품을 이해한다는 것은 단순히 글이 담고 있는 정보를 이해하는 수준을 넘어선다. 그것은 읽는 독자의 다양한 생체험과 인식코드를 바탕으로 글을 해석하고 감상하고 향유하는 능력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사실은 문학교육이 문학적 지식에 대한 교육을 넘어서 ‘문화의 이해와개인의 윤리적 실천과 관련한 영역으로 나가는 교육’이어야 함을 의미한다.3)바로 이러한 상황인식에 의거하여 끊임없는 재해석과 창조활동이 이루어지는역동적인 예술행위인 문학의 본질을 문화콘텐츠 개발로 복원하고, 텍스트의생명력을 되살려 교육학습현장에 접목하는 문학 활동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문학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도모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2006년 터키문학사상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터키 작가 오르한 파묵(Orhan Pamuk, 1952~)의 장편소설 『눈, Kar』(2002)의 문학공간이 어떻게다른 문화콘텐츠로4), 이 글에서는 문학 답사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는지에대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5)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교육 현장의 텍스트분석 중심의 전통적이며, 수동적인 학습 방식을 극복하고 학생들의 심도 있는문학작품 이해를 유도하며, 이로써 창조적인 문학 활동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학습방안의 예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학습방안을제시하고, 변화하는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여 문학교육이 새로운 차원으로 승화되기 위해서는, 문학작품이 답사콘텐츠로 확장되는 콘텐츠 간의 개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무엇보다도 먼저 연구 대상 텍스트로 오르한 파묵의 작품들을 선정한 이유는, 그가 신작 소설을 발표할 때마다 새로운 형식과 기법을 선보이며 장르 간의 해체나 새로운 콘텐츠로의 확장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그는 기존 소설의틀을 의도적으로 해체하는 동시에 자신이 이전에 선보인 소설 형식이나 기법을 다른 소설에 똑같이 사용하지 않기 위해 부단히 고민하는 작가이다. 일례로,『눈』에서는 연극과 문학의 경계 허물기 시도, 『내 이름은 빨강 Benimadım Kırmızı』에서는 소설과 세밀화라는 회화의 한 분야와의 경계 허물기,『검은 책 Kara Kitap』에서는 주인공 제랄의 칼럼을 통해서 매스미디어와접목 시도, 『순수 박물관 Masumiyet Müzesi』에서는 전시 콘텐츠와의 접목등 장르 간 크로스오버 시도를 왕왕 볼 수 있다.6)문학의 공간 혹은 작품 속의 공간은 문학 생산자가 임의로 형상화한 공간인 동시에 독자가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는 문학 생산자가 작품에 묘사한 공간을 독자가 나름대로 해석하여 새롭게 창출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 글에서 제시되고 있는 문학 공간들은 연구자가 『눈』의텍스트를 읽고, 해석하고, 유추하여 현장 답사를 통해 추출한 공간들 중 일부에 해당한다는 점을 밝히며, 향후 개진될 연구에서는 더 포괄적으로 다루고자한다.

    영어초록

    In addition to the global academia, the domestic world of academicsis assuming a new aspect to conduct researches that mutually relateliterature to other types of genres, though the research topics couldbe different according to various time periods. As a result, numerousworks are continuously recreated and reproduced into diverse culturalart contents in line with the current periodical trend. It is common towitness the world classics combining with the modern image aestheticsand extending towards the field of music and art, a phenomenon whichwe are also accepting naturally.
    Based on such phenomenon, it is essential to restore thefundamentals of literature; a diverse form of art that is undergoingreinterpretation and creation activities through the development tocultural contents. Moreover, it is important to recover the vitality oftexts and graft it at the education site. The process of revitalizingdynamics and presence of literature by exploring the literature spaceand searching for the connotative meaning within literary texts can beperceived as an art form of continuous reinterpretation and activitiesof creation. It can also be perceived as a learning strategy in whichpeople can understand the literary works most directly. As such,because the space research is an area where the reader can apply atbest the presence and dynamics of literary works, it is also crucial tosee, feel and experience the scene for the work space throughpre-exploration or making literature tours in terms of reinvigoratingand popularizing literature.
    A qualitative literary work can be an excellent cultural content onits own. To take a step further, the literature space for the relatedliterary work has an important intermediating role to stimulate theculture and industry of the particular region. In this sense, OrhanPamuk’s novel, Snow, can be regarded as the most ideal work ofliterature.
    The novel Snow is a fine example of invigorating literatureeducation by using the contents from the explorations made onliterature spaces. Within this work, the real spaces that existobjectively and the subjective spaces that are signified through theconsciousness and experiences from people are all portrayed. In otherwords, the spaces that are reenacted in the literary work are neither amere fiction nor the work of imagination. In Snow, the historicalbackgrounds of real spaces, the socio-cultural contexts, sense andawareness to the space, cultural conventions as well as culturalideologies of the real spaces are all depicted.
    The core competitiveness to the cultural industry is thedifferentiated senses and ideas; it is not necessary to highlight theneed for an education that encourages creative thinking so that thestudents are not restrained upon stereotypes or frames. The culture ofcreativity has been regarded as an indispensable factor behindnurturing competent human resources, and this research observed howthe literature spaces has been utilized as cultural contents. As aresult, it is considered that humane qualities that cultivate creativityand aesthetic senses can be created, in addition to a synergy effectthat brings up convergent talents encompassing diverse gen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