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들리는 세계 속 불투명한 주체 —김동인의 「눈을 겨우 뜰 때」를 중심으로 (The Opaque Subject in the Audible World —Focusing on Kim Dong-in’s ‘Barely Opening the Eye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23.12
30P 미리보기
들리는 세계 속 불투명한 주체 —김동인의 「눈을 겨우 뜰 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71호 / 275 ~ 304페이지
    · 저자명 : 이행미

    초록

    이 글은 김동인의 초기 소설을 대상으로 근대적 자아와 낭만적 예술로 설명될 수 없는 장면과 인물 형상화를 청각적 차원에서 탐구하고자 했다. 한국문학사에서 김동인은 근대 문학의 독자성과 미학을 구축한 작가로 평가되며, 그 바탕에는 자기동일성을 전제로 한 내면성을 지닌 낭만적 주체가 자리한다고 이해된다. 하지만 김동인의 소설에는 이와 다른 이질적인 요소들도 존재하며, 그것은 작가의 의식적인 창작활동뿐만 아니라 무의식적으로 형성된 부분이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특히 이 글에서는 김동인 초기 소설의 대동강 재현의 의미를 소리의 환경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눈을 겨우 뜰 때」(1923)를 중심에 놓고, 다른 소설들과 비교하면서 김동인 소설에 나타나는 노래, 자연, 자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작가가 추구한 미적 근대성을 초과하는 장면들을 적극적으로 읽어내고자 했다. 김동인은 공동체의 노래로 구전되어 오던 서도소리를 근대적 예술로 변화시키는 문제에 천착했다. 그런데 그 향유자인 기생의 타자성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작가의 문학관이나 자아주의로 환원되지 않는 ‘듣는 주체’의 형상이 등장하였다. 이는 김동인 소설 내에서도 특별한 인물로, 세계와 타인의 말에 귀 기울이며 타자성의 계기를 자아의 일부로 삼는 인물이다. 요컨대, 「눈을 겨우 뜰 때」는 1920년대 초반 시각적 주체로서의 자기동일적인 근대적 주체에 대한 담론과 문학적 재현이 지배적이었던 시기에 청각적 주체의 형상과 그 윤리적 의미를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portrayal of modern self and romantic art in Kim Dong-in’s early novels from an auditory perspective. In Korean literary history, Kim Dong-in is recognized as a figure who established the autonomy and aesthetics of modern literature, grounded in a romantic subject with self-identity. However, his novels also contain elements that are divergent from this interpretation, which could be a result of both conscious creative activity and unconscious formation.
    Under this problem consciousness, this paper particularly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the Daedong River in Kim Dong-in’s early works, focusing on the environment of sound. Specifically, it centers on ‘Barely Opening the Eyes’ (1923), comparing it with other novel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ng, nature, and self in Kim Dong-in’s literature. This also extends to actively interpreting scenes that go beyond the aesthetic modernity pursued by the author. While Kim Dong-in concentrated on transforming community songs, like the Seodo folk songs, into modern art, the process of representing the otherness of the gisaeng, who are the consumers of this music, shapes a ‘listening subject’ that does not reduce to the author’s literary view or individualism. This represents a unique character in Kim Dong-in’s literature, portraying an individual who attentively listens to the world and others’ words, incorporating instances of otherness as part of the self. In conclusion, ‘Barely Opening the Eyes’ presents the form and ethical meaning of an auditory subject during the early 1920s, a period dominated by the discourse and literary representation of a visually-oriented, self-identical modern su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