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마도(쓰시마)를 그린 그림: 조선 후기 화가의 눈에 비친 국경의 섬 (Paintings of Tsushima: A Border Island Reflected in the Eyes of Painters in the Late Joseon Period)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23.08
27P 미리보기
대마도(쓰시마)를 그린 그림: 조선 후기 화가의 눈에 비친 국경의 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46권 / 121 ~ 147페이지
    · 저자명 : 박성희

    초록

    본 연구는 조선 후기에 대마도(對馬島)를 제재로 그린 일반 회화 작품 3건(7점)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은 이들 그림을 한일 양국의 문헌 및 이전 시대와 동시대의 회화 관련 자료들과 비교, 분석하고 그 조형적 특징을 다시금 고찰함으로써, 새롭게 변모해 나간 18, 19세기한일 회화교류의 양상을 좀 더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이다.
    먼저, 1748년 통신사(무진사행)의 수행화원 이성린(李聖麟, 1718~1777)이 그린 《사로승구도(槎路勝區圖)》(1748년경, 국립중앙박물관)에는 2점의 대마도 그림이 수록돼 있다. 이 작품은 부산에서 에도(江戶)에 이르는 통신사의 여정을 담은 30개의 장면으로 구성돼 있는데, 각 장면의 표현에는 세부 묘사의 정밀도로 인한 현장감의 차이가 나타난다. 대마도 그림 2점, <대마도방포뇌호(對馬島芳浦瀨戶)>와 <대마주서산사(對馬州西山寺)>는 실제의 경험과 현지 스케치를 바탕으로 제작된 장면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화가의 서명이 없는 공적(公的)인 용도의 사행기록화(使行記錄畵)이면서도, 사실에 기반을 둔 표현을 하고자 한 흔적들이 엿보인다는 점에서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로서의 측면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1811년 통신사(신미사행)의 수행화원 이의양(李義養, 1768~?)이 중국과 일본 사행의 견문을 바탕으로 그린 《이신원사생첩(李信園寫生帖)》(1812년, 간송미술문화재단)에는 대마도 그림이 4점 실려 있다. 이 작품에는 화가의 서명이 남아있어 사적(私的)인 요청에 따라 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대마도 그림 4점, <대마도수정(對馬島水程)>, <좌수포(佐湏浦)>, <서박포(西泊浦)>, <대마도부중(對馬島府中)>은 모두 대마도까지 가는 길에 지나간 포구(浦口)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화면 안의 풍경은 위에서 내려다보는 구도로 세밀하게 묘사하고, 포구의 명칭도 같이 적어 정보를 전달하는 기록화의 성격을 드러낸다. 이는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에 고조된 조선 지식인들의 일본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이들 4점은 조선의 화원화가가 남종화풍 필묵법을 구사해 일본의 경치를 충실하게 표현한 19세기 초의 실경산수화이다. 이전 시대의 사행기록화와 차별되는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의양은 1점의 대마도 그림을 더 남긴 것으로 추정된다. 부산박물관 소장의 <산수도>(1811년경)이다. 화면에 있는 관서(款署)를 통해 이의양이 동시대의 일본 화가 다니 분초(谷文晁, 1763~1840)의 그림을 방(倣)했음을 알 수 있다. 화면의 원경에는 일본의 전통적인 표현법으로 그려진 후지산(富士山)이 보이는데, 다니 분초의 그림을 참고한 것으로 여겨진다. 의문점은 화면의 근경으로, 바다 위의 섬처럼 표현됐으며 원경보다 강렬한 존재감을 뽐낸다. 필자는 다소 기괴한 모습으로 그려진 묘사에 주목했다. 기존에 제시된 의견들을 소거하는 방법을 사용해 화면의 근경은 이경(異境)으로서의 대마도의 모습을 조선식으로 변용한 형태라는 잠정 결론을 냈다. 현재 3점이 남아있는 ‘방다니분초산수화(倣谷文晁山水畵)’ 중 하나인 이 그림은 19세기 초에 나타난 한일 회화교류의 일면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대마도를 그린 조선 후기의 일반 회화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고, 각각의 그림이 가지는 미술사적인 의의를 재검토했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의 화가들이 이국의 풍경을 화폭에 담을 때 어떤 점에 주안을 뒀으며, 통신사행의 여정 가운데 어떤 장면들이 취사 선택됐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이국 풍정을 담은 조선 후기 실경산수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다만,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당초에 계획했던 일본 현지 조사를 시행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있다. 웹 데이터베이스와 사진 자료 등을 참고하는 방법으로 대체했다. 부족한 점은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해나가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imarily examines three general paintings (comprising seven piece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These paintings depict Daema-do (Tsushima) Island as a motif. The study aims to further clarify newly transformed aspects of the Korea-Japan relationship, mediated by paintings,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se paintings were reconsidered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literature from Korea and Japan and materials associated with art and paintings from earlier and contemporary eras.
    First, “Saroseunggu-do” (circa 1748, National Museum of Korea) painted by Yi Seong-rin (1718~1777), a painter who accompanied Mujin (1748) Tongsinsa, contains two paintings of Tsushima. It comprises 30 scenes that represent Tongsinsa’s journey from Busan to Edo. Each scene portrays a difference in the sense of realism through the precision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scenes in the two paintings of Tsushima are speculated to be based on actual experiences and local sketches. It is a documentary painting of Korean Envoys for official use without the painter"s signature, but it reveals traces of the artist attempting to express experiences based on reality. From one perspective, it can be seen as a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
    Next, “Yi Sin-won Sasaeng-cheop” (1812, Kansong Art and Culture Foundation) painted by Yi Ui-yang (1768~?), a painter who accompanied Sinmi (1811) Tongsinsa, contains four paintings of Tsushima. It is based on his experiences as a Korean envoy to China and Japan. Since the artist’s signature is present, this work is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upon a private request. All four paintings depict the port that one had to pass by on the way to Tsushima. The scenery is composed in detail from a bird’s-eye view. The name of the port is also written on the screen, aligning with the characteristic of documentary paintings conveying information. This can be perceived as a reflection of the heightened interest of Korean intellectuals in Japan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early 19th century. Additionally, these four pieces are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by a court painter of the Joseon dynasty who used his brush base skills with a style of Chinese painting of the Southern School to faithfully express the scenery from Japa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a different perspective when compared to documentary paintings of Korean envoys from the previous era.
    Finally, Yi Ui-yang is presumed to have left another painting of Tsushima. “LandscapePainting” (circa 1811) is part of the Busan Museum collection. His signature on the screen indicates that he attempted to imitated a painting by the contemporary Japanese painter, TaniBuncho (1763~1840). On the background of the screen, Mt. Fuji can be seen painted in the Japanese traditional method of expression, which is believed to be derived from the painting of Tani Buncho. The highlight is the foreground of the screen which is expressed like an island on the sea and exhibits a stronger presence compared to the background. Here, I paid close attention to the description drawn in a rather bizarre shape. Using the method of elimination of previously suggested opinions, I drew a tentative conclusion. The foreground of the screen is a Joseon-style transformation of the appearance of Tsushima, a foreign view. This painting can be considered an interesting example of an aspect of the Korea-Japan relation mediated by paintings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 main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were general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period that depict Tsushima. The significance of the art history of each painting was reexamined. This made it possible to grasp what the painters of the late Joseon period focused on when representing foreign views on the screen of paintings, and which scenes were selected from Tongsinsa’s journey. I hope these results will help expand the understanding of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which contain tasteful foreign scenes. Unfortunately,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the field survey in Japan that had been originally planned could not be conducted. Instead, I employed the method of referring to web databases and photo materials. The deficiencies will be supplemented through follow-up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