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누구를 위한 연극: 동시대 ‘시민’ 연극의 질문과 연극예술의 경계―<아파도 미안하지 않습니다>(2020)를 중심으로 (Play for Whom: The Question of Contemporary 'Citizen' Theatre and the Boundary of Theater Arts ―Focusing on (2020))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22.04
35P 미리보기
누구를 위한 연극: 동시대 ‘시민’ 연극의 질문과 연극예술의 경계―&lt;아파도 미안하지 않습니다&gt;(2020)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75호 / 11 ~ 45페이지
    · 저자명 : 박상은

    초록

    본 연구는 왜 질병권 연극이 아픈 몸-배우의 연극을 선택지로 했으며 이는 한국 현대 문화사 속에서 이어진 연극을 통한 운동의 역사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의미 지어질 수 있는가를 살피고자 했다. 본 글은 시민연극 <아파도 미안하지 않습니다>(2020)와 워크숍-공연-공연 이후에 대한 기획자와 아픈 몸-배우의 기록과 수기를 담은 책 『아픈 몸, 무대에 서다』(2022)를 기반으로 이 질문들에 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의 근현대 연극운동의 아마추어-비전문인 연극운동의 전통, 그리고 억압과 착취의 요소를 세분화하여 사회 정의를 모색한 ‘차이의 정치’의 논의를 참고했다.
    대학, 문화운동, 연극치료, 문화예술교육의 방식으로 나타난 한국 아마추어 연극의 전통과 마주할 수 있는 개념은 응용연극 또는 실용연극으로 번역 가능한 ‘Applied Theater’와 ‘플레이백 시어터Playback Theater’이다. <아파도 미안하지 않습니다>(2020)에서 아픈 몸은 물리적 현존, 통합적인 감각을 통한 형상화, 공동체 구성의 가능성이라는 연극의 매체적 전통을 적절히 활용하며 현재 사회의 정상성의 기준에 내재한 폭력을 비판한다.
    2장에서는 연극의 제작과 창작, 공연 과정에서 차용된 형식들을 살폈다. 준비 과정에서 즉흥성에 기반한 다양한 방식의 훈련은 아픈 몸-배우들이 체험적 진실을 마주할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활용되었으며 공연에서 낭독과 재연, 코러스와 즉흥적 춤이 유연한 활용은 고통의전시에 경도되는 것이 아닌 이해와 성찰의 차원으로 관객들을 이끌었다. 이 공연에서 아픈 몸-배우의 연기와 적절한 형식의 활용은 당사자성이 빠질 수 있는 피해자 프레임에서 벗어나면서 아마추어 배우라는 명명이 환기하는 비숙련성과 떨림, 우발적인 눈물이 관객과 무대 간의 긴밀한 연결을 만들어내는 매개로 작용하게 했다.
    3장에서는 연습과정과 창작 및 공연 과정에서 참여연극의 전통과 방법론이 차이의 정치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을 분석하고 한국 근현대 연극운동사에서 정치 투쟁과 연계되었던 아마추어 연극과의 분절성과 연속성을 살폈다. 연습 과정에서 배우들이 참여연극의 전통을 활용함으로써 자신의 목소리와 동작에 체화되어 있었던 사회적 시선들을 의식하고 가시화하지 못했던 감정-사고를 마주할 수 있었다. 아픈 몸이 경험해야 했던 몰이해의 순간들에 대한 현시는 우리가 다층적인 인간관계들, 사회 문화적인 의미망들, 제도적인 틀 속에서 직면해야 했던 소외와 소통 불능의 순간들을 정확히 유비하기 때문에 현실적이다. 나아가 아픈 몸은 지금-여기의 경제적 생산성에 대한 기준들, 개개의 사람을 대체 가능한 자원으로서 여겨지는 사회문화적인 조건과 분위기들에 질문을 던지도록 유도하면서 집단 구성을 확대하기도 했다. 또 공동창작, 당사자의 실질적인 체험에 기반한 서사의 고려, 자발성과 창조성을 존중하는 환경과 방법이 한국 현대 연극운동과 동시대 연극장의 전환적 흐름과 연속성을 형성함을 밝혔다.
    이처럼 <아파도 미안하지 않습니다>는 배우의 몸, 무대 위에서의 구현, 놀이와 의례로서의 속성이라는 연극 본연의 미학적 차원과 참여연극의 전통과 새로운 방법론들, 그리고 아픈 몸이라는 시민 배우가 교차함으로써 만들어졌다. 해방적 정체화를 모색했던 한 편의 질병권 연극의 걸음이 동시대의 시민성과 시민권에 대한 성찰을 가능하게 했듯이, 계속되는 ‘시민’ 연극의 출현을 기대해 보아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avant-garde of art originates from a new questioning on the utility of expression/enjoyment/creative subject/art in the contemporary horizon. If on one side of the spectrum of contemporary theatrical avant-garde, attempts to expand the sense of presence-based theatrical performance based on technical help can be placed, on the other hand, wouldn't it be possible to position the acting of non-artists? The acting of non-artists shows the phase of maximizing the effect of performing while actively utilizing the intrinsic properties of actors, existential encounters, and plays. If it is possible to give the name of avant-garde to the latter trend, which is the most simple in terms of technology and media, what is the reason?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about the right to disease, <Apado Mi-anhaji Anhseupnida> (2020), and the citizen play <Apado Mi-anhaji Anhseupnida> (2020: planned by Jin-Hee ChoHan, directed by Hye-Kyung Heo) was conducted in March 2020, after openly recruiting participants. From July 11 to 12 of the same year, it was performed at Ieum Art Hall in Daehangno, and was released online from July 11 to August 31. Since then, it has been staged in various groups and communities, and in November 2020, it won the Red Award in the ‘Notable Eyes’ category, and in April 2021, it was nominated for the theater category at the 57th Baeksang Arts Aw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contemporary amateur plays asking questions about 'citizens' and the intrinsic properties of plays such as actors/actual space/audience and their utility.
    Chapter 2 examines the forms borrowed from the production, creation, and performance of plays. In the preparation process, various types of training based on improvisation were used as a way for the sick body-actors to face the experiential truth. Instead, he led the audience to the dimension of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In this performance, the sick body-actor's acting and proper use of form break away from the victim frame where the individuality can be lost, and the unskillfulness, trembling, and accidental tears evoked by the name of an amateur actor create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stage. made it act as a medium.
    Chapter 3 analyzes how the traditions and methodologies of participatory theater effectively reveal the politics of difference in the practice process, creation and performance process, and examines the segmentation and continuity with amateur theater that has been linked to political struggles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theater movements. By utilizing the tradition of participatory theater during the practice process, the actors were able to become conscious of the social gazes embodied in their voices and movements, and to face emotions-thoughts that they could not visualize. The manifestation of the moments of incomprehension that the sick body had to experience is realistic because it accurately analogizes the moments of alienation and inability to communicate that we had to face in multi-layered human relationships, social and cultural networks,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Furthermore, the sick body expanded the composition of the group, leading to question the here-and-now economic productivity standards and socio-cultural conditions and climates in which individual people were viewed as alternative resources.
    In the era of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technologies, theater plays a pivotal role in creating an 'organized and public cultural form' for a better life. <Apado Mi-anhaji Anhseupnida> was created by the intersection of the theater's original aesthetic dimension of the actor's body, the realization on stage, and the attributes of play and ritual, the tradition and new methodologies of participatory theater, and the citizen actor who is sick. Just as the stage of a disease-sector play that sought emancipatory identity made it possible to reflect on contemporary citizenship, we should look forward to the emergence of another 'continuous' civil dram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