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타분석을 이용한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성인 뇌졸중 환자의 상지운동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분석 (The Effect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mCIMT) on the Improvement of Upper Motor Function in Adult Stroke Patients Using Meta Analysi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21.08
12P 미리보기
메타분석을 이용한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성인 뇌졸중 환자의 상지운동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11권 / 2호 / 13 ~ 24페이지
    · 저자명 : 김석범, 김동현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성인 뇌졸중 환자에게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적용한 연구를 탐색하여,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향상에 있어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의 효과크기를 평가하고, 치료 적용 조건(총 제한시간, 총 치료시간, 제한부위)에 의한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가장 적절한 치료방법의 선택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Pubmed를 이용하여 2000년 1월부터 2021년 1월까지 발표된 문헌을 검색한 후 선정 및 배제기준에 부합하는 자료를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무작위대조군실험연구 11편을 분석하였다. 상지운동기능의 평가도구는 Fugl Meyer Assessment(FMA)로 평가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효과크기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절변수인 치료 적용 조건별 효과크기를 추정하기 위하여 조절효과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출간오류분석은 Egger’s regression test를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결과: 11편의 논문을 통해 mCIMT의 효과를 종합한 결과, mCIMT를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ES=0.975, 95% CI: 0.199∼1.751, p=0.004). 치료 적용 조건에 따른 mCIMT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총 치료시간”이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났으며(Qb=11.90, p=0.0006), 30시간 미만 치료시간 그룹에서 유의미하게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ES=2.042, 95% CI: 1.227∼2.857, R2= 64.38%). “총 제한시간”(Qb=0.01, p=0.924)과 “제한부위”(Qb=0.59, p=0.441)는 유의한 조절변수가 아니었다. 다만 “총 제한시간”의 경우 100시간 이하 집단이 유의미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ES=0.998, 95% CI: 0.065∼1.930), “제한부위”는 손을 제한한 집단이 유의미한 큰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ES=1.110, 95% CI: 0.220∼2.000). 11편의 논문의 효과크기와 표준오차의 관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어 출판비뚤림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bias=0.815, p=0.800).
    결론: mCIMT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운동기능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방법으로 효과적이다. 그리고 mCIMT의 치료 적용 조건을 구성함에 있어 총 치료시간을 30시간 미만으로 프로그램하고, 총 제한시간은 총 치료시간에 따라 유연하게 조절하며, 제한부위는 팔과 손을 제한하는 방법과 손만을 제한하는 방법을 혼용하여 적용하는 것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운동기능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안한다.

    영어초록

    Objective : This study explored researches that applied mCIMT to adult stroke patients, evaluated the effect size of mCIMT in improving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se it as basic data for selection of the most appropriate treatment method by examining the modulating effect with the treatment application conditions(total restraint hour, total therapy hour, and restraint region).
    Method : After searching the literatures published from January 2000 to January 2021 using Pubmed, data that m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selected, and finally 11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udies were analyzed. The evaluation tool for upper motor function was the Fugl Meyer Assessment (FMA), and effect siz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Moderation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effect size for each treatment application condition, which is a moderator variable, and the publication err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Egger's regression test.
    Result :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 effects of mCIMT through 11 papers, the experimental group in which mCIMT was applied to Reum showed a larger effect size than the control group (ES=0.975, 95% CI: 0.199∼1.751, p=0.00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mCIMT according to treatment application conditions, “total therapy hour”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oderator variable(Qb=11.90, p=0.0006), and a significant larger effect size was found in the treatment time group of less than 30 hours (ES=2.042, 95% CI: 1.227∼2.857, R2=64.38%). “total restraint hour”(Qb=0.01, p=0.924) and “restraint region”(Qb=0.59, p=0.441) were not significant moderator varialbes. But in the case of “total restraint hour”, the group with less than 100 hour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large effect size(ES=0.998, 95% CI: 0.065∼1.930), and in the case of “restraint region”, the group with limited hands had a significant large effect size(ES=1.110, 95% CI: 0.220∼2.000).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size and the standard error of 11 articles, indicating that there was no publication bias (bias=0.815, p=0.800).
    Conclusion : mCIMT is an effective occupational therapy method for improving upper motor function in stroke patients. In addition, when we make up the treatment application conditions of mCIMT, the “total therapy hour” is programmed to be less than 30 hours, the “total restraint hour” is flexi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otal therapy hour”. Mixed application of methods that restriction of hands and restriction of hands and arms is propos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upper motor function in stroke pati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