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제지향훈련 및 부가적인 TENS 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근활성, 운동기능 및 경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ask-Related Training Combined with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on Muscle Activation, Motor Function and Spasticity in Patients with Stroke)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6.09
16P 미리보기
과제지향훈련 및 부가적인 TENS 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근활성, 운동기능 및 경직에 미치는 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55권 / 3호 / 435 ~ 450페이지
    · 저자명 : 조휘영, 정진화, 정경심, 인태성

    초록

    본 연구는 만성뇌졸중 환자에게 과제지향훈련 및 부가적인 TENS(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중재가 상지의 근활성, 운동기능 그리고 경직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단일맹검 및 사전 무작위 임상시험으로 진행되었으며, 24명의 만성 뇌줄중 환자는 무작위로 실험군(n=12)과 대조군(n=12)로 배정되었다. 실험군은 과제지향훈련을 4주간 주 5회, 총 20회 시행하였고, 과제수행 전 30분간 TENS자극을 마비측 팔에 적용받았다. 대조군은 동일한 과제지향훈련을 수행하였고, 속임 TENS자극을 받았다. 근활성은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였고, 상지의 운동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Fugl-Meyer 상지 검사를 이용하였다. 또한 경직을 측정하기 위하여 Modified Ashworth Scale(MAS)를 사용하였다.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근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상지의 운동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경직도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긴노쪽손목폄근과 운동기능 그리고 팔꿉 굽힘근의 경직을 유의하게 개선하였다. 본 연구는 과제지향훈련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활성 증가, 운동기능개선 그리고 경직 중재에 효과적이며, 부가적인 TENS 중재는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킴을 증명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task-related training (TRT) combined with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on the improvement of upper limb muscle activation, motor function and spasticity of upper extrem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is study designed as a pilot randomized clinical trial study. 24 inpatients with chronic stroke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n=12) and the control group (n=12).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high-frequency TENS for 30 minutes on wrist and elbow extensors,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placebo-TENS stimulation that was not real electrical stimulation. All participants in both groups conducted task-relate training for 30 minutes after TENS application five days a week for four weeks (20 sessions). The primary outcomes of upper limb muscle activation were measured by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and Fugl-Meyer upper extremity scale (FMUE) was used to assess motor function of upper extremity. Modified ashworth scale (MAS) was used to identify spasticity. Th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4 weeks intervention period.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muscle activation, motor function, and spasticity after intervention. Especial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activation of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FMUE, and spasticity on elbow flexo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ur findings indicate that TRT is effective to improve muscle activity, motor function and spasticity in paretic upper limb of chronic stroke patients, and additional TENS application makes this more effici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