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강에 대한 신경인지재활치료가 뇌졸중환자의 삼킴장애와 조음장애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The Effectiveness of Oral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Dysphagia and Dysarthria of Stroke Patients)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20.12
8P 미리보기
구강에 대한 신경인지재활치료가 뇌졸중환자의 삼킴장애와 조음장애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 12권 / 2호 / 1 ~ 8페이지
    · 저자명 : 우경석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신경인지재활치료기반의 연하장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2020년 9월 16일부터 2020년 10월 31일까지 1일1회 총 30회기동안 30분씩 신경인지재활치료를 제공하였으며, 혀의 정중선에 대한 인식을 개선함으로서 혀의 편위를감소시키는 훈련과, 체성감각의 촉각 및 압각, 운동감각을이용하여 수동적으로 혀의 표면에 다양한 물체를 접촉하게하여, 구강내부에서 형태를 인식하도록 문제를 제시하였다.
    치료 전후에 대한 보고를 Korean Mann Assessment of Swallowing Ability (MASA)와 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SMST), Correct Consonants (C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신경인지재활치료 중재 후 K-MASA점수는 163점에서 179점으로 향상되었고, SMST점수는 94점에서 99점으로, CC점수는 33점에서 43점으로 향상하였다. 세부항목으로는협응운동(Dysraxia), 조음(Dysarthria), 입술다물기(Lip seal), 혀의 움직임(Tongue movement), 혀의 근력(Tongue strength), 혀의 협응(Tongue coordination), 음식덩이 제거(Bolus Clearance), 조음규칙성⋅정확성(Articulation), ㅋ/ㅈ/ㅉ/ㅊ/ㄹ 자음에서향상된 수행을 보였다.
    결론: 신경인지재활치료는 뇌놀중 환자의 입술과 혀의기능향상을 가져와 구강준비단계와 구강단계의 수행을 향상시키고, 입술과 혀의 기능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연하장애치료와 조음장애치료에 효과를 보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based dysphagia treatment on stroke patients.
    From 16th September, 2020 to 31st October, 2020, the patients were provided with 30 minutes of daily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daily (30 times in total). Treatment involved training to improve the recognition of the mid-position of the tongue to decrease deviation, as well as passively touching various things with the tongue. The latter activity was designed to stimulate somatosensory, touch and motor sensations of the tongue. Korean Mann Assessment of Swallowing Ability (MASA), 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SMST), and Correct Consonants (CC) were used to assess the patient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fter the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K-MASA scores improved from 163 to 179 points. Similar improvements were seen in SMST (from 94 to 99 points) and in CC (from 33 to 43 points). In particular, patient showed improved results in dysraxia, dysarthria, lip seal, tongue movement, tongue strength, tongue coordination, bolus clearance, articulation and in certain consonants (ㅋ, ㅈ, ㅉ, ㅊ, ㄹ).
    In conclusion,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brought functional improvement in the lips and tongues of stroke patients. This resulted in improvement in oral preparation stage and oral stage performances, which finally led to an effective treatment of dysphagia and articulation difficul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