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글판 뇌진탕후증후군 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Postconcussional Syndrome Questionnaire)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31 최종저작일 2015.06
10P 미리보기
한글판 뇌진탕후증후군 척도의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신신체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신신체의학 / 23권 / 1호 / 26 ~ 35페이지
    · 저자명 : 윤미리, 고영훈, 한창수, 조숙행, 전상원, 한창우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Lees-Haley가 1992년 개발한 Postconcussional Syndrome Questionnaire(PCSQ)의 한글판(K-PCSQ)을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2009년 4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외래에 내원한 외상성 뇌 손상 환자들 중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10(ICD-10)의 뇌진탕후증후군, 기질성 정신질환(기질성 기분장애, 기질성 불안장애, 기질성 인격장애, 기질성 감정이변성장애)의 진단기준을 만족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포함하였다.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형 평가 척도인 K-PCSQ, State and Trait Anxiety inventory(STAI-I. II),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PCSQ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으며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K-PCSQ의 Cronbach’s alpha 값은 0.956,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0.836이었으며 STAI-I. II, CESD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요인 분석 결과 K-PCSQ는 4개의 요인구조를 보였으며, 제 1 요인은 ‘기분 및 인지 증상’ 요인, 제 2 요인은 ‘신체 증상’ 요인, 제 3 요인은 ‘드물게 나타나는 증상’ 요인, 제 4 요인은 ‘과장 또는 부주의한 응답’ 요인으로 나타났다. 뇌진탕후 증후군 환자와 기질성 정신질환 환자 두 군에서 K-PCSQ의 총점과 4가지 하위 요인의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과장 또는 부주의한 응답’ 항목에 답변한 대상자들은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K-PCSQ의 총점과 4가지 하위 요인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본 연구는 K-PCSQ가 두부외상으로 인한 정신의학적 증상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통해 임상적인 유용성의 평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concussional Syndrome Questionnaire(KPCSQ)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in 1992 by Lees-Haley.
    Methods: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were recruited from April 2009 to December 2011 from the Korean University Ansan Hospital. We selected patients that met the ICD-10 diagnostic criteria of postconcussional syndrome and organic mental disorder including organic mood disorder, organic emotionally labile disorder, organic anxiety disorder and organic personality disorder. The KPCSQ, Trait and State Anxiety Inventory(STAI-I, II),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were administered to all subjects. Factor analysis of the items were performed and test-retest correlation were evaluate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PCSQ and its subscales was assessed with Cronbach’s alpha. External validity of the KPCSQ were examined by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STAI-I, II, and CESD.
    Results: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e total PCSQ was 0.956.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was 0.845. The PCSQ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TAI-I, II and CESD. The factor analysis of the PCSQ yielded 4 factors model. Factor 1 represented ‘affective and cognitive symptoms’, factor 2 represented ‘somatic symptoms’, factor 3 represented ‘infrequent symptoms’ and factor 4 represented ‘exaggeration or inattentive respon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CS group and the organic mental disorder group in the score on each measure. The scores on KPCSQ and its subscales in the subjects that had scored 5 or more in ‘exaggeration or inattentive response’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subjects had scored 4 in ‘exaggeration or inattentive response’.
    Conclusions:This study suggests that the Korean version of PCSQ is a valid and reliable tool for assessing psychiatric symptomatology of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Further investigations with greater numbers of subjects are necessary to assess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 KPCSQ.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신신체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