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위당문고 소장 『뇌제문(誄祭文)』에 나타난 초기 하곡학파의 하곡학 인식 (The Perception of Hagok Thought of the Hagok School Shown in Noejemun in Widang Book Collect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31 최종저작일 2024.03
28P 미리보기
위당문고 소장 『뇌제문(誄祭文)』에 나타난 초기 하곡학파의 하곡학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55권 / 115 ~ 142페이지
    · 저자명 : 김윤경

    초록

    본 논고는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에 보관된 위당문고 자료 가운데, 정제두 관련 단행본인 『뇌제문(誄祭文)』에 나타난 초기 하곡학파의 하곡학 인식을 검토한 것이다. 대표적인 현행본 하곡집 (국립중앙도서관 22책본)에 수록된 제문은 위당문고 소장 『뇌제문』을 편집한 후대본이다. 『뇌제문』에 속한 제문 가운데 박문원, 김택수, 민취안, 정중엽, 이백령의 제문은 현행본 하곡집 에서 완전히 빠져있다. 또 이광신, 이진병, 정준일, 성이관 등 현행본에 수록된 제문들도 상당부분 축약되어 있다. 이 가운데 김택수의 제문은 정인보가「양명학연론」에서 인용한 내용과 동일하며, 정제두의 학문적 연원과 사상적 특징이 양명학임을 규정한 중요한 자료이다. 수록 내용은 짧지만 이백령의 제문에서도 정제두가 양명학을 본령으로 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현행본에서 삭제된 내용을 검토하면 초기 하곡학파가 정제두와 양명학의 연관성을 의식하고 있었던 점을 살필 수 있으며, 이를 의도적으로 부정하거나 대신 정명도의 학문과 맥을 같이 한다는 점을 강조한 내용도 다수 발견할 수 있다. 이들은 대개 정제두의 사상적 특징을 본원의 함양과 자득에 두었다. 심육과 이진병은 특별히 ‘주정(主靜)’을 언급했는데, 이들은 정제두의 ‘태극주정설(太極主靜說)’이 선학(禪學)과 다른 개념임을 강조함으로써 하곡 사상의 정통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위당문고본 『뇌제문』은 현행본에서 산삭되지 않은 초기 하곡학파의 하곡 사상 인식을 고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곡이 양명학을 했는가, 주자학을 했는가 하는 논란이 당대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중기 하곡학파의 학문 방법과도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early Hagok School's perception of Hagok thought shown in Noejemun(The messages of condolence), a book related to Jeong Je Du among the materials housed by Widang Book Collection housed in the Office of the National Study of Yonsei University. The formularies collected in the existing edition <Hagokjip> (22 books,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re a later edition of Noejemun in Widang Book Collection. Of the formularies in Noejemun, those of Park Mun Won, Kim Taek Su, Min Chui An, Jeong Jung Yeop, and Lee Baek Ryeong are completely missed in the present edition of Hagokjip. In addition, many other formularies included in the present edition, such as those of Lee Gwang Shin, Lee Jin Byung, Jeong Jun Il, and Seong Lee Gwan, are significantly abridged. Of those, the content of the formulary of Kim Taek Su is same as the content cited by Jeong In Bo in his Yangminghak Yeonron, and is an important material which defined the academic origin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Jeong Je Du as Yangming studies. Although brief, the formulary of Lee Baek Ryeong also shows that Jeong Je Du took Yangming studies as the base of his philosophy. Also, by examining the deleted parts in the present edition, this paper could find that the early Hagok School was aware of the connection between Jeong Je Du and Yangming studies, and that there were many other writings which denied such connection intentionally while emphasizing that Jeong Je Du shared a view with the study of Jeong Myung Do. They usually understood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Jeong Je Du as the development and self-learning of the genuine goodness of hearts. Sim Yuk and Lee Jin Byung especially commented 'Jujeong (主靜)', and they tried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Hagok though by emphasizing that Jeong Je Du's Taegeukjujeongseol was a different idea than seohak. Noejemun in Widang Book Collection helps us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Hagok thought by the early Hagok School, which is not shown in the present edition. It shows that there was a controversy whether Hagok engaged in Yangming studies or Neo-Confucianism even in the days, and further allows us to infer that it had some connection with the study method of Hagok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