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風雲雷雨樂章>과 동아시아 중세생태주의 담론 (Pungulloeu Akjang(風雲雷雨樂章) and East Asian Medieval Ecological Meaning)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31 최종저작일 2018.12
33P 미리보기
&lt;風雲雷雨樂章&gt;과 동아시아 중세생태주의 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국문학 / 185호 / 181 ~ 213페이지
    · 저자명 : 조규익

    초록

    조선조 풍운뇌우 제례는 명나라 『洪武禮制』에 따라 山川 및 城隍과 합사된 형태로 『國朝五禮儀』(吉禮 中祀)에 실려 있는데, 그 제례에서 풍운뇌우 신에게 올리던 악장이 <풍운뇌우악장>이다. 바람․구름․우레․비 등은 백성들의 안위나 豐饒에 결정적인 의미를 지닌 기상 요인들이었으므로, 마을을 지켜 준다고 믿었던 성황신과 함께 숭배되어 온 신들이다. 중세왕조에서 백성들은 곡식을 하늘로 여겼고, 제왕은 백성을 하늘로 여겼다. 우순풍조는 곡식의 생장과 결실에 절대적 조건이었고 곡식의 충실한 생장과 결실은 백성들의 삶과 직결되었기 때문에, 왕도정치를 행하고자 하던 제왕은 백성의 풍요를 무엇보다 중시하지 않을 수 없었다. 생태 즉 자연과 기상의 조화는 왕도정치 수행의 필수 요건이었다. 중세왕조의 제례나 악장에서 ‘자연의 조화에 순응하려는 인간의 의지, 제사 절차나 제도를 중국의 그것과 조화시키려는 정치․외교적 의도, 악장 제작에 사용된 述而不作의 결구 방법’ 등 단순한 자연생태 이외에 ‘중세 보편주의’를 지향하던 지배층의 역사의식과 현실인식도 함께 읽어낼 수 있다. 따라서 중세생태주의 담론에는 중세적 보편성과 생태적 삶의 양식 등 두 가지 개념들이 융합되어 있는 셈이다. <초헌풍운뇌우악장>의 전단에는 음양의 평형, 三才之道, 상호공생 등 易理를 바탕으로 생태계의 상호연계․상호제약․조화와 생명해방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유기체적 자연관으로서의 『주역』 생태관이 제시되어 있다. 후단은 전단에 제시한 『주역』 생태관을 근거로 백성들의 풍요를 간구한 부분이다. 이처럼 <초헌풍운뇌우악장>에는 ‘생태 조건의 준수→풍요의 향유→이상 정치의 구현’이라는 圖式이 내포되어 있다. 자연의 생태적 법칙에 따라 영위되는 것이 농업이고, 농업은 당시 백성들이 먹고 살아야 하는 문제의 유일한 해결책이었음을 감안한다면, 자연의 신호를 읽고 대처할 수 있는 제왕의 능력은 善政의 최우선 조건이었다. 따라서 <풍운뇌우악장>의 이론적 바탕은 『주역』․『상서』․『맹자』 등 유교 경전에서 마련한 생태주의적 정치관이며, 그것은 상당기간 중세의 정치생태학적 담론으로 지속․확산․정착되면서 동아시아 지역의 문명에서 또 하나의 보편적 범주로 자리잡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Joseon Dynasty’s Pungulloeu Akjang, which belonged to the Joongsa(中祀: middle class of rites) of Gilye(吉禮: national ritual ceremonies), was used for the national rites in conjunction with the Sancheon(山川: gods who govern mountains and rivers) and the Seonghwang(城隍: gods who govern lives of the village people) according to the Ming Dynasty Hong wu li zhi(洪武禮制). Wind, cloud, thunder, and rain are gods that have been worshiped together with the Seonghwang who was believed to protect the village, because they were meteorological factors with great significance in the comfort and richness of the people. In the Middle Age dynasties, the people regarded the grain as heaven, and the king regarded the people as heaven. Woosoonpoongjo(雨順風調: timely rain and moderate wind) was the absolute condition for the growth and fruition of grains, and good growth and the fruition of grains wer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lives of the people, so the king who wanted to do the benevolent royal politics put more emphasis on comfort and abundance of the people. The harmony of ecology, that is, nature and meteorology, was the premise of the benevolent royal politics. Two concepts are fused into the discourse of medieval ecology. Those are medieval universality and ecological forms of life. Choheon Pungulloeu Akjang(初獻風雲雷雨樂章)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cosystem based on the principle such as 'balance of yin and yang', 'samjaejido'(三才之道: law of heaven, earth, and man), and 'mutual symbiosis' were analyzed in the front part. And the ecological viewpoint of the Zhouyi, which is the organic view of nature that enables people to realize the mutual connection of ecology, mutual constraints, harmony and life liberation is suggested in the front part. The latter is a part of the people's request for the richness based on the ecological view of the Zhouyi presented in the front part. Thus, a diagram about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that "the observance of ecological conditions → the enjoyment of richness→ the implementation of ideal politics" is implied in the Choheon Pungulloeu Akjang.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Pungulloeu Akjang is indeed an ecological political view designed in Confucian scriptures such as the Zhouyi, Shangshu, and Mencius. And,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as the medieval political ecological discourse lasted, spread and settled, the civilization of the East Asian region converged into the category of univers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국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