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간과 자연, 그리고 기술의 상호창조를 위한 시론 - 관계론적 관점에서 본 유기농테마파크 비전과 전략 - (An Essay on Mutual Creation Among Human, the Nature, and the Technology: The Vision and Strategy of Organic Theme Park in the Aspect of Relationship)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3.06
30P 미리보기
인간과 자연, 그리고 기술의 상호창조를 위한 시론 - 관계론적 관점에서 본 유기농테마파크 비전과 전략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콘텐츠 / 29호 / 189 ~ 218페이지
    · 저자명 : 심승구

    초록

    오늘날 사람들은 기술에 대해 너무 비판적이거나 너무 낙관적이다. 기술비판론자들은 마치 기술이 자연을 파괴할 뿐 아니라 결국 인간을 기술의 노예로 만들게 되리라는 우려를 갖는다. 반면에 기술예찬론자들은 기술이 인간을 고된 노동으로부터 해방시켜 왔고 앞으로도 더욱 안락하고 풍요로운 삶을 보장해 줄 것이라고 믿고 있다.
    프랑스 기술철학자 질베르 시몽동(Gilbert Simondon, 1924~1989)은 이러한극단적인 태도가 기술의 본질을 ‘자동성’이라고 믿는데서 유래하는 오해라고 보고,오히려 기술의 본질이 ‘비결정성’에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기술적 실재에 노동과상관없는 인간적인 것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기술문화를 통해 인간과 자연,인간과 기계, 자연과 기계 사이에 상실된 조절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이처럼 그는 인간과 기계와의 공존을 위한 존재론적 사유를 펼치며, 기계들과 공존하는 현대인들의 삶을 긍정적으로 해명할 수 있는 새로운 근거를 제시한다.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철학적 사유는 최근 경기도 남양주시에 건립된 유기농테마파크의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는데 시사하는 바 크다. 왜냐하면 그동안 철저히 탈기계적이고 탈기술적인 생산방식을 고수해 왔던 유기농 관점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공할 뿐 아니라 그 대안으로써 기능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유기농(유기농업,유기축산, 유기임업 등)은 지구물질의 순환, 생물다양성의 확보, 농업생태계의 건강, 토양생물 활동 증진을 위한 총체적인 자연중심의 생산활동으로 요약된다. 다만,친환경, 무농약, 무항생제 등으로 대표되는 현재의 유기농은 기술적 대상들인 기계가 자연과 인간에 대해 큰 피해를 준다는 관점에 기반하고 있다.
    따라서 유기농테마파크의 새로운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친환경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인간과 자연, 자연과 기계, 인간과 기계와의 공존과공생을 넘어 상호창조론에 입각한 유기농 실현이라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때 인간과 자연, 그리고 기술적 대상 내지 기계의 상호창조론의 관점에서 주목되는기술이 청색기술이다. 녹색기술(Green Technology)의 대안으로 떠오르는 청색기술(Blue Technology)은 이른바 생태모방기술(Biomimicry 또는Biomimetics)로 대표된다. 청색기술은 오염을 줄이는 기술과 달리 오염이 없는기술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유기농의 정신과 일치한다. 이는 유기농의 미래가 청색기술과 이를 활용한 청색경제(The Blue Economy)에 대한 이해와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분명하게 말해준다.
    결국 유기농테마파크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단순히 지역성에 토대한유기농의 생산과 결과물을 전시하고 체험시키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그리고 기술이 상호창조하는 기술철학 내지 생태철학적 관점에 기초한 새로운 비전과 전략이 무엇보다 먼저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sedays, people are so much critical or optimistic about the technology. Some peopleare anxious of making human slave of the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the technologywill emancipate human from heavy toil. The technical philosopher GilbertSimondon(1924~1989) considers that attitude as misunderstanding of the people that theessence of the technology is ‘automation’, and he regards the essence as ‘undecidability’.
    He focused the fact that there exists human thing in the technological existenceregardless of the labor, and insisted through the technical culture we can recover the lostfeedback function between human and the nature, human and the machine, and the natureand the machine. Thus, he addresses the ontological thought for the coexistence betweenhuman and the machinary, and suggests new foundation that human can coexist with themachine positively.
    Gilbert Simondon’s techno-philosophical thought sheds light on establishing the visionand plan of the Organic theme park in Namyangju, Kyounggido. Because he asks questionon the organic point of view which sticks to demechanization and detechnology so that itcan be the alternative.
    The Organic(Organic farming, Organic dairying, Organic forestry) connotesimprovement of the global material circulation, the biodiversity, farming ecosystem andsoil lives. But, now the Organic represents as ecologic, deinsecticide and non-antibiotic isbased on ecological terms.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he vision and strategy, we should avoid from the currentorganic concept and plan. Also we should seek for the conversion of exhibition, display and experience aiming for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the machine in terms of organicmutual creation. Hereby the Blue Technology, belonging to so called Biomimicry orBiomimetics, is required as the alternative of Green Technology. For the future of theOrganic industry, it means Blue Technology, of which understanding and adaption of BlueTechnology are clearly required.
    After all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Organic theme park, not mere do we displaythe organic process and products or make people experience it, but also we should establishthe new vision and strategy based on the terms of techno-philosophy and ecology mutu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