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해시기 농업의 전개와 성격 -철제 농기구와 식물유체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alhae agriculture -Focusing on the analysis of iron farming tools and botanical remain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1.11
38P 미리보기
발해시기 농업의 전개와 성격 -철제 농기구와 식물유체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구려발해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구려발해연구 / 71권 / 147 ~ 184페이지
    · 저자명 : 박규진, 이동건

    초록

    이 글은 발해시기 농업에 대한 글이다. 발해 농업과 관련해서는 지금까지 자료의 부족으로 연구가 미진한상태였다. 특히 문헌기록은 매우 소략하기 때문에 농업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는 고고학 자료를 확인해야 할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농업의 직접적인 증거인 철제 농기구와 식물유체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발해농업의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발해유적에서 출토된 철제 농기구는 완형을 중심으로 집계 결과 7종 62점이 확인되었다. 용도에 따라 기경구, 제초구, 수확구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기경구에는 보습, 볏, 유공철부, 철삽 등이 해당하며, 제초구는 철서, 수확구로는 철겸과 가위 등이 해당된다. 철제 농기구는 대부분 생활유적에서 출토되었기 때문에 실생활과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 확인된 철제 농기구 모두 주로 밭농사에 사용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발해유적에서 출토된 식물유체는 모두 연해주 유적에서 확인되었다. 식물유체 분석이 진행된 유적은 시기에 따라 말갈유적, 말갈-발해유적, 발해 이후 유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분석이 진행된 유적에서 총 16종의식물유체가 확인되었는데, 모두 밭작물이며 기장족 잡곡류, 맥류, 두류, 기타작물(들깨, 배추속, 대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출토량이 많은 작물은 잡곡류로, 특히 조와 피의 출토량이 많고 또 대다수 유적에서확인된다. 맥류인 쌀보리와 밀 역시 출토량이 많은 편이다. 이외 다른 작물들은 식생활에 있어 보조적인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시기를 구분하여 살펴보면 말갈시기 유적에서는 기장, 조, 쌀보리, 대두 등이 주로 확인되고 발해시기 유적에서는 새로운 작물이 등장하며 재배종의 수가 대폭 증가한다.
    철제 농기구와 식물유체 자료를 통해 발해의 농업은 밭농사 위주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확인된 보습을 통해서 이랑밭을 만들어 경작했을 것으로 보이며, 농업생산력 향상을 위해 심경, 윤작, 휴경 등을 사용했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발해 농업에 있어 벼농사의 가능성도 추정해 보았다. 만약 발해시기 벼가 재배되었다면, 그 주산지는 상대적으로 농업여건이 좋은 한반도 내 발해영역으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며, 만주지역에서도 벼를 재배했다 가정하면, 여러 여건상 이는 논벼가 아닌 밭에서 자라는 旱稻일 가능성이 크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agriculture in the Balhae period. The agriculture of Balhae was not well studied due to the lack of data. In particular, since there are very few historical records, it is necessary to check archaeological data for research on agriculture. Therefore,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Balhae agriculture were examined by analyzing farming tools and botanical remains, which are direct evidence of agriculture.
    In the Balhae sites excavated seven types of farming tools, and it can be classified into plowing tool, weeding tool and harvesting tool depending on the purpose. The plowing tool includes plowshare, moldboard, iron axes with a hole, and iron shovels, weeding tool includes iron hoes, and the harvesting tool includes iron sickles and scissors. Most of the farming tools were actually used because it was excavated from living sites. In addition, they were found that all farming tools were mainly used for dry-field farming.
    All botanical remains identified in the Balhae sites were excavated in the sites of Primorsky Krai. A total of 16 samples of botanical remains have been identified, all of which are dry-field products and can be classified into millets, sort of barley, legumes, and other crops. Among them, millets are the most identified and are found in most of the sites. Barley/wheat also most identified in sites. The number of crops increases significantly during the Balhae period rather than during the Malgal period.
    Through farming tools and botanical remains data, it was found that agriculture in Balhae was mainly dry-field farming. In addition, it seems that plowed rows in a field were created through plowshare, moldboard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deep tillage, crop rotation, and short fallow were used to improve agricultural production.
    If rice was cultivated in Balhae, it is more reasonable to view the main producing district is the Balhae area in the Korean Peninsula that relatively good agricultural conditions. Assuming that rice was cultivated in Manchuria during the same period, it is most likely that it will be the upland rice of growing in the dry-field due to various condi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