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초반 농⋅낙⋅편의 분화와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의 위상 (The differentiation of Nong, Nak, and Pyeon in the early 19th century and the status of 『Byeongwagagokjip』)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4.11
27P 미리보기
19세기 초반 농⋅낙⋅편의 분화와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의 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청람어문교육 / 102호 / 423 ~ 449페이지
    · 저자명 : 권순회

    초록

    이 글에서는 『병와가곡집』의 만횡, 낙희조, 편삭대엽의 수록 양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병와가곡집』의 가곡사적 위상을 파악하였다.
    만횡에는 114수가 수록되었다. 농과 얼롱으로 분화되는 작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지만 아직은 명목을 얻지 못한 상황이다. 만횡의 악곡 분화는 우조와 계면조의 체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바,『병와가곡집』의 경우 아직은 이를 온전하게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104수가 수록된 낙희조에는 만횡청류로 불리던 작품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18세기 중엽 무렵부터 시작되어 『병와가곡집』에 이르러 결절점을 이룬다. 또한 본가곡에 속해 있던 낙희조가 만횡 뒤로 이동해서 ‘만횡 → 낙희조 → 편삭대엽’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농⋅낙⋅편의 기본 체계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낙 계열의 파생곡이 등장하지 않은 이유는 『병와가곡집』이 아직 우⋅계면 체계를 온전하게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편삭대엽편이라는 이름으로 노랫말이 수록된 경우는 『병와가곡집』이 처음이다. 수록 작품 40수 가운데 23수가 청구영언 (김천택 편) 만횡청류에 수록되었던 것이다. 편삭대엽은 이러한 만횡청류와 삭대엽곡이 결합해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되나 그 근거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병와가곡집』은 19세기 초반 농⋅낙⋅편 분화의 분기점에 위치하는 가집이다. 본격적인 우⋅계면 체계로의 전환과 그에 따른 악곡의 분화를 예비하고 있다. 가곡 한바탕에서 우⋅계면 체계가 온전하게 정착하는 시기는 대략 1830년대 무렵이다. 그렇다면 『병와가곡집』은 그 직전인 1820년대에 편찬된 가집이 분명하다. 19세기 초반 가곡 연행의 중요한 전환기에 새로운 시대의 문을 연 가집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status of 『Byeongwagagokjip』 through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inclusion of Manhoeng, Nakhuijo, and Pyeonsakdaeyeop in 『Byeongwagagokjip』.
    114 pieces are included in the Manhoeng of 『Byeongwagagokjip』. There are many works that are divided into Nong and Eollong, but they have not yet been given a name. The music division of Manhyeong is closely related to the system of Ujo and Gyemyeonjo, and this is because the 『Byeongwagagokjip』 has not yet been fully established.
    The Nakheejo, which contains 104 pieces, includes many works called Manhyeongcheongryu. This phenomenon began around the mid-18th century and reached its climax in the 『Byeongwagagokjip』. In addition, Nakheejo, which was part of Sakdaeyeop, was moved after Manhyeong, and is arranged in the order of ‘Manhyeong → Nakheejo → Pyeonsakdaeyeop’. The basic system of Nong, Nak, and Pyeon has been revealed for the first time. The reason why derivative songs of the Nak series have not appeared is because the 『Byeongwagagokjip』 has not yet fully established the U and Gyemyeon system.
    The first time lyrics were included under the name of Pyeonsakdaeyeop was in 『Byeongwagagokjip』. Of the 40 songs included, 23 were included in 『Cheongguyeongeon』(edited by Kim Cheontaek) Manhyeongcheongryu. It is presumed that Pyeonsakdaeyeop was derived from the combination of Manhyeongcheongryu and Sakdaeyeop, but it is not easy to secure the evidence. 『Byeongwagagokjip』 is a collection of songs that is located at the turning point of the division of Nong, Nak, and Pyeon in the early 19th century.
    It is preparing for the full-scale transition to the ujo and gyemyeonjo system and the subsequent differentiation of music. The period when the ujo and gyemyeonjo system was fully established in Gagok Hanbatang was around the 1830s. In that case, it is clear that the 『Byeongwagagokjip』 was a collection of songs compiled in the 1820s, just before that. It can be evaluated as a collection of songs that opened the door to a new era during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e performance of songs in the early 1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청람어문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