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농어촌주택개량사업을 통한 강릉시 농촌 주거 공간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Rural Residential Space in Gangneung City through the Rural Housing Improvement Project)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4.08
12P 미리보기
농어촌주택개량사업을 통한 강릉시 농촌 주거 공간 조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5권 / 4호 / 103 ~ 114페이지
    · 저자명 : 문정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주택개량사업의 결과물인 주거공간의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며 지속해서 추진하는 농촌 주거환경개선 사업 자료의 축적 및 농촌주택의 건축계획 시 고려할 수 있는 계획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21년 강릉시 농촌주택개량사업으로 정부에서 지원하는 대출금을 지원받아 주택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한 15가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대상 주거의 실태 및 면담 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주택 주변의 환경은 대부분 농지를 중심으로 계획되어 있는 특징이 나타났다. 그리고 대지의 특징은 자연환경이 수려한 장점은 있지만, 접근이 어렵고 주변에 근린생활시설이 없으므로 다음에는 단지 조성을 통해 생활편의 시설에 대한 계획이 필요하다. 두 번째, 외부공간은 마당, 작업공간인 텃밭, 주차장, 옥외 데크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농촌주택의 특성상 작업공간과 연계가 되어질 수 있는 데크는 거실과 연계가 대부분이므로 외부공간의 활성화를 위해 다용도실과 같은 서비스 공간과 연계가 될 수 있는 외부공간의 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주거는 방, 거실, 주방, 화장실, 확장형 발코니, 옥외 데크로 구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지역 지구의 건폐율의 한계로 인해 내부공간을 좀 더 거주자의 개성에 맞게 계획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네 번째, 농어촌 주택사업의 행정절차는 어렵지 않으나 신청할 장소나 방법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불편함이 초래되어 신청 방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 번째, 농촌에 거주하는 무주택자에 대한 지원사업이라 본인의 주거공간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계획하기 때문에 공간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도출된 특징이 나타났다. 하지만 신청 완료 후 건축설계 및 시공 전문가 섭외가 어려워 협력업체 지원 개선점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space that is the result of the rural housing improvement project. This study intends to accumulate data on the continuously promoted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use it as a basic data for planning that can be considered when planning the construction of rural hou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 housing that newly built or remodeled houses with loan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s a rural housing improvement project in Gangneung City in 2021. For the method of the study, the actual condition of the target housing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environment around the house was designed around farmland. And although the characteristic of the site is that it has a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it is difficult to access and there are no nearby living facilities. Second, the external space consisted of a yard, a vegetable garden, a work space, a parking lot, and an outdoor deck.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es, most decks that can be linked to the work space are linked to the living room, so it is necessary to plan an external space that can be linked with a service space such as a multi-purpose room to revitalize the external space. Third, the residence consisted of a room, living room, kitchen, bathroom, extended balcony and outdoor deck.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building-to-land ratio, the interior space plan must be tailored to the individuality of the occupants. Fourth,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rural housing projects are not difficult, but since the places and methods to apply are limited, the application method needs to be improved. Fifth, as it is a support project for the homeless living in rural areas, the satisfaction with the space was found to be high because it was planned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ir own residential space. However, it was determined that it was a need to improve the support of subcontractor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recruit experts in architectural design and constr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