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농어촌 선교: 생명 살리기 운동 (Mission to Agricultural Villages: Movement to Save Liv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08.08
24P 미리보기
농어촌 선교: 생명 살리기 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선교와신학 / 22호 / 117 ~ 140페이지
    · 저자명 : 남상도

    초록

    농촌 교회는 젊은 인구의 감소에 따른 고령화, 일할 수 있는 자원의 감소, 교인 수의 급감으로 인한 경제적인 압박, 선교와 교회 교육과 사회 봉사의 약화 등 점차 그 힘을 잃고 쇠퇴의 길을 걷고 있다. 이제 한국 농촌 교회의 현실은 농촌 교회의 선교라는 측면에서 새로운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기존의 선교 방식이 아닌 새로운 대안적 선교 내지는 방향성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 농촌의 현실은 신자유주의 경제 세계화란 틀 속에서 이해되어야 하고, 한국 농촌 교회의 문제 역시 이 큰 틀을 염두에 두고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신자유주의 경제 세계화는 필연적으로 모든 생명의 물리적인 요소와 존엄성을 훼손시키면서 진행될 수밖에 없다. 이윤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자본주의적 논리 앞에 생명의 존립 자체가 위협받게 된 것이다. 경제 성장이라는 미명 하에 인간 생존의 필연적 요소가 훼손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 농촌의 현실과 농촌 교회의 현실을 타개해 나가는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면, 결국 세계적인 흐름에 맞서 대안적인 공간을 확보하고, 그러한 공간을 넓혀 가는 일에 관심을 갖고 실천하는 일이 될 것이다. 세계적인 흐름에 맞서 대안적인 공간을 확보한다는 것은 세계 교회와 우리 교단 총회가 주창해 온 생명 살리기 운동의 영역을 확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1990년 전·후반을 기점으로 농촌 목회에 비전을 가지고 실천적인 투신을 하면서 농촌의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를 고민하던 목회자들을 중심으로 생명 살림의 목회가 구체화되었다. 이들의 노력은 정의, 생명, 공동체라는 기치 아래 도농 직거래 운동을 비롯한 생명 농사 운동, 건강한 지역 공동체 운동, 정의로운 유통 운동, 몸·마음 바르게 살리기 운동, 확대 가족 공동체 운동, 세계 농민 연대 운동을 지향하면서 일정한 성과를 내 오고 있다. 한마음 공동체와 백운교회의 생명 살리기 운동 역시 이러한 노력과 그 궤를 같이한다. 한마음 공동체에서는 식의주를 생태적이고 조화로운 방법으로 전환시켜 가고자 애쓰고 있다.
    농촌 교회의 생명 살리기 운동, 생명 살림의 선교는 생명 농업을 실천하는 일과 지속 가능한 세상을 만들어 가는 일, 공정하고 바른 유통과 교역을 만들어 가는 일, 마을 공동체를 형성하는 일, 농민을 생명 살림의 주체로 세우는 일 등 다양한 방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고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Rural churches are gradually losing its strength and influence due to the aging of its average population following an exodus of younger population, economic pressures due to sudden decline of church membership, and the resulting decrease in the church's sphere of mission, education, and social services. Such reality of rural churches of Korea demands a new approach to ministering in rural villages from a missional perspective.

    The reality of Korean agricultural communities must be understood in terms of neo-liberalism and economic globalization, and the answers to the issues of rural churches of Korea must also be derived from this context. Neo-liberalism and economic globalization necessarily damage the dignity of all life physically and spiritually if it is to progress. Against the drive of capitalistic rationale to maximize profit, the existence of life itself is under threat. In the name of economic prosperity, the vital elements needed for human survival are depleting. In such context, finding a breakthrough solution for Korean agricultural villages and rural churches means countering this global trend and securing, enlarging, and sustaining a space of counter-measure. To secure a space against the global trend means to expand the realms of life-sustaining movement that the world's churches and our denomination's General Assembly have been promoting.

    Around the year 1990, visionary pastors engaged in ministry felt the need to actively counter the decline of agricultural villages, and gave shape to ministry of life-sustaining movement. Under the banner of justice, life, and community, they have been reaping steady fruit of numerous movements promoting labor exchange, sustainable farming, formation of healthy rural community, fair trade, wholistic life, community as extended family, and global solidarity of agricultural workers. Hanmaeum Community and Baegun Church Life-Sustaining Project also align themselves to such efforts. Hanmaem Community seeks to convert human habitation into more ecologically sustainable and harmonious ways.

    Churches in agricultural communities must try and put to practice the life-sustaining movements and life-saving mission in various ways through efforts to practice organic farming, development of sustainable habitation, promotion of fair and just trade, formation of village communities, and raising up farmers as front-line leaders in effort to save and sustain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