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동놋다리밟기의 유형론 재고 (Reconsideration of the Theory of Types in Andong-Notdaribapg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9.08
25P 미리보기
안동놋다리밟기의 유형론 재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34권 / 171 ~ 195페이지
    · 저자명 : 한양명

    초록

    ‘안동놋다리밟기’는 1984년에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 7호로 지정되어 전승되고 있다. 놀이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는 1975년에 수행되었으며, 이 조사의 결과를 근거로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가와 문화재 지정이 이루어졌다.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안동의 놋다리밟기는 읍성 안의 ‘성안놋다리’와 읍성 밖의 ‘성밖놋다리’라는 두 형태로 전승되었으며 전승집단과 놀이의 방식이 서로 달랐다. 비교적 지체가 낮은 이들이 전승한 ‘성안놋다리’의 경우, 놋다리의 형태가 일렬형의 ‘줄놋다리’로 단순했으며 부대놀이도 없었다. 이에 비해 지체 높은 이들이 전승을 주도한 ‘성밖놋다리’의 경우, ‘줄놋다리’뿐만 아니라 원형의 ‘웅굴놋다리’와 다양한 부대놀이가 함께 연행되었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다시 검토하게 된 것은. 그동안 읍치의 공간과 구성원 등에 관한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어 읍치를 중심으로 전승된 안동놋다리밟기의 실상에 조금 더 다가갈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고, 대동놀이의 일반적 존재양상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 후기 안동 읍치의 공간 구성을 들여다볼 수 있는 지도[安東都會圖]와 관련 기록이 일부 확보된 것도 기존 논의를 다시 짚어보는 계기가 되었다.
    이들 자료를 근거로 안동놋다리밟기의 전승과 유형의 문제를 살펴본 결과, 안동 읍치의 놋다리밟기는, 기존의 논의처럼 읍성을 기준으로 거주지역에 따라 ‘성밖놋다리’와 ‘성안놋다리’로 전승된 게 아니라, 읍성의 안팎에 거주하는 여성들을 포괄하는 ‘닫힌고을형’과 읍치를 구성하는 각 마을의 여성들이 참여하는 ‘닫힌마을형’으로 전승되었음이 드러났다. 또한 ‘계층성’에 근거한 놀이집단의 분화와 일상적 지위의 고하에 따른 놀이꾼의 차별적 역할 수행에 대한 기존 논의도 여러 정황상 수긍하기 어려운 것임이 어느 정도 밝혀졌다.

    영어초록

    In 1984, the Andong-Notdaribapgi has been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7 in Gyeongsangbuk-do, and transmitting until now. A full survey of that play was conducted in 197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Folk Art Contest and designation of cultural properties were made.
    According to this report, Andong-Notdaribapgi was handed down in two types: ‘Notdaribapgi inside the castle’ and ‘Notdaribapgi outside the castle’, and Also the group of transmission and the way of playing were different. In the case of ‘Notdaribapgi inside the castle’, the play had been handed down by relatively low status women. Notdari’s form was simple as a “Jul-Notdari”, and there was no side play. On the other hand, ‘Notdaribapgi outside the castle’ had been led by the high status women, and not only the ‘Jul-Notdaribapgi’ but also the ‘Wunggul-Notdaribapgi’ were performed and various play performed on the sidelines.
    The reason I was looking back the results of the 1975 survey is because the research on the space and members of Eupchi(the center of town) has been carried out considerably, and the conditions for approaching the fact of Andong-Notdaribapgi has been more better. It is also because the general existence of DaedongNori was identified. In addition, the map of Andong-Eupchi which had been made by late Chosun Dynasty, and the fact that some relevant records have been secured also provided a chance to revisit the existing discussion.
    On the basis of these data, the results of reconsideration Andong-Notdaribapgi’s transmission and the Theory of Types are as follows. Notdaribapgi in Andong-Eupchi was not handed down like a ‘Notdaribapgi outside the castle’ and ‘Notdaribapgi inside the castle’, depending on the town’s residence, as in the previous discussion. It was revealed to some extent that it was handed down to a ‘type of closed village’, which includes women living in and around the town, and to a ‘type of closed village’ where women from each village make up towns.
    In other words, ‘Notdaribapgi outside the castle’ mentioned in the existing research is a game belonging to the ‘type of closed town’, and also this play was a large-scale play with women living in the eastern and western parts of the town, led by the women which belong to nobility called hyangli. ‘Notdaribapgi inside the castle’ is a ‘type of closed village’ game played by villages and seems to have been a small game that only women in the village participated 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