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나님 앞에서 머뭇거리며 놀기: 놀이의 목회신학 (Playing hesitantly before God: A Pastoral Theology of Pla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5.03
37P 미리보기
하나님 앞에서 머뭇거리며 놀기: 놀이의 목회신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68호 / 177 ~ 213페이지
    · 저자명 : 정연득

    초록

    이 논문은 놀이 과잉의 시대에 접어든 현대 한국사회에서 사람들은 과연 제대로 놀이하고 있는가라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했다. 장소와 시간과 활동에 집중하는 오늘의 놀이 문화는 경제적 가치관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사람들로 하여금 더 많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잘 쉬어야 한다는 압박을 가하고 있다. 놀이 역시 성과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잘 놀아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에 대한 목회신학적 답변으로 필자는 “하나님 앞에서 머뭇거리며 놀기”를 제안하고 있다. 이 제안을 발전시키기 위해 우선, 재독 철학자 한병철의 저작들을 통해 현대 한국사회의 놀이의 위기를 시간의 위기의 관점, 즉 “시간의 향기의 상실”이라는 관점에서 성찰해 보았다. 한병철의 사회 철학적 성찰을 기초로 해서 영국의 정신분석가 도널드 위니캇을 통해 “놀 수 있는 자아의 능력”이라는 관점에서 현대 한국사회의 놀이문화를 분석해 보았다. 이어지는 공간에서는 위르겐 몰트만의 저작 『놀이의 신학』을 통해 현대인의 놀이 문화를 성찰하였다. 목회신학자로서 필자는 몰트만의 놀이의 신학을 놀이의 해방이라고 하는 차원에서 이해한다. 한병철과 위니캇과 몰트만 사이의 대화를 통하여 논문의 결론에서 “하나님 앞에서 머뭇거리며 놀기”라는 실천적 제안을 시도했다. 이 놀이는 시간과 공간과 활동에 의해 결정되는 강박적 놀이가 아닌, 놀이를 제약하던 모든 요소로부터 해방된 자유의 놀이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pursues a pastoral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play in the context of surplus leisures and plays.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he leisure industry, contemporary Koreans can enjoy various kinds of leisures. There are three main foci in the leisure culture of contemporary Koreans: place, time, and action. In preparing their leisure time, they are prone to fucus on “where to go,” “how long to play,” and “what to do or what to eat.” By focusing on these three aspects, their leisures and plays become limited by their economic capacity. In order to play well, they have to work hard to earn enough money to enjoy their leisure time. So, the purpose of play is not for itself but for preparing themselves for better achievement in their work by refreshing their body and mind through the play. Play belongs to work.
    “Playing hesitantly before God” is suggested as a response to the context of the current leisure culture. To develop this suggestion, three scholars in various disciplines are invited to the dialogue. First, by drawing on Korean German philosopher Byung Chul Han, the crisis of play in the current Korean society is analys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isis of time. For Han, the crisis of time is the result of the loss of fragrance of time. Second, psychoanalyst Donald Winnicott’s works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ego’s ability to play. Relying on Winnicott, we can raise a question that whether contemporary Koreans in the midst of surplus of leisures and plays have the ability to enjoy their leisure time or not. If not, Winnicott can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cause of the lack of the ability to play and the way to recover the ability. Third, Jürgen Moltmanns’ Theology of Play is dealt wi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beration of play. Moltmann claims that play should be liberated from the burden of achievement centered society. Through the creative and correlational dialogue among Han, Winnicott, and Moltmann, a pastoral theological vision of “playing hesitantly before God” is suggested. This play is not the one determined by place, time, and action, but the one liberated from all aspects which has limited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