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놀이치료의 정신분석적 주제와 문학치료적 함축 (Psychoanalytic Themes of Play Therapy and their Implications for Literary Therapeutic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5.10
29P 미리보기
놀이치료의 정신분석적 주제와 문학치료적 함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37권 / 291 ~ 319페이지
    · 저자명 : 장정은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정신분석적 놀이치료 사례를 통해 아동분석관계에서 나타나는 놀이의 핵심적인 주제를 문학치료의 서사이론과 비교하고 연결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정신분석적 놀이치료의 임상사례에서 경험한 아동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정신분석 주제는 과대자기감, 박해자로서의 초자아, 그리고 투사적 동일시이었다. 첫 번째, 아동은 부모와의 공감적인 관계의 부재에서 자기감의 결핍을 경험했고, 그 반대급부로 놀이를 통해 과대자기감을 드러내게 된다. 이것은 부적절한 자기애 환상으로 치부될 것이 아니라, 견고한 자기 구조를 향해 나아가는 일종의 자기애 발달 단계가 활성화 된 결과이다. 그렇기에 상담자는 과대자기감의 표현을 수용하는 자기대상으로 기능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과대자기감은 내담 아동의 지배와 피지배라는 내적 대상세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그 내면에 가혹한 초자아의 존재를 가정한다. 이것은 놀이의 주제로 등장하는데, 이것은 내면의 박해자로 인한 심리내적 갈등과 긴장을 표현하고 숙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세 번째, 내적 대상관계의 능동적 표현은 상담 관계에서 투사적 동일시로 일어나게 되어, 상담자는 자신의 정체성을 잃고 놀이에서 내담 아동화 된다. 상담자는 통합되기 어려워 분리된 내담 아동의 일부분을 담아주고 다시금 독이 빠진 형태로 되돌려줌으로 치료가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이런 정신분석 주제들은 문학치료의 서사이론과 비교할 수 있다. 내담 아동이 처한 실제 현실의 입장에서 보면, 그들에 의해 창조되는 놀이의 세 주제들, 곧 과대자기감, 가혹한 초자아, 투사적 동일시는, 문학치료 서사이론에서 자녀서사로 분류될 수 있다. 자녀서사의 핵심과제가 순응에 있듯이, 정신분석적 놀이에서 표현되는 과대자기감, 가혹한 초자아, 투사적 동일시는 순응의 문제가 잘못되어 발생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공감적으로 반응하지 못하고, 참된 권위의 역할을 제공하지 못한 부모에 의해 아동의 내적 세계에서 과대한 자기의 느낌을 경험하는 것이 시급해지는 동시에 가혹한 박해자의 이미지를 가진 초자아를 내적인 한 부분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런 부모와의 인간관계의 순응에 실패한 아동은 투사적 동일시의 과정을 통해 자신의 내적 세계를 외부 대상과 일치시키려 한다. 때로 외부 대상은 내면화된 가혹한 초자아로 동일시되거나, 혹은 그 가혹한 초자아에 의해 학대받는 내면의 부분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놀이 상황에서 내담 아동들이 창조한 정신분석적 개념들은 기본적으로 자녀의 입장에서 부모와의 관계를 묘사한 자녀서사에 해당된다. 정신분석적 놀이치료의 치료적 개입은 치료자의 새로움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적 서사가 이러한 자녀서사와 융합되는 과정으로 묘사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nect key psychoanalytic themes of play therapy with literary therapeutics through my clinical case. Child analysts can verify three psychoanalytic topics in their play therapy with children. They are 1) a grandiose sense of self, 2) superego as a persecutor, and 3) projective identification. First, child patients experienced self deficits due to the absence of an empathetic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in response, they displayed grandiosity in play therapy. This can be observed as a result of reactivation of the narcissistic developmental stage that is arrested due to the lack of an empathetic response of the parents. Therefore, therapists need to allow the patients to disclose the narcissistic fantasy of grandiosity. Second, grandiosity reflects the domination and subordination structure of their inner minds and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the strict superego. Play therapy provides an opportunity of making themselves the master of inner conflicts and tension produced by the internal persecutor. It can occur by experiencing a new relationship with child therapists who reveal a protecting and loving superego. Third, active expression of the inner structure occurs through projective identification in the analytic setting, and the therapists lose their identification to become an aspect of the patients’ internal object. The therapists contain the patients’ internal object, which cannot be integrated into the patients’ inner structure and return it to them as an innoxious form. The unconscious process causes therapeutic effects.
    When child analysts can understand their analytic relationships with children in terms of these essential concepts, they can use therapeutic interventions psychoanalytically. It is important for child analysts to see their patients’ play through the lens of these concepts in order to analyze the children’s inner worlds and conflicts. This paper attempts to connect these essential topics of play therapy to the theory of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and elaborates on approaching to literary therapeutics with regard to the psychoanalytic perspective. The three main psychoanalytic concepts displayed in the play therapy fall under the purview of son and daughter epic whose interests lie in the adaptation of children to the way parents’ bring up children. Therapeutic effects of the psychoanalytic play therapy with children can be described as a mixture of both children’s own epics and therapists’ therapeutic epics. Children can disclose their own epics in the play therapy, which will be mixed later with the therapeutic epics of therapists. This comparison lays the foundation for implementing the theory of epic psychoanalytically for children and even adults who struggle with their own psychological probl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