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리바드라의 Abhisamayālaṅkārālokā에 나타난 논서의 시작(Śāstrārambha) (The Śāstrārambha(beginning of treaties) of Abhisamayālaṅkārālokā)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1.12
33P 미리보기
하리바드라의 Abhisamayālaṅkārālokā에 나타난 논서의 시작(Śāstrārambha)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33호 / 169 ~ 201페이지
    · 저자명 : 이영진

    초록

    본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우선 첫 번째는 하리바드라의 저작 Abhisamayālaṅkārālokā 중 ‘논서의 시작’에 해당하는 부분을 비판적으로 편집하고 이에 대한 주해가 달린 국문 번역을 추가하였다. 이 비판적 편집본에는 매우 정확한 읽기라고 평가 받는 네와리 사본이외에 아직까지 학계에 보고되지 않았던 데와나가리 사본을 참조하였다. 두 번째는 이 비판적 편집본과 까말라쉴라가 Tattvasaṅgrahapañjikā 중 이에 상응하는 부분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밝혔다. 이미 잘 알려진 대로 하리바드라는 이 ‘논서의 시작’에 관하여 상당부분 까말라쉴라의 설명을 편입하였지만, 다음의 두 가지 중대한 차이점이 존재한다.(1. 목적의 목적을 독립적인 범주로 서술한 점 2. 삼반다(관계)는 간접적으로 설해짐에도 불구하고 이를 마치 직접적으로 서술해야만 항목으로 나열한 점.) 이중 첫 번째는 까말라쉴라가 목적의 목적이라는 범주를 거부한 것이 아니라, 하리바드라가 문헌에 대한 단순한 이해를 넘어선 직접적인 실천 혹은 실현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번째는 하리바드라가 삼반다를 직접 설해야한다고 강조한 것이 아니라 반야경과 현관장엄론 모두를 주석하는 Abhisamayālaṅkārālokā의 구조 엄밀하게는 반야경이라는 경전에 논서의 시작을 적용한 구조부터 기인한다고 보여 진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is a critical edition of a section of the Śāstrārambha (the beginning of treaties) in Abhisamayālaṅkārālokā (AAA) by Haribhadra together with its annotated Korean translation. For this edition, I consulted a Newari manuscript that had been evaluated as extremely correct by Tucci and a Devānagarī manuscript that has not been reported yet. The second part is about comparison this section with the section of Tattvasaṅgrahapañjikā (TSP) by Kamalaśīla, which Haribhadra is believed to incorporate into his work, i.e., Abhisamayālaṅkārālokā. Haribhadra seems to have followed Kamalaśīla’s explanation generally with a few of modifications. Two of these modifications, I believe, deserve to mention in this abstract: 1.While Kamalaśīla does not tell what is the ultimate purpose of TSP specifically, even though he accepts this concept in TSP, Haribhadra treats the ultimate purpose as a separate category. 2. Even though both distinct scholars agree that the sambandha (relation) must be shown indirectly i.e., from telling the purpose (prayojana), Haribhadra appears to put sambandha into the list that must be mentioned directly(?) With regard to the first modification or difference, I found Kamalaśīla’s explanation why he did not mention the ultimate purpose specifically. According to Kamalaśīla, the ultimate purpose of TSP is too obvious and shared with other Buddhist sect, i.e., Sarvāsativādin, so that it does not need to be mentioned separately. Based on his explanation, we can assume that Haribhadra thought of the ultimate purpose of the texts on which he was glossing as something that he should reveal and is not shared with others. The second modification is likely to be understood when we consider the structure of AAA. That is to say, AAA is a commentary of both Prajñāpāramitāsūtra and its commentary, i.e., Abhisamayālaṅkārakārikāśāstra (AA). In writing this section, he had to elucidate not only the Śāstrāmbha of AA, i.e., sambandha, subject matter, purpose, and ultimate purpose, but also the same items with regard to Prajñāpāramitāsūtra, which combines śāstrārambha with the purpose of the five methods for glossing Sūtras that designed by Vasubandhu in Vyākhyāyukti. For this reason, Haribhadra seems to have put the name of sambandha in the list formally without implying the sambandha must be mentioned direc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