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암별제의 안과 밖- 1910년 이전의 논개제를 중심으로 - (Inside and outside of Uiambyeolje -Focusing on Nongaeje before 1910-)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0.12
36P 미리보기
의암별제의 안과 밖- 1910년 이전의 논개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65호 / 489 ~ 524페이지
    · 저자명 : 심승구

    초록

    의암별제는 임진왜란 때 순절한 의기 논개의 넋을 기리기 위한 제사이다. 기녀들이 제관으로 참여하여 악가무가 곁들여진 풍류제례로서, 전근대사회 에서여성의첫유교식제례라는특징을갖는다. 매년제사때만되면진주 의 촉성루와 남강 일대에 수많은 인파가 참여할 정도로 지역 축제의 모습을 잘 간직해 왔다는 점에서도 시사하는 바 크다. 하지만, 지금까지 의암별제 를 비롯해 논개제 전반에 대한 형성과 변천에 대한 규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은 임진왜란 이후 1910년 일제강점기 이전까지 약 300년간 논 개제의 실체를 조명한 것이다. 이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개의 사당인 의기사가 처음으로 세워진 것은 1832년(순조 32)이 다. 하지만 지금까지 의기사는 1740년(영조 16)에 세운 것으로 이해해 왔다. 둘째, 의암별제를 처음 실시한 것은 1864년(고종 1) 경상우병사 이교준이었 다. 그런데 지금까지 의암별제는 1868년(고종 5) 목사 정현석에 의해 처음 시행된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셋째, 논개제는 1593년 진주성 함락 후 민간 의 강변제사로 시작된 뒤, 19세기 초반 의기사가 건립되면서 춘추제 형태의 국가제사로 정례화되었다. 그러다가 1864년(고종 1) 6월 함성제 전에 의암별 제가 설행되기 시작하였다.
    넷째, 일제감점기 이전까지 설행된 논개제는 의기사에서 춘추로 지내는 의기제, 6월 초 길일에 기녀들이 촉석루에서 지내는 의암별제, 그리고 6월 29일 진무청이 주관하는 함성제 등 3가지이다. 특히 의암별제는 촉석루에서 진주성이 함락된 그 날의 아픔을 떠올리며 논개의 충의를 재기억함으로써 지역민의 충의를 함께 다짐하는 자리였다. 그런 점에서 의암별제는 춘추제 에 짝하는 별제의 성격을 띠기도 하지만, 6월 함성제에 앞서 행하는 별제의 의미를 강하게 갖는다.
    결국 일제강점기 이전까지의 논개제는 순절한 논개의 충의 정신을 추모 함으로써 인심을 수습하고 관민화합을 도모하는 관변 축제의 성격이 짙다. 그 가운데 의암별제는 특히 봉건사회의 해체기에 논개의 충성과 의리를 지 역민에게 재기억시키는 기억의 정치학을 통해 향촌사회를 안정화시키는 핵 심 기제로 작동하였다.

    영어초록

    Uiambyeolje is a ritual to commemorate the soul of Nongae, who passed away during the Imjin War. It is a Pungryu ritual where a prostitute participates as a canon and is accompanied by bad dance, and is characterized as the first Confucian ritual for women in the pre-modern society.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e local festivals have been well preserved so that a large number of people participate in the Chokseongru and Namgang areas of Jinju at the time of annual rituals. However, until now, little has been done on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Uiambyulje and Nongaeje in general. This article highlights the reality of Nongaeje for about 300 years after the Imjin War and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1910.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igisa, the shrine of Nongae, was first established in 1832 (Soonjo 32).
    Until now, however,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medicinal temple was founded in 1740 (Yongjo 16). Second, it was Gyo-jun Lee, a Commander of Gyeongsang-Udo Army in 1864 (Gojong 1) that first implemented Uiambyulje. Until now, however,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Uiambyeolje was first implemented by Regional Officer Hyeon-seok Jeong in 1868 (Gojong 5).
    Third, Nongaeje began as a private riverbyeon ritual after the fall of Jinjuseong Fortress in 1593, and then it became a regular national rite in the form of a spring and autumn festival with the establishment of a medicinal rite in the early 19th century. In June 1864 (Gojong 1), Uiambyulje began to be held before Hamseongje. Fourth, there are three types of Nongaeje, which were held before the Japanese imprisonment period: Uigije, which is held from Uigisa to spring and fall, Uiambyulje, where prostitutes spend at Chokseokru in early June, and Hamseongje organized by Jinmucheong on June 29.
    In particular, Uiam Byeolje was a place to pledge the loyalty of the local people together by recalling the pain of the day Jinjuseong fell in Chokseokru and remembering the loyalty of Nongae. In this respect, Uiam Byeolje has the characteristics of Byeolje, which is matched with the Spring Festival, but it has a strong meaning of Byeolje, which is performed before Hamseongje in June.
    In the end, the Nongaeje Festival until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s characterized by a spectator festival that promotes public-private harmony by commemorating Nongae's pure spirit of loyalty. Among them, Uiambyulje served as a key mechanism for stabilizing the township society through the politics of memory, which re-memorizes the loyalty and loyalty of Nongae to local people during the dissolution of feudal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