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용록』 제10칙 「대산파자(臺山婆子)」의 분석 (An analysis of the The Old Woman Living in the Way to the Mountain Odai(臺山婆子), the tenth case of The Book of Equanimity(從容錄))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9.08
26P 미리보기
『종용록』 제10칙 「대산파자(臺山婆子)」의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53호 / 159 ~ 184페이지
    · 저자명 : 박인성

    초록

    『종용록(從容錄)』 제10칙 「대산파자(臺山婆子)」 공안을 분석하는 이 논문은 이 공안에서 활구를 발견하는 일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공안은 전반부와 후반부 이중구조로 되어있는데, 분석의 결과 전반부의 활구는 노파의 “곧장 가시오”이고 후반부의 활구는 조주의 “오대산 가는 길이 어디요”란 점을 알아낼 수 있었다. 전반부의 활구 “곧장 가시오”는 승려가 노파의 지시대로 걸어갈 때 노파가 승려한테 “또 저렇게 가는군” 하고말하는 순간 사구에서 활구로 전환되고, 후반부의 활구 “오대산 가는 길은 어디요”는노파를 이미 감파한 경지에서 오대산 가는 길을 물은 것이기에 노파가 “곧장 가시오” 하고 답하는 순간 사구에서 활구로 전환된다.
    또, 전반부와 후반부의 사구와 활구의 관계는 사구가 활구로 전환되고, 활구가 사구로 전환되는 관계이다. “오대산 가는 길이 어디요”는 전반부에서는 사구이지만 후반부에서는 활구이고, “곧장 가시오”는 전반부에서는 활구이지만 후반부에서는 사구이다. 똑같은 말이 이렇듯 승려와 노파의 관계, 조주와 승려의 관계 속에서 사구가 되기도 하고 활구가 되기도 한다. 이는 후반부에서 조주가 승려한테 “감파해주겠다”는 말을 하기 전에 이미 노파를 감파하고 있을 경우에만, 즉 이미 깨달음의 자리에 있을 경우에만 나타날 수 있는 일이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Gongan(公案), The Old Woman Living in the Way to the Mountain Odai(臺山婆子), the tenth case of The Book of Equanimity(從容錄), based on discovering the living phrase. This Gongan is divided into two parts. We can discover that in the former part the living phrase(活句) is the old woman's words, “Go straight!”, in the latter part the living phrase is Joju's words, “Where is the way to the Mountain Odai?” Both the old woman's and Joju's words are the living phrases that has been turned from the dead phrases(死句). The living phrase in the former part, “Go straight” could be turned from the dead phrase at the moment the old woman told the monk that you were going like the same way as the other monks. The living phrase in the latter part, “Where is the way to the Mountain Odai” could be turned from the dead phrase just because Joju realized what it meant that the old woman sai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ad phrase and the living phrase in the former part and the latter pare is that of the dead phrase being turned to the living phrase, and the living phrase being turned to the dead phrase. While “Go straight” is the living phrase in the former part, it is the dead phrase in the latter part. While “Where is the way to the Mountain Odai” is the dead phrase in the former part, it is the living phrase in the latter part. Like this, the same words could be either the dead phrase or the living phra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nk and the old woma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ju and the monk. It was made possible just because Joju had already discovered whether the old woman gained the enlightenment when he told the monk that he would discover whether she gaind the enlightenment. The same words could be appear as either the dead phrase or the living phrase, just because Joju is located in the place where he had already discovered, namely where he had already been in the ultimate enlighte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