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작동화 《녹디생이, 사라진 변기를 찾아라》의 신화 인물 수용 양상과 문제점 (The aspect of acceptance about mythological charac ters in creative children’s stories and its problems - focus on Nokdisaeng-i, Find Disappeared Toilet S ea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0.06
28P 미리보기
창작동화 《녹디생이, 사라진 변기를 찾아라》의 신화 인물 수용 양상과 문제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겨레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겨레어문학 / 64호 / 5 ~ 32페이지
    · 저자명 : 박현숙

    초록

    이글에서는 창작동화 《녹디생이, 사라진 변기를 찾아라》에 수용된 신화 속인물 양상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동화 속의 등장인물은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하나는 신화속 등장인물을 그대로 차용하여 재창조한 인물이고, 다른 하나는 신화적 상징 요소를 차용하여 새롭게 창조한 인물이다. 전자의 인물은 문전신 녹디생이, 측간신클리너, 수신(水神) 하백, 용왕이다. 후자의 인물은 영웅 탄생이나 영웅적 인물됨을 드러내는 화소 삽입을 통해 창조된 주인공 고서현(해달)과 해달의 곁을 지키며 조력자 역할을 하는 봉황새 ‘짠’이다.
    그리고 신화 인물의 동화 수용에 있어 나타나는 문제점을 측간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동화에서는 측간신을 인간의 수호신들과 대결하는 악신으로 규정함으로써 가신이라는 신의 정체성을 상실시켰다. 또한, 악행의 이유가 지나치게개인적이며 개연성과 공감을 확보하지 못하여 신화에서 드러난 측간신의 다양한상징적 해석이 동화에서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동화의 전개과정에서 인간과 직접 소통과 교류하던 문전신을 마지막에 책속으로 다시 가두는 닫힌결말 구조로 인해 신화가 일상으로 귀환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한 문제가 드러났다.
    동화 창작에서 신화 모티프를 차용할 때에는 신화를 직접적으로 많이 드러내려는 부담을 과감하게 버려야 한다. 신화의 겉옷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신화 원형을 잘 파악하여 창작한 작품 속에 상징적으로 잘 녹여내는 것이 중요하다. 《녹디생이, 사라진 변기를 찾아라》 판타지 동화는 신화 인물 차용의 여러 문제를 드러내고는 있지만, 신화적 상징을 녹여 새롭게 창조한 인물을 통해 한국신화를 모티프로 한 동화 창작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앞으로 신화를 모티프로 한동화 창작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and probl ems of acceptance about mythological characters in Nokdisaeng-i, Find Disappeared Toilet Seat.
    Characters in this fairy tales are largely embodied into two aspects. One is a character who re-created that was derived from characters in the myth, the other is a character who is newly created by borrowing a mythical symbol. The former characters are the god of gate, ‘Nokdisaeng-I’, the god of toilet shed, ‘Cleaner’, the river god, ‘Habaek’, and the dragon king of the sea, ‘Yongwang’. The latter characters are the protagonist ‘Go Seo-hyun(Haedal)’ and the phoenix ‘Jjan’. Haedal is created by inserting story motif to reveal the birth of a hero or hero’s ability, and Jjan is the guardian and assistant of Haedal.
    In the following chapter,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when mythological characters are accepted into fairy tales, focusing on the god of toilet shed.
    This fairy tale defines the god of toilet shed as a villain who confronts the gods who want to protect humans and thus it reveals the problems of losing his identity as the god of family. It also appears another problem that this fairy tales is not able to make various interpretation about the mythological characters because the reason why the wicked act of villain is from excessively personal causes therefore it loses its probability and readers’ sympathy. Finally, in this fairy tale, the closed ending structure that recaptured t he god of gate into the book reveals the problem that the myth lost the opportunity to return to daily life.
    When creating fairy tales with myths as motifs, the burden of revealing many signs of the myth should be boldly removed. It is not important to show externals of myths, it is vital to grasp the archetype of myths and dissolve it sufficiently into the creative work s. The fantasy fairy tale, Nokdisaeng-i, Find Disappeared Toilet Seat, lets us discover the possibilities and make us anticipate an active creation of fairy tales using myths as a moti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겨레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