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燕行錄에 나타난 華表柱 담론과 漢詩에 형상화된 華表柱 (Discourses about Hwapyoju reflected upon Yeonhaengrok and Hwapyoju in Chinese poe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2.03
29P 미리보기
燕行錄에 나타난 華表柱 담론과 漢詩에 형상화된 華表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40호 / 63 ~ 91페이지
    · 저자명 : 박성호

    초록

    ‘丁令威가 道術을 배워 천 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왔으나 그를 알아보는 이가 없었다.’라는 華表柱 故事는 우리 문학사에서 끊임없이 회자되고 있다. 특히 연행록을 중심으로 화표주 관련 담론이 펼쳐져 있으며 고려부터 구한말까지의 한시에서도 끊임없이 用事되고 있다. 이에 화표주 고사에 대한 관심의 원인으로 두 가지 가설을 세워보았다. 첫째는 화표주가 위치해 있다고 전해지는 遼東에 대한 관심이 요동의 대표적인 유적인 화표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둘째는 화표주 고사의 높은 문학적 활용도로 인해 한시에서 끊임없이 용사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연행록에 펼쳐진 화표주 관련 담론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遼東의 白塔이 화표주인가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당시 世間에서는 화표주와 요동의 백탑을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대부분의 연행사들은 둘을 별개의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화표주 혹은 백탑을 누가 세운 것인지 언제 세운 것인지 그리고 왜 세운 것인지에 대한 활발한 담론이 연행록 속에 펼쳐져 있었다.
    그리고 연행록에서는 같은 날짜의 기록 안에서 요동이 先祖들의 옛 영토였음을 우선 밝히고 나중에 화표주를 언급하는 패턴이 반복되고 있었다. 그리고 漢詩를 통해 조선의 지식인들이 화표주와 요동을 동일한 개념 혹은 화표주를 요동의 가장 대표적이 유적지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요동에 대한 관심이 화표주로 전이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화표주 고사에서는 羽化登仙이라는 도교적 모티브와 人生無常의 모티브 그리고 歸鄕 모티브를 추출해 낼 수 있었다. 이 세 가지 모티브는 한시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모티브이다. 이처럼 화표주 고사는 한시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용되는 세 가지 모티브를 내포하고 있기에 漢詩史에서 끊임없이 회자될 수 있었음을 밝혔다.

    영어초록

    The HwaPyoJu(華表柱) story, JungLyungWi(丁令威) learned Taoism(道敎) and returned home after one thousand years but there was no one who recognize him, has been referred constantly in Korean literary history. Especially in Yeonhaengrok(燕行錄, the record of Beijing travel), discourse of HwaPyoJu(華表柱) are extending and from the period of Koryŏ(高麗) to end of Chosŏn(朝鮮) the story has been used in Chinese poem(漢詩) constantly.
    So I set up two hypotheses to explain the reason of popularity of the HwaPyoJu story in Korean literature. The first is that the concern over Liaotong(遼東) region is transferred to Hwapyoju. And HwaPyoJu story has been used in Chinese poem constantly because the story has three motives that would be frequently used in Chinese poem.
    The most typical discourse about HwaPyoJu is that the White Pagoda in Liaotong region(遼東 白塔) is the same thing with HwaPyoJu. Generally Korean intelligent in the Chosŏn Period perceived that HwaPyoJu and White Pagoda are two separate things. And in YeonHaengRok I could find other discourses about who built HwaPyoJu or when it was built or why it was build.
    Also there is pattern first telling Liaotong region was originally belonged to Korea and later telling about HwaPyoJu in same day record of YeonHaengRok. And the study through the chinese poem, I could find the intelligent perceived HwaPyoJu and Lialtong region as almost same concept. Through both facts first theory was proven.
    And I could extract three motives related with Taoism and the transience of human life and homecoming from HwaPyoJu story. These three motives are the motives that has been very frequently used in Chinese poem. For these reasons the HwaPyoJu story could be referred in Korean literature for a very long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