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江海乘槎錄』의 書誌事項과 唱和紀俗에 대하여 (A Study on Bibliography and Changhwagisok of Kanghaeseungsarok)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08.02
34P 미리보기
『江海乘槎錄』의 書誌事項과 唱和紀俗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26권 / 26호 / 141 ~ 174페이지
    · 저자명 : 김성진

    초록

    본 연구는 1818년에 제주도 앞바다에서 표류하여 寧波에 漂着한 후 浙江과 山東 北京 등지를 거쳐 귀환한 崔斗燦(1779~1821)의 표류기록인 『江海乘槎錄』을 살펴본 것이다. 중국여행기록이 주로 북경까지의 왕복노정과 견문을 기록한 것이므로, 강남지역에서의 필담창화와 견문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는 『강해승사록』은 최부의 『금남표해록』과 함께 연행록 계통의 중국여행기와 상호보완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최부의 『금남표해록』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온 것에 반해, 『강해승사록』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뿐만 아니라, 국내외 문헌의 관련 기록은 물론 고문헌 연구의 전제조건이라고 할 수 있는 서지사항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3종의 필사본을 더하여 이들 5종의 ‘乘槎錄’의 서지사항을 비교분석하였다. 아울러 허훈의 『舫山集』에 실려 있는 「승사록서」를 찾아내고 이 서문의 내용을 통해 허훈이 서문을 쓴 『승사록』이 현전하는 5종의 ‘승사록’과 다른 편제의 ‘승사록’이었을 가능성에 대해 추정해보았다.
    최두찬은 普陀島 漂着 후 많은 문사들과 필담창화를 나누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중 한명인 孫曾仰이 『四庫全書總目』의 「御製序」에 1백종 이상의 도서를 進呈한 浙江의 대표적인 장서가로 인용된 인물이며, 이러한 사실은 이덕무의 『청장관전서』에도 인용되어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余鍔이 그의 편지에서 언급한 金魯敬과 李永純, 그리고 이들의 안부를 물은 屠倬 등의 인물이 국내외 기록에 전해지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두찬의 필담창화 외에 그가 귀환 도중에 보고들은 중국의 풍속을 살폈는데, 강남지역의 화려한 도시 분위기와 河北 지역의 곤궁함, 그리고 중국의 음주문화와 기우풍속, 민간요법 등이 그 주된 내용이다. 이밖에 山東에서 高麗紙를 접할 수 있었다는 것과 두 그룹의 제주도 표류인을 만나게 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강해승사록』에는 박사호의 「탐라표해록」으로 해서 이름이 알려진 金光顯 관련 기록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관련 기록을 토대로 지금까지의 학계의 통설과 달리 김광현의 표류는 1828년이 아닌 1817년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on Kanghaeseungsarok, which was the journal of drifting written by Choi Duchan, who was repatriated home via Zhejiang(浙江) and Beijing(北京), Shandong(山東) after drifting off the shore of Cheju Island and being cast away on Ningbo(寧波). The record of travel to China was mainly about the round-trip itinerary to and experience in Beijing. Kanghaeseungsarok's main contents are the sharing of writings and poems in fellowship with learned men in the Gangnam area, and experiences acquired while traveling there. Therefore, it has a complementary meaning with other journals of travel to China, along with Choi Bu's Keumnampyohaerok.
    The study about Choi Bu's Keumnampyohaerok has constantly been done in different fields for a long time, while the study about Kanghaeseungsarok has just begun. However, the records of relevant literature has not been grasped, not to mention the condition of the records, even though their condition should be studied as the prerequisite of the study on old literature. This study doe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ndition of the records on five kinds of ‘Seungsarok’(乘槎錄), including three manuscripts which were not dealt in conventional studies.
    Furthermore, this study finds the 「Seungsarokseo」(乘槎錄序) in Hurhoon's Bangsanjip(舫山集) and presumes the possibility that Seungsarok, whose preface Hurhoon wrote, could have a different framework from five existent ‘Seungsarok’.
    Choi Doochan had fellowship with many learned men and shared writings and poems after being cast away on the Island of Putuo(普陀). This study shows that Sunzungang(孫曾仰) among them was the person who recommended more than one hundred books in Empire's Prolog of Sagojunseochongmok(四庫全書總目), being mentioned as the representative book collector in Zhejiang, and also quoted in Lee Dukmoo's Chungjanggwanjuns(靑莊館全書) It also confirms the fact that the domestic and foreign records were found about Kim Nokyong(金魯敬) and Lee Youngsoon(李永純) mentioned in Yeoak(余鍔)'s letters and Dotak(屠倬), who gave his regards to them.
    This study deals with the Chinese custom which Choi Doochan picked up, repatriating home, along with the writings and poems which he shared in fellowship with the Chinese learned men. The main contents were the luxurious civil atmosphere of the Jiangnan(江南) area, the poverty of the Heobei(河北) area, a Chinese drinking culture, a custom of praying for rain, popular remedies, etc. It also reveals that paper made in Koryo was used in Shandong and he encountered two parties of drifters from Cheju Island.(濟州)
    Kanghaeseungsarok contains the record related to Kim Kwanghyun(金光顯), who was known for Park Saho'(朴思浩)s Tamrapyohaerok(耽羅漂海錄). Based on the relevent records, this study presumes that Kim Kwanghyun drifted not in 1828 but in 1817, contrary to the academe's common opin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