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81년 조사시찰단의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 차이-『日東録』, 『東行日録』, 『東京日記』를 비교하며 (Differences of viewpoints on Japan from Inspectors in 1881 Ildongrok (日東錄), Donghaengilrok(東行日錄), and Dongkyungilgy(東京日記))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6.10
31P 미리보기
1881년 조사시찰단의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 차이-『日東録』, 『東行日録』, 『東京日記』를 비교하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53호 / 59 ~ 89페이지
    · 저자명 : 문순희

    초록

    1876년의 강화도조약을 계기로 개항한 한국은 조약 직후 1876년에서 1885년까지 수신사를 5차례 조사시찰단을 1881년에 한차례 일본에 파견했다. 현재 조사시찰단을 포함한 수신사들이 남긴 사행록은 대략 20종이 확인되며 그 외에도 국가에 제출한 보고서 형식의 기록도 남아 있다. 보고서를 제외한 개인 사행관련 기록은 서술 주체, 서술 시기, 서술 내용 등 각각 기록 성격이 다르다. 이 기록들을 나란히 펼쳐봤을 때 개인마다 사행에 참여하는 태도와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의 차이가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본 논고에서는 일본 사행에 대한 태도, 그리고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 등이 개인마다 어떻게 달랐는지 비교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1881년 조사시찰단 수행원의 세 기록-강진형의 『日東錄』, 민건호의 『東行日錄』, 송헌빈의 『東京日記』를 텍스트로 선택하였다. 일본사행록을 남긴 세 인물은 동일한 시기 동일한 직책으로 일본에 파견되었는데, 세 사행록에는 각각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 차이가 나타났다.
    강진형은 가장 전통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수행원으로 도일하여 새로운 문물들을 쉽게 수용하지 못하고 근대에 적응할 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사행록에 개인적으로 방문한 장소나 근대문물, 도시 풍경에 대한 감상 등을 기술하지 않았고 개인적으로 어떤 사물에 특별히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가 유일하게 교류를 나눈 일본인에게 지은 시를 통해 간접적으로 그가 일본 근대 문물에 부정적이며 문명화된 일본에 적응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와 반대로 민건호의 경우 견문한 사물에 대한 감상이나 개인 생활을 기록에 남겼는데, 민건호는 일본 생활에 적응하여 다양한 계층의 일본인과 교류하였고 일본 문화와 풍습에 대한 관심이 컸다. 송헌빈은 사행록에 여러 제조법을 필사하는 등 근대 문물과 기술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흔한 필담이나 시문을 기록하지 않았다. 그는 민건호와 달리 일본인과의 사적 교류가 거의 없었거나 이에 관심이 없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처럼 시찰단 수행원은 기존의 사행의 사신들과 비교했을 때 훨씬 다양한 감정과 태도로 일본을 대하고 있었다. 이는 극변하는 시기에 기존의 일본에 대한 인식이 국내에서도 점차 변화하고 있었고, 일본에 파견된 사행원들이 전통적인 대외 사행과는 다른 역할을 스스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Korea that had opened the ports by Ganghwado Treaty in 1876 dispatched five times of Sooshinsa(修信使) from1876 to 1885 and one time of Inspectors(朝士視察團) in 1881 to Japan. Up to now, approximately 20 Sahangroks(使行錄) which had been written by Sooshinsa including Inspectors wer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records are different by writers, writing time, writing contents, and so on, which reflects the different viewpoints and attitudes on Japan by individuals, referring to each record review. In this article, the differences by individuals were investigated for the attitudes to the Japanese investigational trips and the viewpoints on Japan.
    To do so, three records by the attendants of Inspectors in 1881 were selected as the textbooks including Ildongrok, Donghangilrok, and Dongkyungilgy by Jin Hyung Kang(姜晉馨), Kun Ho Min(閔建鎬), and Hun Bin Song(송헌빈), respectively. Three people to leave Japanese travel records were dispatched as the same position to Japan, while their viewpoints on Japan were different in the records.
    Jin Hyung Kang, an attendant with the most traditional way of thinking, was shown that he had hardly accepted the new products of civilization easily not to be adaptive well to the modern times after crossing to Japan. He did not describe the places to visit personally, products of civilization, thoughts on the city scenery, and so on in the travel records, which reflected not to be interested in any objects specially. From the poem that he wrote for a Japanese person only with whom he made relationship, it was known indirectly that he was negative to the products of civilization in Japan and was not well adaptive to the civilized Japanese life. On the other hand, Kun Ho Min left the records on his personal life or thoughts on the observed objects, and he was well adaptive to the Japanese life to make the relationship with a variety of Japanese classes with high level of interests in the cultures and customs in Japan. Hun Bin Song showed the progressive attitude on the modern products of civilization and the technologies transcribing multiple manufacturing methods in the travel records, however, he did not record the common conversations by writing or the poems. Unlike Kun Ho Min, it was estimated that he had made relationship with few Japanese people personally or no interest at all. The attendants of Inspectors showed much more dynamic emotions and attitude to Japan compared to the existing envo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