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비록』에 나타나는 ‘情/眞情’ 개념의 함의 및 그 비평의 양상 (The Connotations in the Concept of ‘Chŏng (情) / Chinjŏng (眞情)’ and Criticisms in Ch'ŏngbirok (淸脾錄))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2.07
20P 미리보기
청비록』에 나타나는 ‘情/眞情’ 개념의 함의 및 그 비평의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88호 / 57 ~ 76페이지
    · 저자명 : 장진엽

    초록

    본고는 李德懋의 『淸脾錄』에서 ‘情/眞情’ 개념이 사용된 맥락을 검토하고 그와 관련한 비평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청비록』에 나타나는 ‘情’ 개념의 함의를 살펴보았다. 이덕무는 이광석의 시를 ‘淸眞’하다고 평하고, 독서를 많이 하여 품격이 높아져서 정이 농후해진 사람이라고 하였다. 그의 시에서 벗을 향한 애틋한 마음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이덕무는 이어서 ‘情勝’한 사람을 그리워하는 자신의 시를 인용하고, 겉으로는 친절하면서 속으로는 남을 해치려는 자들에 대해 ‘조그마한 정도 없는 자들’이라고 비판한다. ‘情勝’한 사람이란 벗에 대한 정성스러운 마음을 가진 사람이며, 표리부동한 이들은 타인에 대한 정이 없는 사람이다. 즉, 이덕무에게 ‘정’이란‘관계’에서의 ‘진실성’을 핵심으로 하는 개념인 것이다. 이러한 정은 사람 사이의 진솔한 관계를 가능하게 하는바탕으로서, 이러한 맥락에서 ‘정’은 곧 ‘진정’으로 표현된다.
    다음으로 『청비록』의 시평에서 ‘정/진정’ 개념이 어떤 양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덕무는『청비록』에서 동시대의 청나라 문인 엄성, 반정균, 육비, 이조원이 조선인들과 교유한 일을 소개하였다. 특히이들이 이별에 임하여 애통해하는 모습을 생생히 묘사하고, 여기에서 ‘眞情’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덕무는 『耳 目口心書』에서 진정의 발로와 꾸며낸 감정은 저절로 구별되며, 칠정 가운데 슬픔이 가장 속이기 어려운 것이라고 하였다. 중국 문인들에 대한 글에서 이별의 정을 부각한 것도 이 때문이다. 한편 관계에서의 진정의 발로는 ‘言外之味’의 詩境을 창출하는 경지로 이어진다. 진실하고 가식 없는 마음이 가득하여 자기도 모르게 그 감정이 말에 담기게 되고, 그 뜻이 말 바깥으로 넘쳐나서 무한한 여운을 남기게 되는 것이다. 진정의 유로가 자연스럽게 함축미의 창출로 이어진다는 생각인데, 이덕무 시평의 특색이 확인되는 부분이다.
    眞情과 天眞을 중시하는 관점은 公安派와 원매의 性靈說에 바탕을 둔 것이며, 언외지미의 함축성을 추구하는 것은 왕사정의 神韻說과 통하는 생각이다. 그러나 그 구체적인 운용 방식은 이덕무의 독자적인 발상에 의한 것이 많으며, 본고의 분석 역시 그러한 사례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xts in which the concept of ‘chŏng’ (情. affection) and ‘chinjŏng’ (眞情. true affection) was utilized in Yi Tŏkmu (李德懋)’s Ch'ŏngbirok (淸脾錄. Records of Pure Energy Inside), and the criticisms in regards to the said concept.
    First, the connotations embodied in the concept of chŏng as appears in Ch'ŏngbirok is appraised. Yi Tŏkmu evaluated the poetry of Yi Kwangsŏk as ‘ch'ŏngjin (淸眞. pure and sincere)’, remarking that his chŏng has become very robust from his high level of sophistication, which comes from him being well-read. Yi Kwangsŏk’s visible affection for his friend in his poetry has inspired such remark. Following this, Yi Tŏkmu quoted his own poetry which expresses his longing for a ‘ch'ŏngsŭng (情勝. warmhearted)’ individual and proceeded to denounce those who are kind on the outside, but actively malicious on the inside as ‘ones without a semblance of chŏng’. Ch'ŏngsŭng individual refers to those who have an affectionate heart for friends; insincere individuals possess no chŏng for others. In short, sincerity in a relationship is at the core of Yi Tŏkmu’s understanding of chŏng. As a foundation which allows an honest relationship to form between two people, in this context chŏng is conceptually equal to chinjŏng.
    Next analyzed is the ways in which the concept of chŏng and chinjŏng is employed in poetry criticisms of Ch'ŏngbirok. Yi Tŏkmu introduces the exchanges between Chinese literati – Yan Cheng (嚴誠), Pan Ting Jun (潘庭筠), Lu Fei (陸飛), Li Tiao Yuan (李調元) – and Chosŏn literati. He provided an especially detailed picture of how they lamented upon their parting, and realized ‘chinjŏng’ here. Also, Yi Tŏkmu argued in Imokkushimsŏ (耳目口心書. Book of What I Have Heard, Seen, Said, and Felt) that manifestation of chinjŏng and fabricated emotions are distinguishable by nature, and that sadness is the most hard to fabricate among seven emotions (七情). It follows this that he places special emphasis on the chŏng of parting found in writings about Chinese literati. Meanwhile, it is the manifestation of chinjŏng in relationships which elevates the level of poetry, producing sensation beyond words (言外之味). When full, sincere and unpretending heart gets itself embodied in the words; and when such mind overflows the words, it leaves a ring that lasts eternally. This idea that full expression of chinjŏng naturally leads to implicative poetic words is characteristic of Yi Tŏkmu’s poetry criticism.
    The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chinjŏng and ch'ŏnjin (天眞. true nature) is based on the theory of spiritual expression (性靈說) by Gong‘an School (公安派) and Yuan Mei (袁枚), while the pursuit of implicative language of sensation beyond words coincides with the theory of spirited charm (神韻說) presented by Wang Shi Zhen (王士禎). However, Yi Tŏkmu’s specific mode of their application is very original. Analysis presented in this paper is one example which exemplifies such q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