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권구의 필기잡록 「謾錄」 연구 (Study on Gwon Gu(權絿)’s miscellaneous records, Manllok(謾錄))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4.12
40P 미리보기
권구의 필기잡록 「謾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논집 / 102호 / 141 ~ 180페이지
    · 저자명 : 송근후

    초록

    본 논문은 18세기 초반 필기잡록 저술인 權絿(1658-1730)의 「謾錄」을 검토하여 그 내용적 특징과 저술의 가치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만록」은 다양한 소재의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들이 실려있는데, 강원도 高城 지역의 풍속‧문화‧역사‧사회 등을 중심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에 따라 권구의 필기류 저술의 내용상 특징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성의 산수와 유람 문화에 관심을 보였다. 권구는 고성 지역에서 새롭게 알게 되거나 직접 다녀온 산수와 지리 정보를 상당수 수록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지역에서 전해져 내려온 유람 문화의 유래를 밝히고 이를 외부자로부터 보호하고자 하였다. 둘째, 고성의 풍속을 啓導하는 데 힘썼다. 풍속이 악화되고 있는 위기감 속에서 권구는 앞장서 풍속을 올바르게 인도하는 실천적 지식인의 면모를 보였다. 그중 孝子 黃信之 비석 건립을 다룬 조목에 주목하였다. 이 조목은 권구가 20년에 걸쳐 고성 인물 황신지를 발굴하고 비석을 세운 구체적인 과정을 보여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만록」이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면, 먼저 정보원으로서 풍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사회사·문화사·풍속사·지리사·환경사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지역 문화와 풍속 등에 대한 향촌 사대부의 의식과 태도를 엿볼 수 있다. 권구의 「만록」은 강원도 고성 지역에 따뜻한 관심과 깊은 애정을 가지고 지은 소중한 저술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early 18th-century miscellaneous records, Mallok(謾錄), written by Gwon Gu(權絿, 1658-1730), with the aim of exploring its thematic characteristics and the value of the work. Mallok contains a variety of intriguing anecdotes, notably focused on the customs, culture, history, and society of the Gangwon-do Goseong region. The content of the manuscript is organized around these themes, making it distinctive. The key findings from an analysis of Gwon Gu's literary work are as follows. First, Gwon Gu shows a strong interest in the landscape and travel culture of Goseong. He recorded and introduced various new geographical and scenic details that he had recently learned or visited. Moreover, he investigated the origins of the local travel culture and sought to preserve it against outside influences. Second, Gwon Gu was dedicated to the improvement of local customs and morality. In a time of perceived moral decline, he emerged as a proactive intellectual who led efforts to correct societal norms. A notable section of Mallok addresses the erection of a monument for the filial son, Hwang Sin-ji(黃信之), in Goseong. This section provides a detailed account of the 20-year effort to uncover and honor the life of Hwang Sin-ji and the construction of the monument.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Manrok lies in its role as a valuable information source, offering rich data that can contribute to studies in social history, cultural history, history of customs, geography and environmental history. It also offers insights into the consciousness and attitudes of the local scholars toward regional culture and customs. Mallok is a precious text, written with sincere affection and deep interest in the Goseong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