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지회 『표해록』의 서술적 특징 연구 -『승사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Pyohaerok(『漂海錄』) by Yang, Ji Hoe(梁知會):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Seungsarok(『乘槎錄』))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7.03
32P 미리보기
양지회 『표해록』의 서술적 특징 연구 -『승사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0권 / 1호 / 191 ~ 222페이지
    · 저자명 : 박진성

    초록

    이 글은 새로 발굴된 양지회(梁知會)의 『표해록(漂海錄)』이 지닌 문학적인 가치를 탐구하려는 의도에서 이 작품의 서술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특히, 동시기 표류기인 최두찬(崔斗燦)의 『승사록(乘槎錄)』에는 보이지 않는 표류 중 탐라인과의 갈등 사건에 주목하여, 이 이야기의 전개 과정과 그 서술적 특징을 살피고 문학적 의미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표해록』을 살펴보면, 탐라인과의 갈등 사건은 표류 중 식수 문제로 촉발되었으며, 양지회는 배 안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사람이자 관료로서 문제 해결에 적극 앞장섰다. 그 과정을 통해 연장자이자 관료로서의 책임감과 사명감, 애민의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양지회가 지녔던 책임의식은 『표해록』의 서술 방향이 사건 중심적으로 흘러가는 데 결정적인 동기가 되었다. 최두찬은 낙천적 성격의 소유자로서 표류 현실을 고난보다는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는 기회로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그의 『승사록』도 심각한 표류 현실에 대한 서술보다는 표류를 통한 새로운 만남과 문학적 글쓰기에 치중하게 되었다. 반면 양지회는 강한 책임감을 지니고 있었기에 표류 중 겪은 다양한 사건들을 상세히 기록하였고, 이로 인해 『표해록』은 시문 중심의 『승사록』과 달리 사건 중심적인 이야기로 구성될 수 있었다. 이러한 표류에 대한 인식의 차이 때문에 탐라인 갈등 사건도 각자 다르게 수록되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표해록』에 나타난 다양한 사건기록을 통해 양지회가 자신의 작품을 단순 표류담이 아닌 완성도 있는 한편의 서사문학작품으로 만들고자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는 서사의 기본 단계에 따라 탐라인과의 갈등 사건을 기록하고 소설적 장치인 복선을 활용하는 등 복합적 이야기 구성으로 서사성과 재미를 한층 강화하였다. 완성도 높은 작품을 향한 그의 의도성은 허구적인 노정 정보를 삽입하고, 『승사록』의 주요 기록을 적극 인용한 것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그동안 소략하였던 양지회에 대한 인물 정보와 의식세계를 조금이나마 보완할 수 있었다. 또한 양지회와 최두찬 모두 과거에 급제하지 못한 재지사족의 처지에서 각자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문학적 역량을 과시하고자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 후기 표해류 작품이 단순 표류담을 넘어 문학성을 갖춘 하나의 문학작품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두 작품의 문학사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Pyohaerok(漂海錄) by Yang, Ji Hoe(梁知會) newly discovered to research its literary value. Especially, paying attention to conflicts with Tamra people during drift, which is not shown in another drifting record in the same period, Seungsarok(『乘槎錄』) by Choi, Doo Chan(崔斗燦), it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is story, and also considered its literary meaning.
    According to Pyohaerok, the conflicts with Tamra people were triggered by the issue of drinking water during drift. As the oldest person and a bureaucrat in the ship, Yang, Ji Hoe actively took the lead in the solution of the problem. which showed his responsibility, sense of duty, and love of the people as the oldest person and bureaucrat.
    Such Yang, Ji Hoe’s sense of responsibility became a decisive motivation for the narrative direction of Pyohaerok to flow focusing on the incident. Based on optimistic personality, Choi, Doo Chan perceived the drift as a chance to experience the new world, instead of hardship. Thus, his Seungsarok focused more on new meetings and lyrical writing through drift rather than the narration of serious drifting reality. On the other hand, Yang, Ji Hoe had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so that diverse incidents during drift were recorded in details. Contrary to Seungsarok focusing on poetry, Pyohaerok was composed of incident‒centered stories. Due to such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drift, the conflicts with Tamra people were also contained differently.
    Lastly, the record of diverse incidents shown in Pyohaerok showed that Yang, Ji Hoe aimed to create a narrative literary work with completion, instead of a simple record of drift. He reinforced the narrativity and fun with the composition of complex stories like recording conflicts with Tamra people and using foreshadowing depending on the basic stage of narration. His intention toward the work with high completion can be viewed from inserting fictional journey information, and also actively quoting the main records of Seungsarok.
    The processes above could a bit complement the information of Yang, Ji Hoe that used to be negligent. It also has the value of literary history in the aspect that records of drift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developing into complete literary works, instead of simple stories of drif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