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艮齋 田愚의 전라도 문인집단 형성-『觀善錄』의 전라도 문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Formation of Jeolla-do Literary Group by Ganjae Jeon Woo -Focusing on literary scholars from Jeolla-do stated on the books of Gwanseollok(觀善錄)-)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6.09
35P 미리보기
艮齋 田愚의 전라도 문인집단 형성-『觀善錄』의 전라도 문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78호 / 211 ~ 245페이지
    · 저자명 : 서종태

    초록

    충남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간재 전우의 문인록인 『관선록(觀善錄)』에는 그의 문인들이 연대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 『관선록』에 실려 있는 전라도 문인들을 시기와 지역별로 분석하여, 간재가 강학활동을 펼친 세 시기로 나누어 그의 전라도 문인집단 형성을 살펴보았다. 충청도를 중심으로 강학하던 시기에는 전북 7개 고을에서 27명, 전남 2개 고을에서 2명 도합 9개 고을에서 29명의 간재 문인이 배출되었다. 이 시기 간재의 전라도 문인 배출은 주로 그가 종유했던 각 지역 인물들의 영향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그가 종유한 인물이 제일 많은 부안에서 가장 많은 문인이 배출되었다. 간재가 전라도를 중심으로 강학하던 시기에는 전북 11개 고을에서 87명, 전남 6개 고을에서 20명, 전라도 통틀어 17개 고을에서 107명의 문인이 배출되었다. 이 시기 간재의 전라도 문인 배출은 주로 그의 강학활동에 영향을 받았다. 그러므로 그의 강학활동이 활발히 전개된 정읍, 부안, 전주, 고창 등의 고을에서 많은 문인이 배출되었다.
    간재가 해도(海島)에서 강학하던 시기에는 전북 14개 고을에서 249명, 전남 19개 고을에서 304명, 전라도 통틀어 33개 고을에서 553명의 문인이 배출되었다. 간재가 그 이전과 달리 해도에서만 강학을 했는데도 이 시기에 와서 그의 문인 배출이 전라도 거의 전역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간재가 강학활동을 거의 전개하지 않고, 그가 종유한 인물의 수가 전북의 3분의 1도 안 되는 전남에서 전북보다 55명이나 더 많은 문인이 배출되었다. 아울러 1916년부터 전라도에서 배출된 그의 문인 수가 2배 넘게 늘었다. 이는 간재가 해도에서 강학하던 시기에 독자적인 ‘성사심제설(性師心弟說)’을 완성하여 신망이 갈수록 높아진 점, 1910년 의병운동이 좌절된 뒤 보수 유학자 대부분이 간재와 같이 은거하여 후학을 양성하게 된 점, 전라도에서 문인집단을 형성한 다른 학파의 주된 인물들이 1916년 이전에 거의 다 세상을 떠난 점 등의 이유로 1916년부터 보수 유학자들이 전라도 전역에서 간재의 문하로 대거 몰려왔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books of Gwanseollok, a list of literary scholars written by Ganjae Jeon Woo kept in the central library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ists his literary men in chronological order. This study analyzed these literary scholars in the books of Gwanseollok by region and period and investigated the formation of his Jeolla-do literary group by dividing his lecture activities into three different periods. When he was giving a lecture around Chungcheong-do, he nurtured a total of 29 literary scholars including 27 from seven villages in Jeonbuk and 2 from two villages in Jeonnam. The production of Jeolla-do literary scholars by Ganjae during this period was influenced by the renowned regional figures he got along with. Therefore, it was Buan which produced the largest number of literary men, where the number of the scholars he spent time with was the highest. When he was teaching in Jeolla-do, he produced a total of 107 literary scholars including 87 from eleven villages in Jeonbuk and 20 from six villages in Jeonnam. The production of Jeolla-do literary scholars during this period was usually influenced by his lecture activities. Therefore, a lot of literary scholars were produced in Jeongeup, Buan, Jeonju and Gochang where he was very active in lecture. When he was giving a lecture in solitary islands, in contrast, he produced a total of 553 literary scholars from 33 villages including 249 from 14villages in Jeonbuk and 304 from 19 villages in Jeonnam. Even though he just gave a lecture in Haedo only, the production of literary scholars by him spread all across Jeolla-do this time. In addition, even though he almost didn’t give a lecture in Jeonnam, and the number of renowned figures he spent time with was just one third of Jeonbuk, Jeonnam was greater than Jeonbuk by 55 in terms of the number of literary scholars produced by him. Furthermore, the number of literary men produced by him in Jeolla-do since 1916 has doubled because a lot of conservative scholars in Jeolla-do wanted to be taught by him since 1916 based on the following reasons:his reputation was very high after compiling a theory of Seongsasimje(性師心弟) while giving a lecture in Haedo; most conservative scholars lived a secluded life, teaching students together with Ganjae after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failed in 1910; most leading figures from other sects in Jeolla-do passed away before 1916.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