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萬敷의 『道東編』과 李瀷의 『道東錄』을 통해 본 근기남인의 ‘道東’ 의식 (Keunki Southerners’ Consciousness of Dodong道東 through Yi Manbu’s Dodongpyeon道東編 and Yi Ik’s Dodonglok道東錄)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1.06
27P 미리보기
李萬敷의 『道東編』과 李瀷의 『道東錄』을 통해 본 근기남인의 ‘道東’ 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58호 / 507 ~ 533페이지
    · 저자명 : 이원준

    초록

    본 연구는 息山 李萬敷(1664~1732)의 『道東編』과 星湖 李瀷(1681~1763)의 『道東錄』의 저술배경, 내용 및 구조, 특징 등을 살펴봄으로써 근기남인계의 ‘道東’ 의식의 실체를 시론한 것이다.
    『도동편』은 退溪 李滉(1501~1570)과 栗谷 李珥(1536~1584) 등 한국 성리학자들만의 언설을 『性理大全』의 체제로 망라한 것으로, 식산은 도통의 적전을 퇴계로 상정하면서도 율곡의 설까지 아울러 수록함으로써 학파와 정파에 관계없이 한국 유학의 발전상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도동록』은 퇴계의 언설을 『近思錄』 체제에 준하여 정리한 것으로, 성호는 사서의 입문서인 『근사록』을 의식한 채 퇴계설을 정리함으로써 한국적 도학 전통의 기원을 밝히고 이를 한국적 도학 입문서로 삼고자 하였다. 두 저서는 모본의 차이로 인해 편차 구성, 인용 문헌의 범위, 분량 등이 일치하지는 못하다. 그러나 각 저서의 저자들은 한국 유학자의 언설만을 대상으로 삼아 수집 및 편집하고 이를 동일한 표제로 명명함으로써 ‘道學’ 또는 ‘道統’의 東傳을 형용하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퇴계를 도학의 정점이자 도통의 적전으로 설정하는 모습을 보인다.
    식산과 성호는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출사를 포기하고 학문에 매진하여 후일 근기남인을 대표하는 석학으로 인정받았다. 두 저서가 저술된 시기는 남인이 정계에서 축출되고 서인 노론 정권이 들어서고, 尤庵 宋時烈(1607∼1689)의 유지를 이은 노론의 존명의리사상이 萬東廟와 大報壇이라는 중화계승 상징물로 가시화되던 때였다. 근기남인계인 두 학자로서는 노론이 선점한 중화계승 의식에 상응하면서도 저들이 구축한 주자학 절대주의 및 춘추의리와는 구별되는 사유를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두 학자의 ‘도동’ 서적 저술은 근기남인계 지식인으로써의 책임의식과 위기의식의 발로로, 퇴계가 도학의 정점이자 도통의 적전으로 설정되었다는 점은 이러한 사정과 무관하지 않다. 한국 유학의 발전상을 드러내고 그 중심을 퇴계로 설정함으로써 식산과 성호가 제시하고자 한 ‘도동’ 의식은 주자학 그 자체에 대한 정치한 분석에 기반하고 일련의 상징물로 가시화된 노론식의 ‘중화계승’ 의식과는 분명히 구분되는 지점이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content,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Siksan Yi Manbu’s Dodongpyeon and Seongho Yi Ik’s Dodonglok, and contemplates Keunki(suburb of Seoul) Southerner’s consciousness of ‘Dodong’. ‘Dodong’ is a term meaning that the origin tradition of Confucianism has been passed down from China to Korea and is in full bloom in Korea. Seongho presented a new academic trend to the contemporary Korean academia, and Siksan also had a love and frequent consciousness of Korea's own land and history, and their ‘Dodong’ writings show their pride in Korean Confucianism at the time. The two writings both set Toegye Yi Hwang as the pinnacle of Dohak(Learning of the Way) and the successor of Dotong(transmission of the Way), and many similar points are found in composition.
    The two writings were written at a time when Noron's notion of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became visible symbols such as Mandongmyo and Daebodan. Noron's preoccupation with the notion of ideas of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refers to the deprivation of bipartisan ideology for Southerners who shared the memories of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the Manchu invasion in 1636. Southerner intellectuals needed to provide a corresponding and distinct consciousness against Noron's ideology. As a result, unlike Noron, who conducted a sophisticated analysis of Zhu Xi’s thought and expressed it as Mandongmyo and Daebodan, the two scholars advocated the pride of Korean Confucianism centered on Toegye as the consciousness of ‘Dod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