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晴陰錄>으로 본 (社)儒道會 略史 (Outline History of Corporation Yudohoi(儒道會) via 『Cheongeumrok(晴陰錄)』 by Hong Chan-Yu: "Volume of Material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4.06
28P 미리보기
&lt;晴陰錄&gt;으로 본 (社)儒道會 略史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55호 / 265 ~ 292페이지
    · 저자명 : 정후수

    초록

    『晴陰錄』은 권우 홍찬유(1915-2005) 선생의 일기(1969년 1월 9일∼1982년 1월 14일)이다. 선생은 사단법인 유도회의 창립부터 모든 운영에 직접 관여하였으므로 유도회의 역사를 가장 잘 알고 있는 분이다. 따라서 이 『청음록』은 유도회 역사를 정리하는데 적합한 자료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청음록』은 모두 19권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분량은 200자 원고지 3,300매 정도이다. 일기 작성은 한문으로 되어있으며, 한문 문장으로 썼으되 한글 문장 어순을 따르기도 하였다. 그리고 원문의 많은 부분이 草書로 씌어있고, 또 중간 중간에 많은 漢詩가 삽입되어 있다. 이 원고는 일기 중에서 사단법인 유도회에 관련된 주요사항만을 발췌한 것이다.
    1. 사단법인은 1968년 11월 창립 발기인대회를 열고 이듬해 1969년 1월에 문공부로부터 인가를 받아 설립되었다(문화부장관 허가번호 제다-2-3호(종무 1732․5). 2. 사무실은 처음 서울 종로구 원남도 133-1 원남빌딩 3층(현 서울대 병원 앞 대학약국 자리)에서, 종로구 관수동 경보빌딩 2층, 다시 종로구 예지동 4번지 광장회사 388호실(興産親睦會 사무실)로 이전, 이후 경운동 건국빌딩 3층으로 이전하였다. 3. 운영비 조달은 성종호 이사장의 장남 성상영의 지원, 후에는 차기 이사장인 김원태, 권태훈이 담당하였으며, 1979년부터는 홍찬유 이사가 부담하였다. 3. 유림 활동으로는, 성균관 석전제(釋奠祭) 참가를 비롯하여, 巴里長書碑建立 및 건립 기념시집 발간, 유림독립운동사 열전 편찬(미완), 가정의례준칙 제정에 실천위원으로 참가하였다. 4. 성균관과의 분쟁이 있었으나, 1975년 7월 고법, 1976년 2월 대법에서 패소하였다. 5. 성균관 유도회와 통합에 관한 의논이 있기는 하였으나 거의 진척이 없었다. 6. 1979년부터 본격적인 유교 경서 및 한문 강좌를 홍찬유 이사가 주도하여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현재 일반 시민 강좌를 비롯하여, 장학생 강좌가 30년을 맞이하고 있으며, 수료생이 220명에 달하고 있다.

    영어초록

    Cheongeumrok is the journal of Gwonwoo(卷宇) Hong Chan-yu(1915-2005)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9, 1969∼January 14, 1982. He was personally involved in the foundation of a corporation called Yudohoi and also all of its operation, which makes him the most knowledgeable person about its history. His Cheongeumrok thus seems worthy enough as a proper material to arrange its history.
    Cheongeumrok consists of total 19 books, amounting to approximately 3,300 pieces of squared manuscript paper containing 200 letters per piece. He wrote it in Chinese and sometimes followed the Hangul-style word order while writing in Chinese. Many parts of the manuscript were written in a cursive hand with many Chinese poems embedded throughout it. The manuscript offers maj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poration Yudohoi extracted from his journal.
    1. There was a meeting of promoters to commemorate the foundation of the corporation in November, 1968, and it was in January, 1969 that it was established after getting a permit from the Ministry of Culture and Communication in January, 1969(Permit No. of Ministry of Culture and Communication: Da(다)-2-3(Jongmu(宗務)1732․5)).
    2. Its office was moved from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3rd floor of Wonnam Building, 133-1 Wonnam-dong, Jongro-gu, Seoul(currently Daekhak Pharmacy in fro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o Room 388 of Gwangjang Company, 4 Yeji-dong, Jongro-gu(office of Heungsan Social Gathering) and to second floor of KyungBo building, 21 Kyansu-dong, and to 3rd floor of Geongguk Building in Gyeongwoon-dong.
    3. Its operational costs were covered by the supports of Seong Sang-yeong, the eldest son of Seong Jong-ho, the chairman of the board, later Kim Won-tae and Gwon Tae-hun, next chairmen of the board, and Hong Chan-yun, a director, since 1979.
    4. His Confucian activities include participating in Seonggyungwan Seokjeonje(成均館 釋奠), joining in the erection of the Parijangseo(巴里長書) Monument and the publication of its commemorative poetry book, compiling the biographies(not completed) of Confucian patriotic martyrs for independence, and participating in the establishment of family rituals and regulations as a practice member.
    5. His Yudohoi had a dispute with Seonggyungwan and lost a suit at the High Court in July, 1975 and Supreme Court in February, 1976.
    6. There were discussions about its unification with Seonggyungwan Yudohoi, but there was hardly any progress.
    7. Yudohoi started to provide full-scale courses on Confucian and Chinese classics under the leadership of Director Hong Chan-yu in 1979, and they have continued on today. Its courses for scholarship students including those for common citizens boast a history of 29 years and 220 gradua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