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성록(日省錄)≫의 향사례(鄕射禮) 연구 (A study on Hyangsarye(鄕射禮) in Ilseoongnok(日省錄))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1.12
21P 미리보기
≪일성록(日省錄)≫의 향사례(鄕射禮)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57호 / 365 ~ 385페이지
    · 저자명 : 주동진, 정연택, 이승우

    초록

    왕의 일기, ≪日省錄≫은 우리나라 역사서로서 국보이며,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여기에는 大射禮와 鄕射禮라는 조선의 활쏘기축제가 기록되어 있다. 왕이 직접 주관한 활쏘기축제는 大射禮이고, 지방관이 주관한 것은 鄕射禮이다. 大射禮와 鄕射禮는 조선의 통치이념과 군신의 예의 그리고 전통문화의 계승과 대동단결을 종용한 儒家의 遺風으로써의 활쏘기이벤트였다. 따라서 ≪日省錄≫은 전승스포츠인 우리 활 문화를 연구하는데 간과할 수 없는 史料이다. 이 연구는 ≪日省錄≫을 중심으로 鄕射禮를 연구한 문헌연구이다. 지금까지 ≪日省錄≫을 통한 鄕射禮에 대한 연구가 1편도 없었다는 측면과 왕이 생각한 鄕射禮에 대한 견해는 이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가 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선의 왕들은 鄕射禮를 大射禮와 같이 그 의의가 크므로 항상 거행되는 것이 마땅하다고 보았다. 이는 ‘조선은 孔子를 숭상하는 유학의 나라’이며 鄕射禮는 大射禮와 같이 유가의 유풍으로써 전통의례이기 때문이다. 한편 鄕射禮는 大射禮와 같이 농사의 豐凶에 의해 좌우되었다. 즉, 大射禮든 鄕射禮든 ‘백성이 먼저 배불리 먹고 난 다음’에 시행하여야 한다고 ≪日省錄≫은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大射禮와 달리 鄕射禮는 놀이위주로 전향되기도 하여 그 의미가 희석되고 폐단으로 치닫게 된다. 조선말에 이르러 새로운 문물의 도입 등과 함께 전통사회의 질서체계가 무너지게 되자 수많은 유학자들은 鄕射禮를 바르게 실행할 것을 간언하였다. 그들은 국가의 존속과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방안으로 전통 유학의 바른 계승과 발전이라고 믿고 있었다. 조선 후기 유학자들이 주장한 鄕射禮의 부활은 이러한 의미에서 전통사회의 유지와 발전 그리고 혼란한 사회를 바로잡는 하나의 대책으로 보았던 것이다.

    영어초록

    Ilseoongnok(Records of Daily Reflections ; 日省錄), the king's diary, is a national treasure as a historical book of Korea and is listed as a UNESCO-designated World Heritage Site. Here, Joseon's Archery festivals called Daesarye and Hyangsarye are recorded. The Archery Festival organized by the king is Daesarye, and the archery event organized by Countryside Leader is Hyangsarye. Daesarye and Hyangsarye were events of Joseon's ruling ideology, courtesy of King and his servants,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conciliation of great unity. Therefore, Ilseoongnok is a historical source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studying our Archery culture, a traditional sport. This study is a literature study that studied Hyangsarye through Ilseoongno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irst, that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Hyangsarye through Ilseoongnok until now, and second, to find an opinion on Hyangsarye that the king though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kings of Joseon considered Hyangsarye natural to be held all the time because it was of great significance like Daesarye. This is because Joseon is a country of confucianism that honors Confucius, and Hyangsarye is a traditional ritual as a custom of confucianism like Daesarye. On the other hand, Hyangsarye, like Daesarye, was influenced by the good and bad harvests of farming. In other words, Ilseoongnok records that Daesarye and Hyangsarye should be implemented after the people are full first. However, over the years, unlike Daesarye, Hyangsarye turned to play, diluting its meaning and turning into a negative effect.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when the order system of traditional society collapsed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cultures, numerous Confucian scholars advised Hyangsarye to be held. They believed that it was the ‘right succession’ of traditional Confucianism as a way to maintain the state's survival and social order. In this sense, the revival of Hyangsarye, claimed by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viewed as a counterplan to maintain and develop traditional society and correct the confused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