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일본어의 「老」 관련 어휘의 사용실태 - 国研 「ことばに関する新聞記事見出しデータベース」를 분석대상으로 - (A Study on the general language use of ROO in the modern Japanese language : in Headline Database of Newspaper Articles by KOKKEN)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0.09
23P 미리보기
현대일본어의 「老」 관련 어휘의 사용실태 - 国研 「ことばに関する新聞記事見出しデータベース」를 분석대상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아시아인문융복합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硏究 / 31권 / 377 ~ 399페이지
    · 저자명 : 오미선

    초록

    1949年以降2009年3月まで 「言語」「言語生活」というの視点で収集した141,500件の新聞記事資料 「ことばに関する新聞記事見出しデータベース」(国立国語研究所)を分析の対象に、文章言語における 「老」関連語彙の使用実態を分析し、現代日本語における 「老」に対する使用意識の一面を考察した。「老」が含まれている記事は638件で新聞記事資料の約0.45%を占めている。<語彙>という主題の記事が合計286件で、総638件の45%に至る。次に、<言語>の105件(16%)が続く。主題の主な内容は、「老」の帯びるマイナス評価や語感、 「老」に伴われる症状の解決、老化防止、老人との疎通手段等である。「老」 関連語彙は完全一致(「老」) 前方一致(「老+○」後方一致(「○+老」)に分類して分析した結果、完全一致72例(約11%)、前方一致513例(約77%)、後方一致81例(約12%)の分布を示し、前方一致の頻度が圧倒的に高い。完全一致 「老」は 「老(ろう)」 「老(お)い」 「老(お)いる」 「老(お)ゆ」 「老(ふ)ける」等と読まれ、「老(お)いる」20例や轉成名詞 「老(お)い」34例が中心となる。前方一致では 「年取った」の意味を表す接頭語 「老∼」と 「老」が 「年取った∼」の意味を示す 「老+○」の漢語 「老人」が主なものになる。「老人」は305例で、前方一致の約59%、全体の約46%という高頻度を見せ、年取った存在は老人、すなわち人間に集中しているのがわかる。後方一致は接尾語 「∼老」と 「○+老」の漢語が中心である。接尾語 「∼老」は年取った人のフルネームや姓等につけ 「尊敬」の意味を表し、「○+老」の漢語の 「老」は 「年取ること」 「年取ることに対する評価」 「年取った人」を表す。

    영어초록

    The study analyzed the general language use of ROO in the written language. Also, one side of users' attitude toward ROO in the modern Japanese language had been considered. The analysis object was ‘Headline Database of Newspaper Articles by KOKKEN’’ which contained 141,500 newspaper articles. They were collected from viewpoints of ‘Japanese language’ and ‘Japanese language life’ from 1949 to 2009.
    There were 638 newspaper articles which contained ROO. They accounted for about 0.45 percent of the whole newspaper articles. Firstly, there were 286 articles which had a topic called a <vocabulary>. They reached up to 45 percent of 638 articles. Secondly, there were 105 articles(about 16 percent) which had a topic called a <language>. The main contents of topics were <negative estimation and connotations of ROO>, <solutions for symptoms accompanied with ROO>, <anti‒ageing>, <communication methods with the elderly>.
    Vocabularies related to ROO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was <ROO>, the second group was <ROO at the front> and the third group was <ROO at the back>. 72 articles (about 11 percent) were included in the first group, 513 articles (about 77 percent) were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and 81 articles (about 12 percent) were included in the third group. The second group appeared in newspaper articles much more frequently than other two groups.
    In the first group, ROO was pronounced in various ways such as ROO, OI, OIRU, OYU, HUKERU. OIRU in 20 articles and nominalized verb OI in 34 articles were key words.
    In the second group, words with a prefix <ROO‒> which meaned <got old> and a Chinese word ROOJIN were key words. ROOJIN was appeared in 305 articles. They accounted for about 59 percent of the second group and about 46 percent of the whole selected articles.
    In the third group, words with a suffix <‒ROO> and Chinese words <○+ROO> were key words. The suffix <‒ROO> was added to full names or surnames of the elderly to express <respect>. ROO of Chinese words <○+ROO> expressed <get old>, <estimation on getting old> and <the elder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