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45년 전반의 日本陸軍 農耕勤務隊 피동원 한인 ―나가노(長野)현 배치 부대를 중심으로― (The Agricultural Units(Nokoukinmutai) of Japanese Army and Mobilized Korean in 1945 -The Units Stationed in Nagano-ke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0.12
34P 미리보기
1945년 전반의 日本陸軍 農耕勤務隊 피동원 한인 ―나가노(長野)현 배치 부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민족문제학회
    · 수록지 정보 : 韓日民族問題硏究 / 19호 / 89 ~ 122페이지
    · 저자명 : 김광열

    초록

    1945年5月、徴兵検査で補充役の判定を受けた朝鮮人青年たちは日本陸軍の緊急食糧増産の方策によって組織された農耕勤務隊(以下、農耕隊)に徴集された。朝鮮人農耕隊は本州中部の山岳地帯に集団配置され、食糧増産のための開墾作業に当たった。長野県に配置された第5農耕隊の事例を通じて次のような事実が確認できる。朝鮮人補充役者たちの大体は日本語が通じなかったので、農耕隊の各中隊は多数の朝鮮人集団を少数の日本人が指揮監督する編成をしたし、ごくわずかな日本語のできる朝鮮人は通訳として配置された。配置現場での実態を見ると、彼らは事実上農業労働者としての役割をした。飢餓状態が続く中で山野を開墾してさつま芋や大豆を栽培するなど強度の高い労働を強要された。むろん当時は日本人一般も悪化した食料事情の下で困窮な状況にあった。しかし朝鮮人農耕隊は日本人上級者よりいっそう劣悪な環境に処した。現場の日本人農耕隊は朝鮮人より年齢も階級も上だったし、民族的優越感に浸って朝鮮人青年たちを同僚としてでなく 「下等の民」として差別的な待遇をした。しかし朝鮮人農耕隊は日本の敗戦直後に陸軍当局から帰還のための行政措置を何も受けず配置された現場でそのまま放置された。このような無責任極まりない状況を通じて当時の日本陸軍にはすでに農耕隊を管理する能力すらなかったと言える。結局彼らは全員自力で西日本の港へ向かって移動し帰還するしかなかった。

    영어초록

    In May 1945, Koreans who were determined as supplementary soldiers in the draft examination were recruited to the agricultural units because of the food production enlarging policy by the Japanese army at that time. The Korean units were arranged as groups to the mountain areas in middle Honshu(本州) to do reclamation work.
    Through the examples of the 5th unit which was sent to Nagano-ken, we can clarify the situations like these. As most Korean supplementary soldiers could not speak Japanese, each agricultural unit had the system that a few Japanese supervised and directed the majority of Koreans. Even though they were only a few, Japanese speaking Koreans were stationed as a interpreter in the unit. Seeing the labor conditions, Korean soldiers of the units were actually forced to work as laborers. The intensity of labor was high. They had to cultivate the wasteland and produce sweet potatoes and soybeens, being hungry with little food supply. While ordinary Japanese generally suffered from worsened food situation, Korean supplementary soldiers were put in the more challenging conditions than Japanese superiors who were in higher positions. Most Japanese in the workplaces were much older and treated Korean youngsters with discriminatory manners with national superiority. For them, Koreans were not companions in the same workplace but ‘inferior subjects.’However, Koreans in the units were left in the field after the end of war because the Japanese army neglected any administrative measures for them to return to Korea. This extremely irresponsible situation reveals that then the Japanese army had no ability to manage the agricultural units. For that reason, all of the Koreans in the units had to go home for themselves via ports in western area of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日民族問題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