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상추(1746∼1829)의 토지 매매정보 수집과 매매활동 - 居間과 居間人 그리고 土地買賣明文- (Collecting Land Information and Negotiating Land Dealings -A Case Study on Noh Sang-Choo’s Diary from the Late Choson Period (1763–1829)-)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9.12
37P 미리보기
노상추(1746∼1829)의 토지 매매정보 수집과 매매활동 - 居間과 居間人 그리고 土地買賣明文-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73호 / 155 ~ 191페이지
    · 저자명 : 정수환

    초록

    이 논문은 개인의 경제생활 중 토지매매와 관련하여 토지 매매 정보의 수집과 이를 통한 매매활동의 실태를 일기 자료를 활용하여 추적했다. 연구 결과는 토지 매매시장의 성장과 매매활동의 변화 규명을 통해 조선후기 경제 환경의 변화를 규명하는데 기여한다.
    분석 자료는 노상추(1746∼1829)가 1763∼1829년 동안 작성한 『노상추 일기』이다. 그의 일기에는 곡물을 비롯한 생필품에 대한 물가와 경제생활 관련 기록이 산재하고 있으며, 이들 기록 중 토지와 관련한 매매 정보의 수집과 이를 활용한 매매활동도 있다. 일기 기록을 토대로 노상추가 주변에서 발생한 토지매매 내용을 수집한 사실과 19세기 초 일기에서 ‘居間’과 ‘居間人’의 실제를 확인했다. 이러한 매매정보의 유통 환경에서 거간인의 존재를 활용하여 노상추는 토지매매 시장의 매매동향을 파악했다. 노상추가 매매활동에 있어서도 시장의 매매정보에 대한 수집을 토대로 매매물에 대한 흥정, 매매명문 작성, 그리고 매득물에 대한 확인을 실시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매득 토지와 관련한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매매명문을 토대로 적극적인 소유권 수호 활동을 전개했다.
    연구 성과는 토지매매명문의 작성에 앞서 정보 수집, 흥정, 매매물 확인이라는 일련의 과정이 존재하는 사실을 밝혀 매매양상과 매매관행의 변화 연구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19세기 초 居間 행위와 居間人이 존재하고 있는 실태를 규명하여 이 시기 토지매매 시장의 전개 양상의 일면을 규명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he circulation of land information for dealing and trading. The main archive is a diary written by Noh Sang-Choo (1746–1829), which covers a period from 1763 to 1829.
    No Sang-Choo recorded daily economic notes, like the purchase and sale of crops and other daily necessities, and he collected land information for dealing as well. Two main factors are analysed: the existence of agents and the detailed process of making contract documents. Of note, the former appeared only in diary entries from the nineteenth century. Purchasers acquired articles for sale by themselves or through elite Yangban, a wealthy class of nobility, who could take his role over his servants (slaves), who were called Su-noh (head servant) or Cha-noh (chosen servant)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se servants (slaves) made a contract instead of their owner before eighteenth century; however, they did not organize land information and dealing. Another discovery from this diary, written from 1763 to 1829, reveals that writing a contract takes several steps: purchasers had to collect information, bargain and investigate the rice paddies and dry fields they wanted. This content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amine written contracts in detail, including the location of land, the context of sale, and other market considerations for land dealing in relation to the agent.
    This research reveals the state of the land dealing market in the late Choson period, improving the market lead to changing economic life ways in land trading like presence of land dealing ag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