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늙음을 탄식하는 이를 향한 공감과 위로의 소통 방식 - 내방가사 <노탄가>와 <노탄답곡>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Feminine Verses ‘Notanga’ and ‘Notandapgok’ as Communication Methods of Sympathy and Consolation for One who Laments Aging)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8.06
24P 미리보기
늙음을 탄식하는 이를 향한 공감과 위로의 소통 방식 - 내방가사 &lt;노탄가&gt;와 &lt;노탄답곡&gt;에 대한 고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학 / 140호 / 143 ~ 166페이지
    · 저자명 : 이은화, 김윤희

    초록

    본 연구는 ‘북애가사(北厓歌辭)’라는 자료집을 통해 자료의 구체적 면모가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학계에서 연구되지 않은 진성(眞城) 이호(李鎬) 부인의 내방가사 작품에 주목해 본 것이다. 특히 자료집에 수록되어 있는 <노탄가(老嘆歌)>와 이에 대한 답가인 전주 최부인의 <노탄답곡(老嘆答曲)>을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두 작품의 특질은 물론 가문 내에서 소통된 내방가사의 양상과 문화적 의미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늙음에 대한 자탄(自歎)의 수사가 확인되는 <노탄가>의 경우 자신의 아픈 몸에 주목하여 그 증상과 변화를 다채로운 방식으로 형상화하는 특질이 두드러진다. <노탄가>를 읽은 최부인이 ‘문체가 황홀하다’는 평가를 내린 것도 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조선후기 남성적 시각에서 여성의 노화를 다룬 글들과 비교해 본다면 <노탄가>에 나타난 여성의 탄식은 노년기 여성이 스스로 자신의 신체에 주목하여 그 고통과 변화의 양상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외부와 타자의 시선이 아닌 여성의 주체적인 고민과 표현력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노탄답곡>을 지은 최부인 역시 종부(宗婦)로서의 부조리한 삶을 감내하고 있던 차. 억압 속에 짓눌려 있었던 말하기의 욕망이 <노탄가>를 읽은 후 내방가사로 표출된 것으로 보인다. <노탄가>를 읽으며 내방가사의 언어로 ‘시댁살이’의 어려움을 표현해도 괜찮다는 심리적 지지 기반이 확인되자 최부인은 <노탄답곡>을 통해 자신의 욕망과 목소리를 보다 적극적으로 드러냈던 것이다. 그리고 역설적이게도 이렇게 최부인이 형상화한 생생한 고난과 탄식의 양상은 늙음을 탄식하는 이호 부인에게 위로의 기제로 작동하고 있기도 하다.
    이처럼 조선후기 영남 지역에서 내방가사가 유통되던 방식 중 ‘가문 단위’의 문답과 소통 사례는 새롭게 주목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명문가 일원으로서의 자부심에 기반하면서도 자신의 내밀한 삶과 마음을 토로하고 알아줄 수 있는 사이라는 연대감이 전제된 소통 방식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a feminine verse written by Mrs. Lee Ho of the Jinseong Lee clan that has not yet been studied in the academic world, despite the fact that its specific details were previously revealed through a collection of verses titled ‘Bugae-gasa’. In particular, by synthetically examining ‘Notanga’(semantically the verse of lamentation for aging), which is included in the collection, and its answer verse, ‘Notandabgok’(semantically, an answer song to a lamentation for aging) by Mrs. Choi of the Jeonju Choi clan, this study identified characteristics of the two writings as well as, different aspects and cultural meanings of feminine verses shared within a clan.
    ‘Notanga’, where the rhetoric of self-lamentation for aging is found, has a prominent feature, that she focused on her sick body and portrayed the symptoms and changes in various manners. Mrs. Choi, who read ‘Notanga’, noted that ‘the style is fascinating’. In particular, the lamentation of women in ‘Notanga’ is portrayed very differently compared to other writings dealing with the aging of women in the masculine viewpoint of the late Joseon period. This study found that in ‘Notanga’, an elderly woman focused on her own body and tried to portray the aspects of suffering and change in a realistic manner. It shows the subjective anguish and expressive power in a woman’s viewpoint, not from an external or other person’s viewpoint.
    It seems that Mrs. Choi, who wrote ‘Notandapgok’, also expressed her desire to tell of a repressed life by a feminine verse after she read ‘Notanga’. At that time, she was enduring hard life circumstances as the eldest daughter-in-law of, a head family. When Mrs. Choi read ‘Notanga’ and found psychological support, her foundation for expression grew, and she learned to express the difficulty of ‘a woman’s married life’ through the words in a feminine verse. She revealed her desires and true voice by composing ‘Notandapgok’ with a more active mind. Paradoxically, the real aspect of suffering and lamentation portrayed by Mrs. Choi acted as a mechanism of consolation to Mrs. Lee Ho, who lamented aging.
    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examples of dialogue and communication on a family basis among the ways in which feminine verses were distributed in the Yeongnam area in the late Joseon period. A feminine verse is a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not only the self-esteem of a member of the prestigious family, but also provides a sense of solidarity with those around them and their circumsta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