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처음 만난 사람들>에 나타난 인프라노마드의 경계적 삶 연구 (A Study on Infra-Nomad's Boundary Life in Movie Show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7.06
29P 미리보기
영화 &lt;처음 만난 사람들&gt;에 나타난 인프라노마드의 경계적 삶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70권 / 137 ~ 165페이지
    · 저자명 : 곽상인

    초록

    <처음 만난 사람들>은 북한이탈주민과 외국이주노동자가 남한에서 어떤 식으로 정착을 해나가는지 초점화하면서 그들이 안고 있는 다기한 문제들에 접근하고 있는 저예산 한국독립영화다. 이 작품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인 진욱과 혜정, 외국이주노동자인 팅윤, 홀아비로 살아가는 최형사가 등장하여 서울이라는 공간에서 경계인으로 사는 것이 얼마나 고단한지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인프라노마드로 살아가는 네 인물은 일상에서 각자 ‘상실’을 경험하고 있다. 그것이 주된 모티프가 되어 서사를 전개해나간다는 것은 유의미하다. 그 상실은 정착할 장소, 사랑하는 애인, 가족 등의 부재로 나타나는데, 인물들은 상실한 것을 찾지 못하고 상처만을 확인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더불어 이들의 정주하지 못하는 삶은 이주를 지속해야 하는 디아스포라적 성향과 닮아 있다. 이것은 작품 곳곳에 배치된 서사 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가 있다. 그 장치들은 경계인의 삶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데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언어적 차이에서 비롯되는 소외의식, 정주할 수 있는 장소의 부재 혹은 상실, 경계에 놓인 이방인들의 연대감과 토포필리아 지향성이 경계인의 삶을 보여주는 서사적 장치에서 드러나고 있다. 요컨대 이 작품을 통해서 우리는 진정한 소통의 의미, 정주하지 못하는 그들의 장소 상실, 그리고 현실적인 삶 속에서 인프라노마드를 타자로 대해왔던 시선과 목소리에 대해 반성할 수 있다. 이들을 대하는 다양한 편견들을 걷어내는 것이 선행될 때 북한이탈주민이나 외국인 이주노동자 문제는 긍정적으로 해결될 것이다.

    영어초록

    <Hello, stranger> is low-budget independent film that focus on how defector and migrant worker are live, then approaching their various problems. The characters include Jinwook and Hyejung the North Korean defectors, tingyun-foreign migrant worker and detective Choi a widower and shows a how hard living as marginal man in Seoul.
    First, each of four characters living in infra-nomad are experiencing a ‘loss’ in daily life. Those are became the main motif and developed the epic is meaningful. The loss shows up in the absence of including a place to settle down, lover, family and the characters are not find the loss but only check the wound. In addition, these life who can not do the settlement(life stay in one place) similar to tendencies of diaspora that must be continued migrate. This can check throughout the various describe device. The devices are contributing to show a marginal man's life directly.
    Therefore, the epic device that reveal marginal man's life showing sense of alienation from linguistic differences, absence or loss the place that can be settle, the solidarity of strangers on boundary and topophilia orientation. In short, through this work we can reflect the meaning of a real communication, loss the place of their who can not be settle, and eyes and voice that had been treated outsiders with infra-nomad in real life. If only be preceded a variety of prejudices then the problem is resolved positively in the defectors and foreign migrant work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일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