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공간, 장덕조 소설의 젠더화된 인식 고찰 -장편소설 『十字路』를 중심으로- (Liberated Space and Gendered Perception in Crossroads by Jang Deok-jo)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1.12
28P 미리보기
해방공간, 장덕조 소설의 젠더화된 인식 고찰 -장편소설 『十字路』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글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글 / 91권 / 507 ~ 534페이지
    · 저자명 : 김윤서

    초록

    본고는 해방공간인 1940년대 후반의 새로운 체제와 정비의 역동적이고 거시적인 흐름을 포착할 수 있는 장덕조의 장편소설 『十字路』를 대상으로 여성 이미지의 적확한 고찰과 변혁에 내재된 젠더 탐색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장편소설 『十字路』를 발굴하여 장덕조 작가의 작품 세계에서 상대적으로 논의가 미진하였던 해방공간의 젠더인식에 주목하였다. 연구 대상인 『十字路』를 통하여 해방공간 장덕조 문학에 내재된 젠더의식의 민감성, 감각성, 모성성의 발견으로 은폐되거나 변용된 부분을 포착, 유동적인 여성 젠더의 서사화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해방공간 문학의 지형 확장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十字路』에서는 주체성의 영역이 봉합되었던 지형을 벗어나 젠더화된 주체의 ‘선택’과 ‘자기 결정권’ 등 적극적인 사고의 이행과정에서 ‘민감성’이 발현된다. 둘째, 오은희․강명자․황금주 등 해방공간 소외된 계층의 성의식(性意識)에서 타자의 욕망을 기표로 하는 ‘감각성’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十字路』에서 표출된 ‘모성성’은 은유로서의 모성과 실천 행위 규범으로서 근대적 모성이 여성의 새로운 자리매김으로 확대된다.
    『十字路』에서 발견된 젠더적 관점의 지속성과 변이의 추출 및 제도 내부에서의 역학관계, 권력화된 제도 간의 배제와 포섭 등 다양한 스펙트럼은 해방공간 장덕조 문학의 젠더적 특성을 이해하는 단초를 제공한다. 이는 해방공간에서 젠더 인식의 변화를 초래하는 복잡다단한 젠더 정치의 함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당대 문화적․사회적․정치적 특수성의 젠더 관점을 구명(究明)하는 객관적 조망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덕조 문학은 자료확보의 어려움으로 작가의 문학적 특성을 관통하는 세부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영어초록

    Jang Deok-jo’s feature-length novel Crossroads offers a dynamic and macroscopic view of the new social system and the process of its establishment during the late 1940s post-liberation era.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image of women in Crossroads, focusing on gender explorations inherently found during the time of turbulence .
    When it comes to the works of Jang, attempts to perform an in-depth analysis on her literary characteristics have been limited due to lack of research materials. Thus, we sought the author’s feature-length novel Crossroads and focused on exploring perceptions of gender in the post-liberation era, a topic that was heretofore relatively undiscussed in relation to her works. In addition, we aimed to examine the sensitivity and sensibility of gender perceptions, as well as motherhood in Jang’s post-liberation literature, and identify their hidden or transformed aspects. Thus, we attempted to illustrate the narrativization of fluidity in the female gender and ultimately expand the topography of Korea’s post-liberation literature.
    First, “sensitivity” was expressed in the process of traversing beyond a space where subjectivity was denied to actively implement one’s thoughts, including “choice” and “self-determination.” Second, “sensibility” based on the other’s desire was observed in the sexual consciousness of the alienated class of the post-liberation period such as Oh Eun-hee, Kang Myung-ja, and Hwang Geum-ju. Third, the “motherhood” expressed in Crossroads consists of motherhood as metaphor and motherhood as a principle of behavior, which converges into a new positioning for women.
    The wide spectrum encompassing the persistence of gender perspectives and their variations, the dynamics within the system, and the exclusion and inclusion between power systems provid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gender characteristics of Jang’s post-liberation literature. This can be viewed as the implicating process of the complex gender politics that led to changes in gender perceptions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Additionally, it offers an objective look at the gender perspectives of the time in terms of its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particular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