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탁시로 바라본 「관저」편의 재구 ―삼가시의 노시설을 중심으로― (The reconstruction of “Guanjeo” (關雎篇)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etext poem (假託詩) ―Focus on the explanation of No-si (魯詩說) in Samgasi (三家詩)―)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1.12
29P 미리보기
가탁시로 바라본 「관저」편의 재구 ―삼가시의 노시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논집 / 93호 / 61 ~ 89페이지
    · 저자명 : 홍유빈

    초록

    본 논문은 『詩經』의 첫 편인 「關雎」편을 魯詩說을 중심으로 재구성을 시도한 논문이다. 두루 알려진 바와 같이 前漢 三家詩 중 하나인 魯詩說은 『詩經』에 대한 초기 해설인 三家詩 중 하나이다. 三家詩는 「國⾵」의 여러 시편들을 임금을 풍자하거나 권계한 시라고 보는 반면, 三家詩 이후에 유행한 ⽑詩說에서는 「周南」과 「召南」을 后妃를 찬양한 시들로 본다는 차이점이 있다. 본고에서 다룬 「관저」편의 경우에도, 삼가시에서는 이를 임금의 게으름을 풍자하기 위해 지은 시라고 보는 반면, 모시에서는 后妃의 德을 찬양한 찬미시로 보고 있다. 특히 「관저」에 대한 노시설 중에서 「誚⾭⾐賦」의 설에는 시편의 작자[畢公]와 시편이 지어진 배경과 이유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다만 이 자료에는 이 시를 周 王朝의 현명한 재상이었던 周公을 언급하는데, 문제는 이 시와 周 公과의 관계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誚⾭⾐賦」의 설에서 ‘周公’ 과 ‘窈窕’가 서로 대구가 되는 것에 착안하여, 시편에 등장하는 ‘窈窕淑⼥’라는 구절이 周公을 假託한 것일 가능성을 제기해 보았다. 그리고 이렇게 볼 경우 「관저」편은 ‘주강왕의 게으름을 보고 옛 道를 깊이 생각하고 周公이 있었으면 하고 바랐던 畢公의 마음을 그린 시’로 해석된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이러한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三 家詩 및 中國 明⋅淸과 朝鮮後期 일부 학자들이 『시경』「국풍」 및 「관저」편을 가탁시로 이해한 사례들을 소개하고, 그에 대한 검토를 통해 「관저」를 가탁시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가탁시로 바라본 「관저」시를 재구한 뒤, 주희와 심대윤 그리고 노시설로 재구된 번역을 비교함으로써 각자의 해석상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재구된 내용을 통해 「관저」가 이제는 세상에 없는 周公을 周康王의 곁에 두어 쇠미해지는 나라를 다시 일으켰으면 하고 바라는 시인의 마음[忠情]이, 그리고 이렇게 康王의 게으름을 깨우치는 방식[諷諭]이 드러난 시로 독해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은 「國⾵」을 諫⾔ 혹은 諷諫의 시로 보았던 魯詩說의 시각과, 군주의 잘못된 마음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했던 孟⼦의 의식과도 통하는 바가 있다. 이에 더하여 “孔⼦가 그것을 크게 여겨 『시경』의 첫 편에 놓았다.” 는 「誚⾭⾐賦」의 설을 재음미해 본다면, 공자가 크게 여긴 것은 시편 안에 있는 ‘현숙한 숙녀’나 ‘숙녀로 가탁된 현인’이라기보다는, 임금을 위해 간언을 한 ‘賢⼈의 행위’와‘諷諫의 정신’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Guanjeo” (關雎) which was the first poem in The Book of Odes (詩經) with the explanation of No-si (魯詩說).
    As it is known, The explanation of No-si (魯詩說) was one of the Samgasi (三家詩) in Han dynasty. Samgasi (三家詩) viewed the poems of “Gukpung” (國⾵) as satire or advice to King, however, the explanation of mo-si (⽑詩說), which was appeared after Samgasi (三家詩), considered “Junam” (周南) and “Sonam” (召南) as praise of Queen. That is the difference. In “Guanjeo” (關雎) which this study has mainly discussed, Samgasi (三家詩) viewed “Guanjeo” (關雎) as the satire for King’s laziness, but mo-si (⽑詩) viewed it as the praise for Queen’s virtue.
    Especially, the author (畢公), background, and the reason of “Guanjeo” (關雎) was the most specifically written in “fù ridiculing ‘fù on the maid servant’” (誚⾭⾐賦) from the explanation of No-si (魯詩說). Although it was mentioned about Ju Gong (周公) who was the wise minister in Zhou (周) dynasty in this material, there was the problem in not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poem and Ju Gong (周公). Therefore, there is a possiblity that ‘Yojo sungnyeo’ (窈窕淑⼥) in poem might be Ju Gong (周公) because ‘Ju Gong’ (周公) can be compable to ‘Yojo’ (窈窕) in “fù ridiculing ‘fù on the maid servant’” (誚⾭⾐賦) in this study. And “Guanjeo” (關雎) might be the poem for Pilgong (畢公)’s heart to wish Jukang King to deliberate the moral and have Ju Gong (周公) after he saw Jukang King’s laziness. And there is a suggestion that “Guanjeo” (關雎) as borrow meaning (假託) in this study after examining of Samgasi (三家詩) in Ming and Qing (明淸) dynasty in China and some scholar viewed The Book of Odes (詩經) “Gukpung” (國⾵) and “Guanjeo” (關雎) as borrow meaning (假託) in late Joseon (朝鮮) dynasty. And on the basis of the dicussion, there is a reconstruction of “Guanjeo” (關雎) as borrow meaning (假託), after comparing “Guanjeo” (關雎) from the translation of Zhu Xi (朱熹), Sim Daeyun (沈⼤允), and the explanation of mo-si (⽑詩說). There were difference from each interpretation. The heart of the poet was from [loyal, 忠情] to reraise the country which was declinng; he wished Ju Gong (周公), who was deceased, be aside to Jukang King (周康王) and advise Jukang King (周康王)’s laziness [allegory, 諷諭]. And this translation might be coincided with the perspective of the explanation of No-si (魯詩說), viewed “Gukpung” (國⾵) as exhortation (諫⾔) or exhortation by innuendo (諷諫) and Mencius (孟⼦) who wanted to correct King’s wrong heart. Furthermore, when we pondered “fù ridiculing ‘fù on the maid servant’” (誚⾭⾐賦) ‘Confucius (孔⼦) valued it highly and put the first chapter of The Book of Odes (詩經).
    [孔⽒⼤之, 列冠篇⾸.]’, Confucius (孔⼦) valued highly as sage (賢⼈)’s behavior and spirit of ‘exhortation by innuendo’ (諷諫) for King rather than ‘beautiful woman’ or ‘wise man borrowed as beautiful woman’. And it is coincided with Confucius (孔⼦) and Mencius (孟⼦)’s life try to persuade Kings from many nations for the implemantion of the rule of right (王道政治).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