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혜석과 요사노 아키코의 모성이데올로기 비판과 여성적 글쓰기 (Na Hyaeseok & Yosano Akiko's criticism for ideology of motherhood and feminine writi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6.08
34P 미리보기
나혜석과 요사노 아키코의 모성이데올로기 비판과 여성적 글쓰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17권 / 3호 / 219 ~ 252페이지
    · 저자명 : 송명희

    초록

    이 논문은 근대 한국과 일본의 여성작가 나혜석과 요사노 아키코(与謝野晶子)가 여성이 겪는 출산의 고통을 생생하게 묘사하며 가부장제를 비판한 글을 중심으로 두 작가의 여성적 글쓰기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나혜석의 에세이 「모된 감상기」(1923)와 요사노 아키코의 일기 「산욕의 기(産褥の記)」(1909)와 에세이 「산옥 이야기(産屋物語)」(1909)를 분석하여 근대 한국과 일본에서 활동한 두 작가의 여성적 글쓰기를 비교할 것이다. 나혜석은 「모(母)된 감상기」에서 여성 주체적 시각에서 임신, 출산, 육아의 고통을 솔직하게 토로함으로써 가부장제 사회가 여성에게 강요하는 모성신화와 모성이데올로기의 허위의식을 비판하는 ‘여성적 글쓰기’를 시도했다. 요사노 아키코처럼 남성작가의 여성 왜곡을 지적하는 여성이미지비평을 시도하지는 않았지만 그녀는 여성의 주체적 경험을 바탕으로 가부장제 사회가 여성에게 강요해온 모성이데올로기를 정면에서 부정하며 여성의 주체성 회복을 도모한 페미니스트 문학가였다. 요사노 아키코는 출산의 고통을 문학적으로 묘사하는 한편 가부장제 사회의 여성 혐오를 비난했다. 나아가 남성작가들의 텍스트에 재현된 여성 이미지가 열등하고 부정적으로 왜곡된 것을 비판했다. 그리고 남성작가를 향해 남녀를 공평하게 재현할 것을 주문하였다. 즉 「산옥 이야기(産屋物語)」에서 1960년대 말 서구에서 대두한 여성이미지비평으로 남성 작가와 그들의 작품을 명쾌하게 비평했다. 여성이미지비평이 20C초 일본의 요사노 아키코에 의해서 선구적으로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페미니스트 문학가로서만이 아니라 페미니스트 비평가로서 그녀를 재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나혜석이 여성의 육체적 경험에 바탕을 둔 여성적 글쓰기를 시도한 페미니스트 문학가였다면, 요사노 아키코는 페미니스트 문학가일 뿐만 아니라 여성이미지를 비평을 시도한 페미니스트 비평가이기도 했다. 두 사람은 모두 당대 사회가 금기시한 임신과 출산의 문제를 자신의 문학적 테마로 삼음으로써 가부장제를 비판하는 여성적 글쓰기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혁명적인 페미니스트 문학가로 평가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focus on an object to compare the female writing of two writers, Na Hyeseok (1896-1948) who is a modern female writers in Korea and Yosano Akiko (1878-1942) who is a woman writers of modern Japan, that described vividly the pain of childbirth and criticized the ideology of motherhood. In other words, this paper will compare the feminine writing of modern Korea and Japan as woman writers through analyzing the essay「The feeling of becoming mother」(1923) from Na Hyeseok and the diary 「The record of puerperium」(1909) and the essay 「Story of childbirth in house」(1909) from Yosano Akiko which was supposed to influence on the former essay. Na Hyeseok mention Yosano Akiko twice whom Na Hyeseok met for studying abroad in her article. In the essay「The feeling of becoming mother」, Na Hyeseok did ‘feminine writing’ to criticize false sense of motherhood myths and motherhood ideology by saying frankly the pain of pregnancy, childbirth and parenting women through the independent point of feminine view in which patriarchal society has forced women did. Although she did not try to feminist Image criticism as Yosano Kiko who did point out the women distortion from the male writers, she was a feminist writers who denied squarely motherhood ideology and recovered the female independent feeling in which patriarchal society has forced women did based on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women. Yosano Akiko wrote several articles in connection with childbirth and motherhood convenience ideology. On the other hand, she portrayed the pain of giving birth through wring and criticized gender distortion of the text images that women were inferior and negative reduced by male writers in patriarchal society . Also she required that male writers should reproduce gender images equally in the article. She was clearly critical to male writers and their works from perspective of feminist criticism of images in the late 1960s in the West in「Story of childbirth in house」. Yosano Akiko should not be revaluated as a feminist writer but also be just feminist literary critics in that feminist criticism of images was attempted by Yosano Akiko for the first time in the late 1990s. Unlike Yosano Akiko worked as a literary critic, attempted to do the feminist criticism first and left several books of criticism in the Japan, Na Hyeseok has left the essay「The feeling of becoming mother」related to childbirth. This does not need to say it was the limits of Na Hyeseok. She had been a painter before she was a writer. In other words, it is no reason to compare between Yosano Akiko ,Japanese, who accepted new culture from West and modernized and Na Hyeseok in colonized Korea in 1920s. In conclusion, Na Hyeseok is a feminist writer who attempted to do feminine writing based on experience of female flesh, while Yosano Akiko is a feminist writer as well as a feminist critic. However, We should evaluate both female writers as revolutionary feminist artists by dealing with their literary theme, the issue of pregnancy and childbirth, which were taboo in that time and attempting female writing to resist the ideology of the patriarchal society. Na Hyeseok & Yosano Akiko have in common that they are on the top status of feminist artists in modern Korea and in Japa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