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老柏軒 鄭載圭의 독서법 유형과 그 지향 (Types of reading method and their orientation in Jeong Jae-gyu(鄭載圭))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2.03
37P 미리보기
老柏軒 鄭載圭의 독서법 유형과 그 지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73호 / 61 ~ 97페이지
    · 저자명 : 김성희

    초록

    老柏軒 鄭載圭(1843-1911)는 金錫龜(1835-1885), 鄭義林(1845 -1910)과 함께 蘆沙三門의 일원이자 경상우도 노사학파의 적전이다. 그는 讀書種子를 길러 신학에 잠식되어 사라져가는 유학의 명맥을 잇고자 하였다. 그래서 문집 곳곳에 독서법을 언급한 부분이 많다. 본고에서는 그의 독서 자세와 유형 및 그 지향을 살펴보았다. 그가 下學의 학문을 하기 위한 독서 자세로 강조한 것은 ‘謹拙’이다. 한결같은 뜻으로 죽을 때까지 실천하기를 요구하였는데, 그 핵심은 立 志하여 ‘敬’으로서 뜻을 견지해 나가는 데 있었다. 그의 독서법의 유형은 자기에게 절실한 병통을 찾는 切己省察의 독서법과 탐독을 경계한潛心熟讀의 독서법이다. 노백헌은 여기서 한발나아가 자신에게 절실한 병통에 맞는 맞춤 독서법을 제시하였다. 또몸이 아플 때도 독서를 하면 심신의 안정을 찾을 수 있다는 치유 독서법을 주창하였다. 그는 독서를 통해 인간이 궁극적으로 성인에 가까워지는 경지에 이르러야 한다고 믿었다. 아울러 자신이 천지에서 가장 중요한 존재이기에 세상을 바꿀 힘이 내재된 존재임을 인식하는 大我的 의식을 강조하였다. 노백헌의 독서법을 보고 오늘날 우리에게 독서의 의미를 새롭게 환기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영어초록

    Noh-Baek-Heon(老柏軒) Jeong Jae-gyu(鄭載圭, 1843–1911) was one of the so-called “No-sa sam-mun(蘆沙三門, three outstanding disciples of No-sa)” along with Kim Seok-gu(金錫龜, 1835–1885) and Jung Eui-rim(鄭義林, 1845–1910). Also he was the authentic successor of the Nosa School(蘆沙學派) in Gyeong-sang-uh-do(慶尙右道) province. Through nurturing the Confucian scholars, he wanted to continue the legacy of Confucianism, which was vanishing by the erosion of Western modern sciences. So in collection of his works, there are many parts that mention how to read books. In this paper, his reading posture, types and orientation are examined. What he emphasized as a reading posture for the study of ha-hak(下學, lower learning) is ‘geun-jol(謹拙)’. He demanded that scholars should practice reading until death with a consistent will, and the key in the reading practice is to set up one’s own will and uphold it through the 'gyeong(敬, holiness)'. One of his reading method is the method of ‘jeol-gi(切己)’, which is to find one’s own problems by reading. And another is the method of jham-sim-sook-dok(潛心熟讀), which is to calm down one’s mind and read books carefully and repeatedly with being wary of indulgence. He also advocated a healing method of reading, then said that reading can help scholars recover stability in mind and body even when they are sick.
    He believed that reading should ultimately lead human beings reach the level of seong-hyun(聖賢, the Oriental saint). In addition, he emphasized the dae-ah(大我) consciousness that each oneself is the most important being in heaven and earth, and has the inner power to change the world. I hope that Noh-Baek-heon's reading method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mind us of the meaning of reading in today's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