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의 학문관 (A Study on the Sojae Noh Su-sin’s Academic vie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1.11
24P 미리보기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의 학문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문화연구 / 35권 / 7 ~ 30페이지
    · 저자명 : 정성식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16세기에 활동한 소재 노수신의 생애와 학문관을 탐구하는 데 있다.
    노수신이 활동한 16세기는 성리학자들이 크게 명성을 떨치며 활동한 시대였다. 이들과 달리 노수신은 귀양살이를 20년 동안이나 하며 사회에서 격리된 생활을 했다는 측면과 유배에서 돌아온 후 정계 복귀와 관직 승진이 특이했다는 점에서도 이채로운 모습을 보였다.
    젊은 시절 노수신은 이연경의 문하생이 되어 유교의 기본 경전인 『소학』을 전수받았다. 『소학』은 유교 윤리의 실천 이념으로서 이를 암송했다는 것은 자기관리에 철저했음을 뜻한다. 노수신은 『소학』 학습에도 철저했지만, 유교의 기본텍스트 가운데 하나인 『논어』에 대해서도 남다른 모습을 보였다.
    노수신의 학문은 유배 생활을 가기 전에는 매우 정밀하고 해박하여 유림의 촉망을 받았지만, 20년간 유배 생활을 지내는 동안 다양한 학문적 견해를 보이자 이황이 우려할 정도였다. 당시 주자학풍이 주류를 이루며 선도하는 양상에서 노수신은 주자의 학설에 이견을 제시할 정도로 학문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모습을 드러냈다.
    노수신 학문관의 특징은 공자와 주자로 이어지는 유학의 근본정신을 기반으로 하면서 주자학 일변이 아닌 육왕학이나 선학에 대해서도 개방된 자세를 보였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만하다. 16세기 절대시 된 주자학의 시대 조류 속에서 노수신은 학문의 일정한 다양성을 모색하였고, 이러한 다양성의 추구는 학문 간 소통을 도모하였다는 측면에서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니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life and academic view of Noh Su-shin, who was active in the 16th century.
    The 16th century, when Noh su-shin was active, was an era in which Neo-Confucianists were very famous. Unlike them, Noh Su-shin also showed interest in the aspect of living in exile for 20 years and living in isolation from society, and the return to politics and promotion to government office after returning from exile.
    As a young man, Noh Su-shin became a student of Lee Yeon-kyung and was taught the basic scriptures of Confucianism, Sohak. Sohak is a practical ideology of Confucian ethics, and reciting it means that it was thorough in self-management. Roh Soo-shin was thorough in learning Sohak, but he also showed a unique appearance in Analects, one of the basic texts of Confucianism.
    Noh Su-shin's studies were very precise and intelligent before going to exile, but during his 20-year exile, he raised his own theory on Juja's opinion and said that this situation was wrong. At that time, Noh Su-shin showed his pursuit of academic diversity to the extent that he expressed disagreement with the runner's theory in the aspect of leading the Juja school.
    The characteristic of the Noh Su-shin’s Academy is noteworthy in that it was based on the fundamental spirit of studying abroad leading to Confucius and runners, and showed an open attitude toward Yukwanghak and Seonhak, not one side of Jujahak. In the 16th century, in the trend of the era of absolute poetry, Noh Su-shin sought certain diversity in academics, and this pursuit of diversity could give certain significance in terms of promoting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