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蘆溪歌」의 창작 연대와 蘆溪 朴仁老의 蘆洲 隱遁 시기에 대하여 (With respect to Creation Period of 「Nogyega (蘆溪歌)」and Nogye(蘆溪) Park, In-Ro(朴仁老)’s Retirement Time to Noju(蘆洲))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2.06
24P 미리보기
「蘆溪歌」의 창작 연대와 蘆溪 朴仁老의 蘆洲 隱遁 시기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47호 / 303 ~ 326페이지
    · 저자명 : 이종문

    초록

    蘆溪 朴仁老(1561-1642)의 「蘆溪歌」가 1636년 봄에 창작되었다는 것은 작품의 첫머리에 거의 확실하게 명시되어 있으므로 의심하기 어려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계가」가 1627년 이전에 지어진 작품이라는 설이 이미 오래 전에 학계에 제기된 바 있고, 그 동안 이에 대한 이렇다 할 확실한 반론이 없었으므로 「노계가」의 창작 시기는 아직도 자못 혼란스러운 상황에 빠져 있다. 「노계가」가 1627년 이전에 지어졌다는 주장의 근거는 아주 간단하다. 작품의 내용을 통해서 볼 때 「노계가」가 노계의 아들들 가운데서 최소한 한 사람이 살아 있을 때 지어진 것이 분명한데, 노계 집안의 족보에 의하면 노계의 아들 가운데 가장 늦게 별세한 朴敬立의 별세 연도가 1627년이라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노계의 아들 박경립이 1627년에 별세했다는 족보의 기록은 오류임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그가 1631년에 당시 사회가 안고 있던 11가지의 폐단을 바로 잡아 줄 것을 강력하게 요청하는 장문의 상소문을 仁祖에게 올렸음이 확인되고 있고, 1942년에 별세한 노계를 위하여 3년 동안 侍墓살이를 했을 뿐만 아니라, 1649년에 별세한 인조를 위해서도 3년 동안 喪服을 입었다는 기록들이 두루 남아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1651년에도 박경립이 당시의 폐단을 지적한 것으로 생각되는 상소문을 올렸음이 확인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 편찬한 노계 집안의 족보에는 그가 1661년에 별세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이렇게 볼 때 박경립의 별세 연도가 1627년이라는 족보의 기록은 잘못된 것임이 분명하며, 따라서 「노계가」의 창작시기는 작품의 첫머리에 있는 그대로 1636년이라고 볼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노계가」가 1636년에 지어졌다고 하여 노계가 그해에 처음으로 蘆洲에 들어간 것은 아니었다. 각종 자료를 종합해 볼 때 노계는 그 이전에도 노주에서 은둔 생활을 하다가 고향 도천으로 되돌아온 적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문헌에 따라 기록이 다르므로 그가 처음 노주에 들어간 시기가 언제인지 확실하게 알 수는 없지만, 그것은 노계의 만년기가 아니라 중년기의 어느 시점으로 판단된다. 요컨대 노계는 두 번에 걸쳐 노주에서 은거 생활을 했으며, 「노계가」는 노계가 두 번째 노주에 들어갈 때 지은 가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re is no doubt that 「Nogyega」 of Nogye Park, In-Ro (1561-1642) was created in the spring of 1636 since it is almost clearly specified in the work. Nevertheless, it has long been suggested to the academic world that 「Nogyega」 was made before 1627 and there has not been explicit objections thereto so that the creation period of 「Nogyega」 has fallen into confusion in various respects. Basis of the argument that 「Nogyega」 was made before 1627 is very simple. The suggestion says it is clear that 「Nogyega」 was made while at least one of Nogye’s son was alive judging from contents of the work, and 1627 was the year when Park, Gyeong-Rip(朴敬立) died who passed away the latest of Nogye’s sons according to Nogye family’s genealogical records.
    However, the genealogical records that Park, Gyeong-Rip died in 1627 must be an error.
    Because it is discovered that he submitted a long piece of appeal in 1631 strongly requesting correction of 11 evils kept by then society because there remains records that he lived Simyosari(侍墓살이) for his father who died in 1642 he also went into mourning for 3 years for the King Injo(仁祖) who passed away in 1649. Besides, it is clearly verified that Park, Gyeong-Rip also submitted a piece of appeal in 1651 pointing out evils of that time. Therefore, the genealogical records that Park, Gyeong-Rip died in 1627 must be a definite mistake and the argument based on such a mistake has no more persuasion, which proves that the creation period of 「Nogyega」 is 1636 as seen in the opening of the work.
    Even if 「Nogyega」 was made in 1636, it does not mean that Nogye came into Noju in the year for the first time. Based on the various data, it is believed that Nogye once lived a seclusive life in Noju before and then, returned to his hometown Docheon. It is impossible to know when he first came to Noju due to different records according to respective literature, however, it must be the middle years of his life instead of his latter years. In short, Nogye lived a seclusive life twice in Noju and it can be said that 「Nogyega」 is the lyrics which were created when he entered into Noju for the second time.
    * Simyosari: mourning at the grave of one’s parents * Noju: place na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