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대의 비참을 마주한 시인의 역할 - 아그리파 도비녜의 <비극>을 중심으로 (Le rôle du poète face aux misères de son temps - autour des Tragiques d'Agrippa d'Aubigné)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9.02
28P 미리보기
시대의 비참을 마주한 시인의 역할 - 아그리파 도비녜의 &lt;비극&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수록지 정보 : 프랑스학연구 / 87호 / 23 ~ 50페이지
    · 저자명 : 손주경

    초록

    ‘비극’, ‘군주들’, ‘황금궁정’, ‘불’, ‘철’, ‘복수’, ‘심판’ 등과 같은 일곱 개의 주제들로 구분된 <비극> (1616)의 작가 아그리파 도비녜를 일종의 “고립된 자” 혹은 “독립적인 자”라고 부를 수 있다면, 그것은 그가 시도한 글쓰기의 시원에 시대의 비극을 증언하고 그것을 노래해야 한다는 비장함이 자리하기 때문이다. “장식”으로 치장된 멋진 “문체”보다는 투박한 언어를 그가 선택하는 것은 자신이 목격한 시대의 비참으로 시를 채워가고, 자기 시의 풍요로움을 위해 비참의 빈곤한 파편들을 시 안에서 그러모으기 위해서이다. 그가 보는 세계는 “더 이상 인간이 아니게 된 인간”이 서로에게 폭력을 가하는 자연성을 상실한 공간일 뿐이다.
    이때 그의 상상력은 자신이 눈으로 바라본 것들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며, 그것들을 한데 모은 공간 안으로 그는 독자를 적극적으로 끌어당긴다. 그가 비극의 장면들을 나열해가는 것은 교훈을 주는데 그치지 않고 독자가 스스로 행동하도록 자극하기 위해서이다. 그에 따르면 우리 모두는 행동을 해야 할 공동의 책임을 지고 있다. 인간은 “관객”이 아니라 “등장인물이다. 그리고 사실에서 얻어진 자신의 감동과 그것에 대한 분개를 통해 독자가 스스로 사실을 해석하게 자극하려고 한다. 시인이라는 자는 말의 ‘즉각적 효과’를 지향하면서 독자들이 칼을 들고 전투에 참여할 것을 기꺼이 권고해야만 한다. 분노로 가득한 웅변적 어조를 행동을 만들어내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기를 주저하지 않아야 한다. 오비녜에게 시인은 악덕과 전쟁을 벌이는 문체를 사용하면서 자유롭고 솔직한 진실에 봉사하는 자의 양상을 띠게 된다. 이런 측면에서 오비녜가 강조하는 것이 역사의 비극을 마주한 시인의 열정이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가 사용한 의인법, 과장법, 열거법, 반어법, 풍자법, 점층법 등은 시대의 비참을 증언하는 시인의 독창적 창조력을 은근히 드러낼 뿐만 아니라, 비극적 시대를 대하는 자신의 역할을 공고하게 만드는 역할도 하게 된다. 그는 사실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사실을 채색하고 있는 설명할 수 없는 비극성을 포착하여 그것을 언어로 표현하는 활동의 가치에 대해 신뢰를 지닌다. <비극>의 비장한 묘사들이 시대의 아픔에 사람들이 참여하여 그것에 분개하고 그것이 초래한 불안한 감정들을 새겨놓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면, 오비녜가 파악하는 시인은 시대의 아픔을 기억하게 만드는 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시인이란 시대의 비극에 전쟁을 선포하고, 망각의 어리석음에 도전을 선언하는 자이어야 한다는 인식을 오비녜의 <비극>은 담아내고 있다.

    영어초록

    Auteur des Tragiques, Agrippa d'Aubigné est longtemps considéré comme un poète “isolé” ou “indépendant”, puisqu'il ne se soumet pas aux courants poétiques qui conduisent de Ronsard à Malherbe. Ses productions poétiques semblent être vouées à la représentation avec une certaine vraisemblance de la destruction imminente. A travers les figures de l'exagération, de l'ironie, du climax et de l'accumulation, le spectacle désolant d'ici-bas est sans cesse décrit par la plume rude du poète qui refuse obstinément les fleurs de rhétorique du beau style. Si ce recueil redouble la vive représentation de scènes violents, c'est que le poète désire de tirer les lecteurs en agitant leurs passions et leur esprit à l'intérieur de cet espace de l'écriture furieuse. Selon lui, nous ne sommes pas spectateurs, mais acteurs de cette scène devastée. Cette revendication d'une écriture faite de rudes noms et de rudes vérités qu'Aubigné aime à mettre en avant, elle nous montre un des rôles du poète : le poète doit recommander à ses contemporains de rester sensibles et les exhorter à reprendre le combat dans une époque où les signes inquiétants et menaçant se multiplient. La violence verbale des Tragiques suggèrent ainsi la croyance de l'auteur non seulement sur le pouvoir de la parole poétique mais aussi sur l'acte de se souvenir. Elle nous nous permet de mieux mesurer un poète-témoin qui s'engage en fusionnant la parole et les armes à déclarer la guerre contre les misères de son temp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랑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