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儀禮梵文의 설행유형과 율조 ‒ 아랫녘수륙재를 통하여 ‒ (A Study on the Melody Types of Korean Mantra Chants - Through the Araetnyeok Suryukjae Buddhist Ritual in Yeongnam Province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7.12
27P 미리보기
儀禮梵文의 설행유형과 율조 ‒ 아랫녘수륙재를 통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84호 / 339 ~ 365페이지
    · 저자명 : 윤소희

    초록

    그간 한국의 의례 설행양상을 보면, 범어범패는 게송이나 사설조의 마무리 정도로 쓸어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찬탄과 메시지 전달을 위한 한어범패와 달리 가지실행의 범어범패는 한어범패와 다른 존재이유가 있다. 의례문의 구조를 보면, 한어와 범어의문이 씨줄과 날줄처럼 짜여져 있듯이 범패 또한 마찬가지이다. 아랫녘수륙재의 범어의문과 율조를 조사해 보니 진언⋅주⋅다라니 송주가 100회에 이를 정도였다. 이들의 실행 양상을 보니 다라니는 바라무와 함께 장엄하게 설행되는 데 비해 진언과 주는 대부분 빠른 템포로 간략히 설행되었다.
    이들 내용을 좀 더 세밀히 분석해보니, 천수다라니와 사다라니는 앞 뒤에 한문 게송이나 사설조 의문이 둘러싸고 있는데다 바라무까지 수반되어 설행양상이 화려하고 장엄하였다. 진언은 한문 게송과 짝을 이룬 것, 몇 개의 진언이 시리즈로 연결되는 것, 일정한 행동패턴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 소청대상이나 공양물에 대한 나열형 등이 있었다. 주(呪)는 중단의 신들을 청할 때 집중되어 있어 토속신앙과 연관이 깊음을 알게 되었다. 이로써 그간 변별력을 찾기 어려웠던 다라니⋅진언⋅주였지만 의례 설행 양상을 통해 그 차이를 확연히 알 수 있었다.
    수륙재를 기록한 DVD 11개를 분⋅초 단위로 체크해 보니 범문의 율조는 4가지로 간추려졌다. 제1형은 무박절의 느린 멜리스마 선율, 제2형은 법령과 함께 담담하게 읊는 낭송조, 제3형은 3소박 흥겨운 율조, 제4형은 빠른 2소박의 경쾌한 율조였다. 이들 중 제3형인 3소박 율조는 3소박이 많은 한국 전통장단과 3음보가 많은 한글과 범어의 언어적 특성과 친연성이 많다. 본 연구는 범문⋅한글⋅음악의 융합적 연구의 기반을 마련한 데에 의미를 두고 앞으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로 나아가고자 한다.

    영어초록

    Usually, we listen to Chinese lettered songs in Korean Buddhist rituals, whose texts are composed in Chinese and Sanskrit, like the warp and weft of a fabric. This is because Chinese lettered songs are slow and long but the Mantra chants are fast and short. In this study, I discovered that there are many mantra chants with Dhārani, Mantra (眞言), and Joo (呪). over 100 in the grand Buddhist ritual, Suryukjae, As I compared the ritual text with video clips, I saw that most Dhāranis are of a suitable form to be performed with cymbal dancing or hand signs. The melody and rhythm of the Sanskrit chants was fast and syllabically accompanied by percussion instruments. This study clarified, by the analysis of the ritual texts, acting, and the mantra melodies, the difficult points in discerning the difference between Dhārani, Mantra, and Joo.
    Following a more detailed research, I learned that the Avalokiteśvara Dhārani and Sa Dhārani, grouped according to having only four mantras, have preludes and postludes with Chinese poems. In addition, I discovered several other types of mantra, one type paired with Chinese lettered poems, and another type including a series of mantra ordered one after another, which include ritual acting performed to indicate an object or to display offerings. Besides, Joo songs were generally used for the naming of the Gods, while there were two Joo songs from the Śūraṅgama mantras that were used for making offerings to ghosts.
    As a result of my investigation, poring through every second of the video clips, I could categorize all of the chants to 4 basic types. The first had no rhythm and a very slow melismatic melody. The second was a fast and syllabic melody, as in reciting a book. The third was a cheerful rhythm with triple metric beats accompanied by percussion instruments, whilst the last was a light and fast rhythmic melody with two metric beats.
    The second type is most common. It was called a Mantra chanting sound by the monks in Yeongnam province, South Korea. The tempo of most mantra chants is fast, partially due to the fact that the Buddhist monks had to remember the texts by repeatedly reciting in an era before the invention of Korean characters suitable for Korean chan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