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無記[avyākata]와 念[sati]의 관계성 고찰 (A Study on the Concept of Sati in Relation to Avyākat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0.06
30P 미리보기
無記[avyākata]와 念[sati]의 관계성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8호 / 175 ~ 204페이지
    · 저자명 : 신병삼

    초록

    無記(avyākata; a-vi-ā-√kṛ)는 “설명의 부재”로서, 기원전 6세기 인도 外道사상들에 대해 붓다가 침묵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①有[있다] ②無[없다] ③亦有亦無[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④非有非無[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아니다]”라는 ‘네 가지 명제[四句] 중에서 어떤 것이 정답이다‘라고 일단 가정하고, 문제해결을 시도한다. 그런데 붓다의 입장에서는 四句는 무의미한 논의(戱論)로서 오히려 영원히 꿈속에서 깨어나지 못해서 번뇌 망상을 끊임없이 재생산하면서 윤회를 되풀이 하게 하는 無明임을 명확히 파악하였다. 그래서 “있는가?”, “없는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 것인가?”,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것도 아닌가?”라는 질문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는 것이 붓다의 명확한 이해방식이다.
    붓다는 “緣起”를 통해서 현실을 분명히 직시하였다. 시간 속에 있는 무엇이든發生하고 나서는 消滅하기 때문에 영원한 것은 없다[諸行無常]. 그러한 끊임없는변화 때문에 모든 것이 괴롭다[一切皆苦]. 그런데 그 괴로움의 主體는 ‘나‘[我 attan]일 수가 없다. 왜냐하면 ‘나‘[我]는 행복[樂]을 추구하는 主體이고, 괴로움[苦]에 대해서는 멀리 떠나고자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괴롭다면 행복을 추구하는 主體의 意志가 아니고, 행복추구자의 의지가 적용될 수 없기 때문에 행복추구자의 主體性이 부정된다. 그래서 의지의 主體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無我[anattan]이다[諸法無我]. 그래서 붓다는 10무기, 62見 등의 四句의 논의에 대하여 침묵[無記avyākata]하였지만, 그와 더불어 설법[記]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붓다의 설법은 無常·苦·無我라는 현실을 명확히 직시한 것을 통해서 離苦得樂의 涅槃으로 향하는 가르침으로서, 그러한 붓다의 대답[記]은 四聖諦·生滅[samudaya-nirodha]·煩惱消滅[수행론]·無我·中道·緣起라는 등의 체계를 가진 논리로써 외도들의 주장들을 하나하나 논파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붓다의 대답[記] 중에서 念[sati; 사념처]과 관련된 것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Brahamajāla-sutta(D1)의 “過去 18見”과 “未來 44見”, Pañcattaya-sutta(M102)의“未來 19見”과 “過去 16見”, 그리고 Pāsādika-sutta(D29)의 “과거 16見”과 “미래 8見”이 설명되어 있다. 이처럼 외도들의 견해는 간략히 “과거”와 “미래”와 관련된 것이고, 그것은 각각 숙명통, 천안통을 통해 그러한 견해가 발생한다. 다시 말하면외도들은 “기억”인 過去心과 “희망”인 未來心에 집착되어 견해를 일으키는데, 그것은 숙명통 또는 천안통에 의해 획득된 것이다. 그래서 숙명통과 천안통은 불교이전의 인도 사상체계 속에 이미 있었던 신통들이다. 붓다는 항상 바로 여기 지금현재의 삶에 충실하라고 강조한다. 그래서 붓다는 ‘지금 여기에서 煩惱가 완전히消滅된 상태로서 現法涅槃‘인 漏盡通을 깨달음의 정점으로 설명한다. 그래서 숙명통·천안통·누진통이라는 三明은 각각 과거·미래·현재와 관련된 신통임을알 수 있다. 그리고 현재와 관련된 수행체계는 念[sati]이다. 念은 身受心法에 대해서 매 찰나마다 생멸을 관찰하는 現在心이다. 그래서 과거심과 미래심에 대한외도의 집착을 논파할 수 있는 수행체계로서 念[四念處, 正念, 念覺支]이 제시되었다. 다시 말하면 念은 “현재심의 생멸변화하는 현상에 대한 여실한 관찰”로서, 존재하지도 않는 과거와 미래에 대한 집착을 벗어날 수 있게 한다.

    영어초록

    When we examine 18 views relating to the past and 44 views relating to the future in the Brahamajāla-sutta(D1) and 16 views relating to the past and 19 views relating to the future in the Pañcattaya-sutta(M102) as well as 16 views relating to the past and 8 views relating to the future in the Pāsādika-sutta(D29). we can see that these views of non-Buddhist sects are simply concerned with the past and future, which respectively generate the corresponding views according to the knowledge of one’s own previous lives and the supernatural power of divine vision. In other words, the non-Buddhists raised views which were attached to the recollected consciousness of the past and the desirous consciousness of the future which were respectively attained by the knowledge of one’s own previous lives and the supernatural power of divine vision. Therefore we can notice that the knowledge of one’s own previous lives and the supernatural power of divine vision are the supernatural powers which are already found in the Indian thought system before Buddhism.
    In the Arañña-sutta(S1:10) there is a verse which reads, “They don’t sorrow over the past, don’t long for the future. They survive on the present. That’s why their faces are bright & serene. From longing for the future, from sorrowing over the past, fools wither away like a green reed cut down.” As we can recognize from this verse, the Buddha always emphasized the present moment of life which is now and here. Therefore the Buddha explains āsravakṣaya-jñāna as the culmination of the enlightenment, which is, as a state of complete extinction of defilements,the realization of nirvana in the present moment. Accordingly the three supernatural powers of the knowledge of one’s own previous lives, divine vision and complete extinction of all defilements are respectively concerned with the past, future and present.
    The practice system relating to the present is the mindfulness. As seen in the Mahāsatipaṭṭhāna-sutta(D22), the mindfulness is the present consciousness which mindfully observes the arising and ceasing of existence at every moment. Therefore the mindfulness is presented as a practice system which can defeat the non-Buddhist’s attachment to the consciousness of the past and that of the future, including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Right Mindfulness and Mindfulness of Enlightenment Factor. In conclusion, the mindfulness can eliminate attachment to the non-existing past and future,observing the present consciousness which is in constant arising and ceasing.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