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광복 70년, 재일조선인 시문학 연구의 방향과 과제 (The direction and tasks of Korean Japanese poetry studies on the 70th anniversary of Independenc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6.02
24P 미리보기
광복 70년, 재일조선인 시문학 연구의 방향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53권 / 53호 / 7 ~ 30페이지
    · 저자명 : 하상일

    초록

    이 논문은 광복 70주년, 재일조선인 시문학 연구를 정리하면서 새로운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해방 이후 재일 조선인 시문학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는 언어, 민족, 국가의 이데올로기였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틀은 재일 조선인 시문학의 개념 규정부터 범주 그리고 주제를 모두 아우르는 총체적인 지형을 형성해내지 못한 채, 일문학, 국문학 분야의 개별적 연구로 여러 가지 제약과 한계를 답습해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남과 북, 민단과 총련, 한글과 일본어 등의 이원적 대립은 ‘재일’의 독자성과 특수성을 외면함으로써 대립과 갈등을 더욱 심화시켜 왔다. 지금 재일 조선인 시문학에 대한 이해는 남, 북, 민단, 총련의 이데올로기적 대립을 넘어서 ‘재일’ 그 자체의 문제라는 인식이 가장 중요하다. 국가주의 혹은 이데올로기적으로 규정된 왜곡된 주체의 시선이 아닌, 타자화된 또 다른 주체의 시선으로 ‘재일’의 문제를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광복 70년, 재일조선인 시문학 연구의 방향과 과제는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다시 출발해야 할 것이다.
    지금 재일 조선인 시문학은 민족적, 세대적 연속성이 무너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노쇠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여러 측면에서 이질성과 다양성을 보이는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변화와 남과 북의 이데올로기적 대립을 답습해온 재일조선인 사회의 극단적 이원화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 경계의 지점에서 ‘틈(in-between-ness)’의 사유를 통해 생성되는 창조적 지점을 중요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재일’을 ‘일본에 산다’ 또는 ‘일본에 있다’와 같은 수동적 차원에서 바라볼 것이 아니라, ‘재일한다’라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의 차원에서 인식함으로써 재일조선인 사회를 주체적으로 재구성해야 한다. 재일조선인 시문학은 재일조선인이 살아온 지난 역사에 대한 증언과 기록의 차원을 넘어서 이제는 지금 재일조선인이 발 딛고 서 있는 지점에서부터 새로운 문제의식을 이끌어내야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성은 과거의 역사와 현재의 경험을 동시에 아우르는 것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미래로 나아가는 연속성의 측면도 함께 지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 and tasks of Korean Japanese poetry studies on the 70th anniversary of Independence. The most important issues that define the identity of Koreans residing in Japan after the independence in poetry were language, ethnicity, and the ideology of the country. However, these issues made it impossible to form an overall landscape that covers all categories and themes of conceptual provisions of the Korean Japanese poetry literature, but followed a number of limitations and restrictions as individual study areas of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dualistic opposition of the South and the North, the resident association and general association, and Hangul and Japanese, have deepened confrontation and conflict by ignoring the uniqueness and distinctiveness of ' Being Korean Japanese'. Now, it is most important to recognize that being Korean Japanese is the problem itself in understanding Korean Japanese poetry.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Korean Japanese have lost their generational continuity. In addition, the extreme dualism of the Korean community has deepened in Korean Japanese society, which has followed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has experienced changes in Japanese poetry of heterogeneity and diversity.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think of the 'in-between-ness' at the point of the boundar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Korean Japanese' not to view themselves passively as 'living in Japan' or 'being in Japan', but to recognize their active action as 'residents in Japan'. This direction should not only encompass the history of the past and present experiences at the same time, but also possess aspects of continuity that moves forward to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