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규모 공동주거단지 내 어린이 놀이시설물의 변천 및 선진사례 비교 고찰 -1970년~2010년, 서울 및 수도권 신도시를 중심으로- (A Consideration on Transformation of Playground Equipment for Children within Large Scale Apartment Complexes & Advanced Cases - Focusing on the period between 1970 ~2010, Urban and Suburban area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1.02
10P 미리보기
대규모 공동주거단지 내 어린이 놀이시설물의 변천 및 선진사례 비교 고찰 -1970년~2010년, 서울 및 수도권 신도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포럼 / 30호 / 113 ~ 122페이지
    · 저자명 : 박세연

    초록

    국내에 공동주거 형태가 도입된 1970년대 이후 30여 년 간, 양적 팽창에 비해 질적으로 방치되어 있던 공동주거단지 내 어린이 놀이시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 정서와 신체의 성장 발달을 고려한 놀이시설의 질적, 기능적 검증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는 도심과 도시근교의 대규모 공동주거단지 내 놀이터의 시설물에 대한 종류, 형태, 구조, 재료의 현황 자료를 조사, 어린이의 사회적, 인지적, 정서적 발달에 도움이 되는 놀이시설 및 놀이환경 조성을 위한 기초 데이터의 마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첫째, 연령, 신체, 정서의 발달에 따른 어린이의 놀이행태와 시설물의 상관관계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1970년대에서 2000년대까지 2000세대 이상의 국내 공동주거단지의 놀이터 시설물의 변천에 대해 연구하였다. 셋째, 해외 선진 사례 대비, 국내 사례의 미비점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선진 사례의 경우, 종전의 보편적, 단편적 놀이시설에서 탈피, 조합놀이 형태로 변화하고 숲, 물, 골짜기 등 자연의 지형, 지물을 이용하거나 폐기물을 재활용한 역사와 교육의 공간으로 자연과 인간이 상호교류 하는 형식으로 회귀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대형 건설사에 의해 종전 2000세대 규모에서 4, 5000세대 규모로 재개발을 진행하는 주거 단지가 증가하고 있어 기부체납에 의한 어린이공원 규모의 대형 부지를 확보, 선진 놀이 환경의 구현이 실현되고 있다.
    본 논문은 놀이와 놀이시설, 놀이환경 구조의 변천에 대한 개략적 자료연구로 선진 시설의 세세한 명세와 국내에 적용 가능한 면적, 조합 형태, 재료, 설치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The apartment complex type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in the 1970s. These apartment complexes initially lacked quality playground space for children. Recently, however, there has been a growing concern for providing proper space and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 can play and function. It is important that this space meet children's emotional and physical needs as they grow.
    This study aims to present basic data for creating the appropriate playground equipment and environment that will enhance children's social,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outside school. Research has been done - taking into consideration type, structure, and material for playground equipment- in order to offer suggestions for the future improvement of playgrounds within apartment complexes, in both urban and suburban areas.
    For this research, first, a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layground equipment and play habits and preferences of children within their specific age groups.
    Further research explored the improvements that had been made to the equipment and playground area from the 1970s until today. Apartment complexes where over 1,500 households resided were targeted for this research.
    A comparative study was also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playground equipment and area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was innovative and stimulated children's imaginations. At times, the topographical features of play areas, for example near by woods, water, rocks, were exploited to provide a more natural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 could play. Furthermore, recycled material was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lay equipment and area.
    In korea, as apartment complexes grow in size, more space is allocated for recreational activities. Therefore, plans to enlarge children's playground areas have become feasible.
    This paper offers an insight into the changes that equipment and the play environments underwent within a given period of tim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persue detailed follow-up research into the particulars of more innovative types of equipment and materials, suited to the landscape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7 오전